たばこの
煙や「
苦み」に
反応してせきや
飲み
下しを
引き起こす新たな
感覚細胞をマウスの「のど」で
見つけたと
京都府立医科大学などの
研究グループが
発表しました。
담배 연기나 쓴맛에 반응하여 기침이나 삼킴을 유발하는 새로운 감각 세포를 쥐의 목에서 발견했다고 교토부립의과대학 등의 연구 그룹이 발표했습니다.
グループは
慢性的なせきの
治療につながるとして、
今後、ヒトにも
同様の
感覚細胞がないか
調べることにしています。
그룹은 만성 기침의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고, 앞으로 인간에게도 동일한 감각 세포가 있는지 조사할 계획입니다.
京都府立医科大学の樽野陽幸 教授らの研究グループはマウスの感覚器官を調べる中で、せきや飲み下しに関わる新たな感覚細胞を発見しました。
교토부립의과대학의 타루노 요코 교수 연구팀은 쥐의 감각 기관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기침과 삼킴에 관련된 새로운 감각 세포를 발견했습니다.
この細胞は気管の入り口の「喉頭(こうとう)」と食道の入り口部分の「咽頭(いんとう)」にそれぞれ存在します。
이 세포는 기관의 입구인 후두와 식도의 입구 부분인 인두에 각각 존재합니다.
「喉頭」にある細胞はたばこの煙や空気汚染物質などに含まれる化学物質の刺激に反応してせきを起こす一方、「咽頭」部分にある細胞は苦みに反応して飲み下しを促すこともわかりました。
후두에 있는 세포는 담배 연기나 대기 오염 물질 등에 포함된 화학 물질의 자극에 반응하여 기침을 일으키는 한편, 인두 부분에 있는 세포는 쓴맛에 반응하여 삼키기를 촉진하는 것도 밝혀졌습니다.
この細胞の働きに関わる特定の遺伝子が働かないようにしたマウスでは、化学物質による刺激を与えてもせきが出なくなったということです。
이 세포의 기능에 관련된 특정 유전자가 작동하지 않도록 한 쥐에서는, 화학물질에 의한 자극을 주어도 기침이 나오지 않게 되었다고 합니다.
グループは慢性的なせきの治療などにつながる成果だとしていて、今後、ヒトののどにも同様の感覚細胞がないかを調べることにしています。
그룹은 만성 기침의 치료 등으로 이어지는 성과라고 하며, 앞으로 인간의 목에도 동일한 감각 세포가 있는지 조사할 예정입니다.
樽野 教授は「たばこの煙でせきが出るのは煙の粒子を吸い込むことで物理的な刺激を受けるからだと思われていたが、煙の化学的な成分が原因の可能性が示された。
타루노 교수는 담배 연기로 기침이 나는 것은 연기 입자를 흡입함으로써 물리적인 자극을 받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었으나, 연기의 화학적 성분이 원인일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この細胞がヒトののどにもあれば、せき
症状の
精密な
診断や
治療薬の
開発につながる」と
話していました。
이 세포가 인간의 목구멍에도 있다면, 기침 증상의 정밀한 진단이나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