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月に発表された富士山の初冠雪がその後、見直される異例の事態となりました。
The first snowfall announced on Mount Fuji Consider the anomaly… (2021/09/22)
758 view今月に発表された富士山の初冠雪がその後、見直される異例の事態となりました。
甲府地方気象台は今月7日に富士山の初冠雪を発表しました。
初冠雪は山頂付近の一日の平均気温が最も高い日よりも後に発表されるのが決まりです。
気象台は平均9.2度を観測した8月4日が今年の最高気温の日と考え、その後、麓から雪が確認できた今月7日を初冠雪の日としました。
しかし、初冠雪が発表された後の今月20日に10.3度を観測し、最高気温が更新されたことから見直しを決めました。
担当者は「記憶がある限りだと見直しをしたことはない」と話しています。
現在、富士山に雪はなく、今年の初冠雪は10月に持ち越しになる見込みです。
今月に発表された富士山の初冠雪がその後、見直される異例の事態となりました。
発表
발표
事態
자체. 글자의 체; 자체; 대체. 도대체. 대관절; 원래. 본시. 근본적으로. 〔동의어〕地体; 사태. 일이 되어가는 형편; 사퇴; 원래. 애초. 〔동의어〕自体
冠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今月
금월. 이달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富士山
静岡현과 山梨현의 경계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 ((휴화산(休火山)으로 높이는 3,776m)) 〔동의어〕ふじ·富岳. 〔참고〕 「不二山」 「不尽山」이라고도 씀
異例
위령; 위력과 명령; 위령; 천자의 위광(威光); 이례. 보통의 예와 다름. 〔동의어〕違例; 위령. 법률이나 법명에 위반함; 위례; 『문어』 건강 상태가 보통 때와 다름. 병. ((귀인에 대하여 이름)); 위령; 유령. 사후에 남긴 명령; 유례. 옛날에 많던 것이 거의 없어지고 그 흔적이 약간 남아 있는 것; 유령. 사자(死者)의 영혼
甲府地方気象台は今月7日に富士山の初冠雪を発表し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発表
발표
地方
(江戸 시대에) 시골. 지방; (춤·寄席·見せ物에서) 음악[반주]의 담당자; (해상에서) 육지를 가리키는 말. 뭍
冠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今月
금월. 이달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富士山
静岡현과 山梨현의 경계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 ((휴화산(休火山)으로 높이는 3,776m)) 〔동의어〕ふじ·富岳. 〔참고〕 「不二山」 「不尽山」이라고도 씀
気象台
기상대.
初冠雪は山頂付近の一日の平均気温が最も高い日よりも後に発表されるのが決まりです。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発表
발표
平均
평균; 균일함. 또는 균일하게 함; 수량의 중간치를 구함. 또는 그 수치; 균형이 잡힘. 또는 그 균형
最も
《副詞 「いと」+강조의 係助詞 「も」》 매우. 아주. 대단히. 지극히
気温
『기상』 기온; 기음; 『음악』 음계의 첫째 음. 주음(主音)
決まり
규정. 규칙. 약조; (일·행동 등의) 매듭. 결말. 결정. 〔동의어〕決着; 〈흔히 「お~」의 꼴로〉 판에 박음. 버릇이 되어 있음
冠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付近
부근. 근처; 행주; ⇒ ふっきん; 부금; 연부·월부의 상환금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高い
『문어』 타계; 『불교』 인간계 이외의 세계; 다른 세계; 죽음; 높다; (위치가) 위쪽이다; (키가) 크다; (신분·지위가) 상위이다; (능력이) 뛰어나다; (품위·품격이) 훌륭하다; (일정한 수준보다) 위이다. 우월하다; (정도가) 심하다. 수치(數値)가 크다; (목소리·소리가) 크다; 유명하다; (값이) 비싸다. 〔반의어〕 安い; 〈「お~」의 꼴로〉 잘난 체하다. 거드름 피우다; 〈「腰が~」의 꼴로〉 거만하다; 〈「頭が~」꼴로〉 머리를 숙일 줄 모르다. 무례하다. 오만하다; 〈「鼻が~」의 꼴로〉 우쭐하다. 자랑스럽다. 1.~8. 〔반의어〕 低い. たか·さ 【명사】 たか·み 【명사】 【문어형】 たか·し {ク 활용}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山頂
『문어』; 삼조. 3대의 조정; 그 달의 초사흗날; 산정. 산꼭대기. 정상(頂上). 〔동의어〕山巓. 〔반의어〕 山麓; 『문어』 ⇒ 参内; 《「産児調節」의 준말》 산아 조절; 『경제』 《「散布超過」의 준말》 산포 초과. 정부 재정 자금의 지출이 수입을 웃돎. 〔동의어〕払い超. 〔반의어〕 揚超
気象台は平均9.2度を観測した8月4日が今年の最高気温の日と考え、その後、麓から雪が確認できた今月7日を初冠雪の日とし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平均
평균; 균일함. 또는 균일하게 함; 수량의 중간치를 구함. 또는 그 수치; 균형이 잡힘. 또는 그 균형
確認
확인
考え
생각
気温
『기상』 기온; 기음; 『음악』 음계의 첫째 음. 주음(主音)
最高
재고; 『인쇄』 재교. 두 번째 교정. 또는 그 교정쇄; 다시 구성함; 재흥. 다시 일어남. 다시 일으킴. 부흥; 『광물』 쇄광. 광석을 부숨; 채광. 광채. 〔동의어〕光彩; 채광; 채광. 광석을 캠; 최고. 〔반의어〕 最低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観測
관측
冠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麓
산기슭. 〔동의어〕山麓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今月
금월. 이달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気象台
기상대.
しかし、初冠雪が発表された後の今月20日に10.3度を観測し、最高気温が更新されたことから見直しを決め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発表
발표
気温
『기상』 기온; 기음; 『음악』 음계의 첫째 음. 주음(主音)
最高
재고; 『인쇄』 재교. 두 번째 교정. 또는 그 교정쇄; 다시 구성함; 재흥. 다시 일어남. 다시 일으킴. 부흥; 『광물』 쇄광. 광석을 부숨; 채광. 광채. 〔동의어〕光彩; 채광; 채광. 광석을 캠; 최고. 〔반의어〕 最低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観測
관측
冠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今月
금월. 이달
しかし
그러나. 하지만. 그렇지만. 〔동의어〕だが·そうではあるが·けれども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決め
결정. 결정 사항. 규정. 규칙. 약속. 〔참고〕 名詞에 붙어 「…ぎめ」의 꼴로 接尾語적으로도 씀; 나뭇결. 〔동의어〕木目. 〔참고〕 「木理」라고도 씀; (물건 표면의) 결. (사람의) 살결. 또는 그 감촉; (무엇을 할 때의) 마음씀. 〔참고〕 2.3.은 「肌理」라고도 씀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更新
구순. 입술. 〔동의어〕唇; 앙진. 항진(亢進); 사물의 정도가 높아짐; 감정이 고양(高揚)되거나 병세가 심해짐; 공신; 교신; 행진; 효심; 경신. 먼저 것을 고치어 새롭게 함. 일정한 존속 기간을 정한 계약에서 그 기간이 만료할 때 계약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기간만을 연장하는 일; 갱신; 「庚申待ち」의 준말; 후신. 〔반의어〕 前身; 『불교』 죽었다가 다시 태어난 몸. 〔동의어〕生れ変わり; 전의 형태에서 변화 발전한 것; 후진; 앞 사람이 걸어간 길을 뒤에서 따라감. 선배의 뒤를 따름. 또는 후배; 뒤로 감. 후퇴. 〔동의어〕後退. 〔반의어〕 前進. 1.2. 〔반의어〕 先進; 항심. 한결같은 바른 마음; 『문어』 홍순. 미인의 붉은 입술; 항진. 배가 나아감; 강신. (기도나 주법(呪法)에 의하여) 신이 내리게 함. 〔동의어〕神降ろし
見直し
다시 봄. 달리 봄. 재검토
担当者は「記憶がある限りだと見直しをしたことはない」と話しています。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記憶
기억. 〔동의어〕ものおぼえ
担当
『농학·농림·농업』 단당. 〔동의어〕反当たり; 담당; 단도. 비수. 〔동의어〕あいくち·どす·九寸五分
限り
한. 한계. 끝; 최후. 마지막; 한도껏. 한껏. 최고; 〈「~で(は)ない」의 꼴로〉 그 범위에 들지 않다;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는 동안에는. …는 이상. …한(限); 《시간이나 장소 등을 가리키는 名詞에 붙어》 그것으로 끝남을 나타냄. …만. …까지
見直し
다시 봄. 달리 봄. 재검토
現在、富士山に雪はなく、今年の初冠雪は10月に持ち越しになる見込みです。
現在
『기독교』 원죄; 현재; 〈副詞的으로도 씀〉 지금. 〔동의어〕今. 〔반의어〕 過去·未来; 『언어학』 현재형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冠
간. 간행. 출간(出刊). 출판; 감; 감독; 감방(監房); 관; (공공의) 건물 등에 붙는 말; 여관 등의 이름에 붙는 말; 장대의 수효를 세는 말; 캔; 깡통; 〈「缶詰め」의 준말〉 통조림. 〔참고〕 「缶」 「缶」 「鑵」은 차자; 『음악』 (일본 고유 음악에서) 높은 음역. 또는 기본음의 한 옥타브 높은 음; 『문어』 간. 간악함. 간사함. 또는 그런 사람; 『문어』 완; 「完全」 「完備」 등의 준말; 『문어』; 간. 간장; 마음; 관. 관청. 관리(官吏). 관직; ‘관리’ ‘공무원’ 등의 뜻을 나타냄. 관; 『문어』 관. 〔동의어〕かんむり; 으뜸감. {문어·タリ 활용}; 두루마리; 책; 권; 두루마리·필름·테이프 등의 수효; 책의 수효; 『문어』 (…처럼) 보임; 10일간. 순(旬). 〔참고〕 ‘씻다’의 뜻으로, 고대 중국에서 관리가 10일마다 휴가가 있어 목욕을 했던 데서; 『의학』 신경질적이고 짜증을 잘 내는 신경성 소아병; (사물의 사정이나 의미를) 직감으로 깨닫는 능력. 육감(六感). 직감력; 관. ((척관법의 무게의 단위)); 鎌倉 시대 이후 무가(武家)의 녹봉의 단위. ((1관은 10석(石))); 『문어』 겨울 추위; (24절기의) 대한과 소한의 시기. ((1월 6일경에서 2월 4일경까지의 약 30일간)) 1.2.〔동의어〕暑; 관. 관구. 〔동의어〕ひつぎ; 『문어』 정성. 충성; 『문어』 정의(情誼); 『경제』 예산·계정 과목의 분류명. 관. ((항(項)의 위, 부(部)의 아래)); 금속이나 돌에, 문자를 표면보다 움푹 들어가게 새김. 또는 그 문자; 간. 사이; 기회. 틈; 첩자; 불화; 《名詞에 붙어》 ‘…의 사이’ ‘…과 …의 사이’의 뜻을 나타냄. 간; 『문어』 관대하고 정이 깊음. 너그러움. 느슨함. {문어·ナリ 활용 }; 감. 느낌. 감회; 감동; ‘…의 느낌’의 뜻을 나타냄. 감; 관. 파이프. 〔동의어〕くだ; 붓·피리 등의 수효. 자루; 문빗장; 관문(關門). 〔동의어〕せき·関門; 『문어』 기쁨. 즐거움; 함. (편지의) 봉함; 『문어』 (일의 진행이) 느림. 완함. 더딤. {문어·ナリ 활용 }; (중탕으로) 술을 알맞게 데움. 또는 그 데우는 정도; 고리; 감정이 격하고 화를 잘 내는 기질. 신경질. 피새; 한; 한국. 〔동의어〕韓国; 대한 (제국); (중국 전국 시대의) 칠웅(七雄)의 하나; 편지. 서간. 서찰; 『문어』 간단함. 간략함. 간명함; 고대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글씨를 쓰기 위해 사용한 대쪽; 사람·사물을 외부에서 본 느낌. 양상; 도교(道敎)에서, 도사가 있는 곳; ‘…에 대한 사고 방식’ ‘…에 대한 견해’ 등의 뜻을 나타냄. 관; 갱; 고기나 야채를 넣어 끓인 국; 설날에 먹는 일본식 떡국에 넣는 떡. 또는 그 떡국; 『문어』 함. 군함; 서랍 등의 손잡이로 쓰는 고리 모양의 쇠붙이. 고리 손잡이쇠; 『문어』 한가함; ‘한가한’ ‘조용한’ ‘쓸모 없는’ 등의 뜻을 나타냄. 한; 한; 『역사』 중국 고대 왕조의 하나; (변하여) 중국 본토. 또는 그 곳에 사는 민족; ‘(성인) 남자’의 뜻을 나타냄. 한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富士山
静岡현과 山梨현의 경계에 있는 일본에서 가장 높은 산. ((휴화산(休火山)으로 높이는 3,776m)) 〔동의어〕ふじ·富岳. 〔참고〕 「不二山」 「不尽山」이라고도 씀
見込み
전망. 예정. 예상. 〔동의어〕予想; 장래성. 가망. 희망. 〔동의어〕将来性·可能性; 찻종이나 주발의 안쪽
持ち越し
체증(滯症). 숙취.
イギリス外相 ロシアにはさらなる制裁が必要(2022年4月6日)
東海道新幹線 正午ごろから運転再開へ(2023年6月3日)
JAL 今年度1460億円の赤字見通し コロナで2年連続(2021年11月2日)
クマのぬいぐるみ100体・・・込められた思いとは(2021年12月9日)
NTT 社内ルール見直し 利害関係者との会食禁止へ(2021年3月27日)
地球滅亡かと思った日(プTV)
政府クラウドに大阪のIT企業を選定 初の国内企業(2023年11月28日)
Nihongo Kaiwa - Video 07
池の水が突然、紫色に…正体はバクテリア ドイツ(2024年4月4日)
眞子さま年内にも結婚へ 儀式は行わない方向で調整(2021年9月1日)
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
Todaii Japanese est un site web pour apprendre et lire les actualités japonaises intégrant diverses fonctionnalités telles que dictionnaire, pratique, tests,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uong Chinh, Khuong Mai, Thanh Xuan, Han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