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京パラリンピックは今日で7日目を迎え、折り返しとなりました。
Midpoint of the Paralympic Organizing Committee "The activity went well" (2021/08/30)
658 view東京パラリンピックは今日で7日目を迎え、折り返しとなりました。
会見を開いた組織委員会は昨日までに約8000人の児童や生徒が競技を観戦するなど大会運営が順調であるとの認識を示しました。
30日、IPC(国際パラリンピック委員会)のパーソンズ会長とともに組織委員会の武藤事務総長が会見を行いました。
昨日までに約8000人の児童や生徒が学校連携観戦に参加したとして、大会は順調に運営されているとしました。
千葉市内の中学校で引率した教師2人が感染したことについては「事前に分からなかったのか反省すべき点がある」と話しました。
一方で、28日までに選手15人を含む合わせて25人が熱中症になったことを明らかにしました。
このうち選手1人が救急搬送されましたが、大事には至らなかったということです。
東京パラリンピックは今日で7日目を迎え、折り返しとなり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迎え
맞이함. 마중 감. 또는 그 사람. 〔반의어〕 送り; 부르러 감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目
《「目」가 다른 말과 복합할 때의 형태》 눈; 정말. 진실. 〔동의어〕ほんとう·まこと; 《名詞·形容詞 등에 붙음》; 참다운. 진실한; 바른. 정확한. 순수한; 아름다운. 뛰어난; (같은 종류의 동식물 중) 가장 표준적인; (공간적인) 사이. 틈. 간격; (시간적인) 사이. 동안. 겨를. 짬; (적당한) 기회. 시간. 시기. 때; 방; (일본 음악·춤·연극 등에서) 박자와 박자, 동작과 동작, 대사와 대사 사이의 시간적 간격. 또는 (전체적인) 리듬감(感); 일본식 방의 수를 세는 말. 실(室). 방; 삼베. 삼실; 『불교』 〈범어 「māra」의 음역(音譯)인 「魔羅」의 준말〉 마귀. 악마. 귀신; 〈「~の」의 꼴로〉 마(魔)의. ((나쁜 일이 흔히 일어나는 장소·날짜·시간·요일 등을 형용할 때 씀)); 마. 광(狂). 그 일만을 끈덕지게 되풀이하여 남에게 해를 끼치는 사람; 《「いま」의 준말》 더욱. 더; ⇒ まあ< 2>
折り返し
접어 반대쪽으로 꺾음. 또는 그렇게 한 것; 되돌아[되짚어] 옴[감]. 또는 그 지점; 시가(詩歌)의 각 절 끝의 후렴. 〔동의어〕リフレーン; 〈副詞적으로〉 되짚어. (받은) 즉시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パラリンピック
패럴림픽. 국제 신체 장애인 스포츠 대회의 통칭
会見を開いた組織委員会は昨日までに約8000人の児童や生徒が競技を観戦するなど大会運営が順調であるとの認識を示しました。
約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委員
진료소; 의원. 의사; 위원
会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競技
협의; 협의. 좁은 뜻. 〔반의어〕 広義; 교의. 교리; 무늬목. ((종이처럼 얇게 깎은 나무. 음식을 싸거나 経木真田에 씀)) 〔참고〕 옛날에는 경문을 적는 데 썼음; 경기
順調
순조; 일이 잘 되어 감. 〔동의어〕順調. {문어·ナリ 활용 }; 순조. 〔동의어〕順潮. {문어·ナリ 활용 }
組織
조직; 얽어서 만듦. 구성. 〔동의어〕くみたて; 유기적인 집합체를 이룸. 또는 그 집합체; 모양·크기·기능 등이 비슷한 세포의 집단. ((모여서 기관(器官)을 구성함))
大会
대회; 대해. 큰 바다. 〔반의어〕 内海; 퇴회. 탈회(脫會). 회를 탈퇴함. 〔반의어〕 入会
児童
『언어학』 「自動詞」의 준말. 〔반의어〕 他動; 아동; 어린이; 학동(學童); 시동. 귀인의 곁에서 시중드는 아이. 〔동의어〕小姓; 能楽에 쓰는, 품격 높은 동자(童子) 얼굴의 탈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運営
운영; 『문어』 운영. 구름의 모습; 『문어』 운예; 『의학』 배설된 소변을 놓아 두었을 때 생기는 부유물(浮遊物)
会見
회견; 회원권. 회의 입장권; 개헌; 호신용 단검. 비수(匕首). 〔동의어〕ふところ刀·守り刀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生徒
생도. 특히 중·고교 학생. 〔참고〕 소학교에서는 「児童」, 대학에서는 「学生」라 함; 『문어』 정도. 원정(遠征) 길; 『문어』 성두. 성신(星辰). 별; 성도; 『기독교』 기독교도; 『천주교』 성인·복자(福者) 등으로서 인정된 신도; 『문어』 성도. 신성한 도시
認識
인식
示し
교시(敎示); 본보기. 모범
観戦
『생리학』 한선. 땀샘; 관전. 정부가 주조한 돈. 〔반의어〕私鋳銭; 관찬. 국가 기관에서 편찬함. 또는 그 편찬물. 〔반의어〕 私撰; 관선. 〔동의어〕国選. 〔반의어〕 民選; 『의학』 건선. 마른버짐; 간선. 본선. 〔반의어〕 支線; 감염;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옴; 어떤 사물에 감화되거나 영향을 받음; 관전; 함선
30日、IPC(国際パラリンピック委員会)のパーソンズ会長とともに組織委員会の武藤事務総長が会見を行いました。
国際
『경제』 국채; 「国債証券」의 준말; 국제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委員
진료소; 의원. 의사; 위원
会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事務
『문어』 사무. 절의 사무 (담당자); 사무; 다루는 일. 직무; (주로 문서를 다루는) 업무; 『문어』 시무. 그때그때의 중요한 일. 현재의 급무
組織
조직; 얽어서 만듦. 구성. 〔동의어〕くみたて; 유기적인 집합체를 이룸. 또는 그 집합체; 모양·크기·기능 등이 비슷한 세포의 집단. ((모여서 기관(器官)을 구성함))
行い
행동. 행위. 실행. 〔동의어〕振舞; 『불교』 불도 수행. 근행(勤行)
会見
회견; 회원권. 회의 입장권; 개헌; 호신용 단검. 비수(匕首). 〔동의어〕ふところ刀·守り刀
パラリンピック
패럴림픽. 국제 신체 장애인 스포츠 대회의 통칭
会長
회장; 『생물학』 회장; 『문어』 (내장이 뒤틀릴 만큼) 매우 감동함; 괴조. 괴금; 쾌조. 호조(好調). {문어·ナリ 활용 }; 해조. 바닷새. 〔동의어〕うみどり; 『문어』 해조. 조수(潮水). 〔동의어〕うしお; 개청. 관청이 집무를 개시함; 『불교』 불감(佛龕)을 열어 일반인에게 평소에 공개하지 않는 불상과 조사(祖師)의 상(像) 등을 공개함. 〔동의어〕開扉; 노름판을 엶; 편 날개의 길이. ((나비·잠자리 등 곤충이 날개를 수평으로 폈을 때의 폭)) 〔동의어〕開扉; 『문어』 해조; (문장·음악 등이) 잘 조화됨; 잘 조화된 가락. 〔동의어〕ハーモニー
総長
조조. 이른 아침; 송조; 「宋朝体」의 준말; 장중. {문어·ナリ 활용 }; 일본의 구(舊)육군 하사관 계급의 맨 위. ((한국의 상사에 해당)); 총장; 종합 대학의 장. 〔참고〕 현재 일본 국립 대학에서의 통칭이며, 정식으로는 「学長」임. 구제(舊制) 「帝国大学」에서는 정식 명칭이었음
昨日までに約8000人の児童や生徒が学校連携観戦に参加したとして、大会は順調に運営されているとしました。
約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参加
『문어』 삼하. 여름 석달. 초하(初夏)·중하(仲夏)·만하(晩夏). 또는 맹하(孟夏)·중하(仲夏)·계하(季夏); 산화. 산불; 『문어』 산하; 산천; 자연. 〔참고〕 「さんが」라고도 함; 『문어』 산가. 산중의 집. 〔동의어〕やまが; 전날, 떠돌이 생활을 하며 특수 사회를 이루고 있던 사람들. ((산속·강변 등에서 야영을 하며, 죽세공·수렵 등으로 생계를 이어갔음)) 〔동의어〕さんわ; 참가; 참화; 『의학』 산과; 『문어』 산하. 〔동의어〕翼下; 『화학』 산화. 〔반의어〕 還元; 찬가; 단체에 소속된 사람이 특수한 기능을 살려 활동하는 것
順調
순조; 일이 잘 되어 감. 〔동의어〕順調. {문어·ナリ 활용 }; 순조. 〔동의어〕順潮. {문어·ナリ 활용 }
大会
대회; 대해. 큰 바다. 〔반의어〕 内海; 퇴회. 탈회(脫會). 회를 탈퇴함. 〔반의어〕 入会
児童
『언어학』 「自動詞」의 준말. 〔반의어〕 他動; 아동; 어린이; 학동(學童); 시동. 귀인의 곁에서 시중드는 아이. 〔동의어〕小姓; 能楽에 쓰는, 품격 높은 동자(童子) 얼굴의 탈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運営
운영; 『문어』 운영. 구름의 모습; 『문어』 운예; 『의학』 배설된 소변을 놓아 두었을 때 생기는 부유물(浮遊物)
学校
「月光菩薩」의 준말; 학교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生徒
생도. 특히 중·고교 학생. 〔참고〕 소학교에서는 「児童」, 대학에서는 「学生」라 함; 『문어』 정도. 원정(遠征) 길; 『문어』 성두. 성신(星辰). 별; 성도; 『기독교』 기독교도; 『천주교』 성인·복자(福者) 등으로서 인정된 신도; 『문어』 성도. 신성한 도시
連携
연계. 밀접한 관계를 가짐; 연휴(聯携). 제휴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観戦
『생리학』 한선. 땀샘; 관전. 정부가 주조한 돈. 〔반의어〕私鋳銭; 관찬. 국가 기관에서 편찬함. 또는 그 편찬물. 〔반의어〕 私撰; 관선. 〔동의어〕国選. 〔반의어〕 民選; 『의학』 건선. 마른버짐; 간선. 본선. 〔반의어〕 支線; 감염;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옴; 어떤 사물에 감화되거나 영향을 받음; 관전; 함선
千葉市内の中学校で引率した教師2人が感染したことについては「事前に分からなかったのか反省すべき点がある」と話しました。
中学校
『교육』 중학교; 구(舊)제도에서, 소학교 졸업 후 5년간의 고등 보통 교육을 시행한, 의무제가 아닌 남자 학교
点
표시로 찍는 점. 〔동의어〕ぽち; 「ちょぼがたり」의 준말; 「ちょぼいち」의 준말
教師
광사. 미쳐서 죽음. 〔동의어〕狂い死に; 광시. 익살스런 내용을 담은 한시체(漢詩體)의 시. 한시의 규칙에 따르면서, 비속어를 많이 썼음. 〔참고〕 江戸 시대 중기 이후에 일본에서 유행; 공시. 성능이나 강도를 조사하기 위한 시험·실험에 제공하는 일. 또는 그 물건; 종교의 지도자; 교지. (종교·교육 등의) 가르침의 취지; 『문어』 교자. (여자의) 교태; 『문어』 교치. 교사(驕奢); 『문어』 교자. 교사(驕奢). 교만하고 방자함
反省
반정. 정도(正道)로 돌아감; 반성; 반생. 반평생. 〔동의어〕半生涯. 〔참고〕 「半生」는 딴말임; 반성. 반쯤 깸. 반쯤 깨어 있음; 藩의 정치. 영지 안에서의 영주의 정치. 〔동의어〕藩治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事前
차선. 최선에 버금가는 것; 사전. 〔반의어〕 事後; 자선
感染
『생리학』 한선. 땀샘; 관전. 정부가 주조한 돈. 〔반의어〕私鋳銭; 관찬. 국가 기관에서 편찬함. 또는 그 편찬물. 〔반의어〕 私撰; 관선. 〔동의어〕国選. 〔반의어〕 民選; 『의학』 건선. 마른버짐; 간선. 본선. 〔반의어〕 支線; 감염;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옴; 어떤 사물에 감화되거나 영향을 받음; 관전; 함선
市内
휨. 부드럽게 곡선을 이루는 일; 시내. 〔반의어〕 市外; 죽도. ((검도 연습용으로 쓰이는, 대를 쪼개어 만든 검))
引率
인솔.
一方で、28日までに選手15人を含む合わせて25人が熱中症になったことを明らかにし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熱中
열중
含む
복무; 입에 물다. 머금다; 포함하다. 함유하다; (마음속에) 품다; 함축하다. 지니다. 내포하다; 띠다. 【가능동사】 ふく·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꽃이 봉오리지다. 꽃망울이 지다; 「ふくめる」의 문어
明らか
분명함. 명백함. 뚜렷함. 명료함. 빤함; 밝음. 환함. {문어·ナリ 활용 }
一方
일방. 한 방향[방면]. 어떤 방면; 한쪽. 〔동의어〕片方; 사물의 한 면[쪽]. 또는 어떤 상태의 반면; 〈副助詞적으로 쓰이어〉 주로 한 방향으로만 치우쳐 있음. 오로지 …뿐임. …만 함; 〈接続助詞적으로 쓰이어〉 …하는 한편; 한편. 다른 한편에서는; 한 방법. 한 수단; 한 번 알림. 간단히 알림. 또는 그 기별
選手
선수. (야구 등 스포츠에서) 먼저 수비함. 또는 그 팀; 선취. 남보다 먼저 차지함. 〔동의어〕先取り; 선주. 〔동의어〕ふなぬし; 선수. 이물. 뱃머리. 〔동의어〕へさき·みよし. 〔반의어〕 船尾; 『의학』 선종. 〔동의어〕アデノーマ; 『문어』 참주; 폭력으로 군주의 지위를 빼앗은 자. 군주의 이름을 참칭(僭稱)하는 자;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의 정권을 빼앗은 지배자. 〔동의어〕タイラント; 선수; 『문어』 섬수. (여자의) 가냘픈 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合わせ
《고어》 반찬. 〔동의어〕おかず; 겹옷. 겹것. 〔반의어〕 単
症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このうち選手1人が救急搬送されましたが、大事には至らなかったということです。
大事
중대사. 큰일. 〔동의어〕大事件
選手
선수. (야구 등 스포츠에서) 먼저 수비함. 또는 그 팀; 선취. 남보다 먼저 차지함. 〔동의어〕先取り; 선주. 〔동의어〕ふなぬし; 선수. 이물. 뱃머리. 〔동의어〕へさき·みよし. 〔반의어〕 船尾; 『의학』 선종. 〔동의어〕アデノーマ; 『문어』 참주; 폭력으로 군주의 지위를 빼앗은 자. 군주의 이름을 참칭(僭稱)하는 자;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의 정권을 빼앗은 지배자. 〔동의어〕タイラント; 선수; 『문어』 섬수. (여자의) 가냘픈 손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救急
구급; 《「~と」의 꼴로도 씀》; 딱딱한 물건이 서로 문질리거나 스치거나 할 때 나는 소리. 삐걱삐걱; 꽉 채우거나 세게 죄는 모양. 꽉꽉. 꾹꾹; 궁색하여 여유가 없는 모양. 빠듯이. 허덕허덕; 쥐어짜거나 몹시 닦달하는 모양; 『문어』 급급함. 산이 높이 솟은 모양. {문어·タリ 활용}; 『문어』 급급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급급함. 몹시 서두름. {문어·ナリ 활용 }
搬送
쌍을 이루는 것의 한쪽. 짝; 『문어』 범주. 돛배가 바람을 받아 나아감; 『문어』 반송. 운송
【OL必見!女の本音が面白い】連続川柳ドラマ【第2話】
ホシアイ
Learn the Top 10 Phrases Tourists Should Never Use in Japanese
Learn the Top 10 Phraseぼくのとなりにいてくれませんか
アマゾン 「ルンバ」のアイロボット2300億円で買収へ(2022年8月6日)
名刺交換のマナー 応用編
【通信講座の脳内カレッジ】第五幕:小学生でもわかる数学マジック
カタオモイ
ひとりぼっちの涙
国会 会期末 被害者救済法案きょう成立へ(2022年12月10日)
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
Todaii Japanese est un site web pour apprendre et lire les actualités japonaises intégrant diverses fonctionnalités telles que dictionnaire, pratique, tests,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uong Chinh, Khuong Mai, Thanh Xuan, Han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