あなただけ今見てる
あなただけ今見てる
もう会えなくなるから
このままずっと もうきっと 振り返ることもない
忘れることはないよ
いつもそばにいたのに
泣き出しそうな空の下
ただ立ちすくんでいる
いつもあなたのそばで
泣いたり笑ったりを繰り返す日々
もう二度と戻ることなんてない
悲しみにさよならを すぐに言えるようなら
人は誰もが強いもの
I wanna be with you
いつまでも手を繋いで
何処までも行きたかった
かじかんだ指先 温もりを探した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Oh, alone again
いつか二人で見てた 駅前の映像(ヴィジョン)には
今も あなたの好きな歌 リピートしてるんだ
「私も好きなんだよ」
そう言っていたのはね
あなたの為で
今はもう 嫌いになりそうなんだ
あなたからのメールを 全部消してみたけど
優しい声は 記憶から
消えはしないんだろう
「もしも願いが一つ叶うのなら」 なんてね
ありふれた事 想っては I wanna be with you
いつまでも手を繋いで
何処までも行きたかった
かじかんだ指先 温もりを探した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Oh, alone again
あなたのその笑顔も 大きな掌も
思い出になんか したくはなかった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oh, alone again
いつまでも手を繋いで
何処までも行きたかった
かじかんだ指先 温もりを探した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oh, alone again
あなただけ今見てる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もう会えなくなるから
このままずっと もうきっと 振り返ることもない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振り返る
뒤돌아보다. 돌아다보다; 돌이켜 생각하다. 회고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부기에서) 대체 계정을 하다. 【문어형】 ふりか·ふ {하2단 활용}
忘れることはないよ
忘れる
잊다; 잊어버리다. 망각하다; (열중하여) 깨닫지 못하다; (물건을) 잊고 두고 오다[가다]; 해야 할 것을 하지 않고 있다; (품은 생각 등을) 버리다. 〔참고〕 옛날에는 문어에 4段活用이 있었음. 【문어형】 わす·る {하2단 활용}
いつもそばにいたのに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泣き出しそうな空の下
泣く
울다; 괴로운 꼴을 당하다. 시달리다; 할 수 없이 받아들이다[손해를 보다]; 명실상부하지 않다. 【가능동사】 な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새·벌레·짐승 등이) 울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否定의 助動詞 「ず」의 옛 未然形 「な」+接尾語 「く」의 꼴》 …이 아님. …않음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下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ただ立ちすくんでいる
いつもあなたのそばで
いつも
언제나. 항상. 늘. 〔동의어〕常に; 평소. 평상시. 여느 때. 〔동의어〕平生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泣いたり笑ったりを繰り返す日々
泣く
울다; 괴로운 꼴을 당하다. 시달리다; 할 수 없이 받아들이다[손해를 보다]; 명실상부하지 않다. 【가능동사】 な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새·벌레·짐승 등이) 울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否定의 助動詞 「ず」의 옛 未然形 「な」+接尾語 「く」의 꼴》 …이 아님. …않음
笑う
웃다. 〔반의어〕 泣く; (비유적으로) 꽃봉오리가 벌어지다. 열매가 익어서 터지다. 꽃이 피다; 꿰맨 곳이 타지다; 《속어》 웃기다. 가소롭다. 문제도 되지 않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비웃다. 조소하다. 빈정대다. 우습게 여기다. 〔동의어〕あざ笑う·あざける. 〔참고〕 「嗤う」로도 씀. 【가능동사】 わら·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繰り返す
되풀이하다. 반복하다. 【가능동사】 くりかえ·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もう二度と戻ることなんてない
戻る
되돌아가다. 되돌아오다. 【가능동사】 もど·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悲しみにさよならを すぐに言えるようなら
悲しみ
슬픔. 비애
さよなら
⇒ さようなら; 《속어》; 작별. 이별. 〔동의어〕お別れ; (야구에서) 9회 말에 점수가 나서 승부가 결정됨. 굿바이승(勝); 《속어》 《名詞에 붙어》 그것으로 끝장나는 것[결판나는 것]
言える
《「言う」의 可能形》; 말할 수 있다; 말할 만하다. 말할 가치가 있다. 특히, 진리로서 단정할 수 있다; (병이) 낫다. 상처가 아물다. 치유되다. 【문어형】 い·ゆ {하2단 활용}
人は誰もが強いもの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強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I wanna be with you
いつまでも手を繋いで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何処までも行きたかった
何処
『문어』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어디. 어느 곳. 〔동의어〕いずこ·どこ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かじかんだ指先 温もりを探した
探す
찾다. 〔참고〕 「捜す」는 안 보이게 된 것을 찾는 경우에, 「探す」는 손에 넣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찾는 경우에 씀. 【가능동사】 さ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温もり
따스함. 온기. 〔동의어〕温み·暖かさ
指先
손가락끝. 손끝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明日
《「朝」에서 변한말》 내일. 명일. 〔동의어〕あす·みょうにち. 〔반의어〕 昨日; 『문어』; 아침. 〔동의어〕あさ. 〔반의어〕 夕べ; 다음날 아침. 〔동의어〕翌朝
向こう
맞은편. 건너편; 저쪽; 상대편; 이후. 금후. 향후; 「むこうさじき」의 준말; 무효. 〔반의어〕 有効. {문어·ナリ 활용 }
行ける
살리다. 되살리다. 소생시키다. 〔동의어〕生かす; (꽃·나뭇가지 등을) 화기(花器)에 꽂다. 꽃꽂이하다; 식물을 심다. 【문어형】 い·く{하2단 활용}; 《「行く」의 可能形》; 갈 수 있다; 잘 할 수 있다. 마음먹은 대로 되다.잘 나가다; (물건의 질이나 음식의 맛이) 꽤 쓸 만하다. 상당히 좋다; 술을 꽤 마시다. 술잔깨나 하다. 〔참고〕 2.~4.는 보통 かな로 씀; 《「生ける」와 어원이 같음》 묻다. 〔동의어〕うめる; (꺼지지 않도록) 숯불을 재 속에 묻다; 땅속에 묻다. 【문어형】 い·く {하2단 활용}; 『문어』 《문어의 4段動詞 「生く」의 已然形+完了의 助動詞 「り」의 連体形》 살아 있는. 생명이 있는
Oh, alone again
いつか二人で見てた 駅前の映像(ヴィジョン)には
見る
『식물·식물학』 청각채; 보다. 눈으로 인식하다; 구경하다. 관람하다; 읽다; 살피다. 살펴보다; 관찰하여 판단하다. 〔참고〕 ‘진찰하다’의 뜻으로는 흔히, 「診る」를 씀; (시각 외의 감각으로) 파악하다; 당하다. 경험하다. 겪다; 맡아보다. 돌보다. 보살피다; 평가하다. 간주하다; 〈「…と~」의 꼴로〉 …로 보다. …로 생각하다[간주하다]. {문어·상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를 받아서》; (시험적으로) …해 보다; 〈「…てみると」 「…てみたら」 「…てみれば」의 꼴로〉 …해 보면. …해보니. …해 보니까. 〔참고〕 보통 かな로 씀. {문어·상1단 활용}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いつか
5일; 다섯날. 닷새; 단오. 5월 5일; 《「か」는 疑問의 係助詞》; 〈과거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제였던가. 언젠가. 전에. 〔동의어〕以前; 〈미래의 불특정한 때를 나타냄〉 언젠가는. 차차. 조만간; 어느 사이에. 어느 틈[결]에. 〔동의어〕いつしか·いつの間にか
映像
영상; 물체의 비추어진 모습; 심상(心象). 이미지; (영화·텔레비전의) 화상(畵像); 영조. 큰 건물 등을 지음.또는 그 건물. 〔동의어〕造営; 영상; 물체의 그림자
二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불. 부. 〔참고〕 관용상 「ぶ」로 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때 흔히 「無」로도 씀; …을 하는 남자. 부. 원(員). 〔반의어〕 婦; …을 하는 여자. 부. 〔반의어〕 夫; 둘. ((소리내어 수를 셀 때의 말)) 〔동의어〕ふたつ·ふう; 중국 고대의 화폐; 『문어』 무녀. 무당; 『문어』 중심지; 《고어》 지방 관청. 또는 그 소재지; (일본 장기의) 졸. 〔동의어〕兵; 『문어』 부고. 부음. 〔동의어〕訃音; 『수학』 부. 음(陰). 〔반의어〕 正; 『물리』 음극(陰極); 부적; 옛날 상급 감독 관청에서 하급 관청에 내린 공문서; 부; 증표(證票); 기호. 부호; 《고어》 부. 풍부함. 부자임. 〔반의어〕 貧; 반점. 얼룩. 〔동의어〕まだら; 내장; 사려 분별. 생각. 근성(根性); 부; 『문학』 시경(詩經)의 육의(六義)의 하나. 비유법을 쓰지 않고 느낀 것을 그대로 읊는 시의 서술법; 『문학』 글귀 끝에 운(韻)을 달고 대구(對句)를 많이 쓰는 한문체(漢文體)의 하나; 토지 또는 인구에 할당되던 조세(租稅); 밀가루에서 얻어지는 글루텐으로 만든 식품. ((「生麩」와 「焼麩」가 있음)); 보; 『음악』 음보(音譜). 악보(樂譜); 기보(碁譜);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계통을 세워 순서 있게 적은 기록. 계보. 도감
今も あなたの好きな歌 リピートしてるんだ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歌
노래. ((동요·가요·민요·속요 등의 총칭)) 〔참고〕 「唄」라고도 씀; 短歌. 和歌. ((넓은 뜻으로는 시))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私も好きなんだよ」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私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そう言っていたのはね
言う
말하다; 이야기하다. 지껄이다; 묻다; 명령하다. 의뢰하다; (의견을) 진술하다; 조언하다. 비평하다; 표현하다; 〈「…を…と~」의 꼴로〉 …을 …이라고 (말)하다[부르다·일컫다]; 소리가 나다. 소리를 내다. 소리가 들리다; 〈「…と~」+体言, 「…と~·った」+体言, 「…と~·います」+体言의 꼴로〉 …이라는. …이라 하는. 〔참고〕 「いう」 자체는 실질적인 뜻이 없으며, 흔히 仮名로 씀; 〈「…と~」의 앞뒤에 같은 体言이 붙어〉 …이라는 …은(는) 모두;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と~·ったらない」 「…と~ものはない」가 이어져〉 이 이상 …한 것은 없다. 정말이지 …하다. 〔참고〕 「…といったらない」는 「…ったらない」로도 씀. 어형(語形)이 「いう」의 꼴이지만 발음은 「ユー」로 함. 현대 かな 쓰기에서 활용의 설명상 「いう」로 씀. 【가능동사】 い·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あなたの為で
為
서로 다른 의견. 서로 다른 견해; 이상함. 보통과 다름. 야릇함. 색다름. 기이함. 〔참고〕 현재는 「異な」의 꼴로 連体詞적으로 씀. {문어·ナリ 활용 }; 생각. 마음. 뜻. 기분. 관심; 의사. 의지; 말이나 행위가 나타내고 있는 내용. 의미. 뜻; 위. 〔반의어〕 経; 위도(緯度); 《断定의 助動詞 「だ」의 終止形, 疑問 또는 質問의 終助詞 「か」, 禁止의 終助詞 「な」, 다짐하는 終助詞 「ぞ」, 詠嘆 또는 感動의 終助詞 「わ」, 命令形의 活用語尾 「ろ」 등에 붙어》 친밀감을 담아 표현을 부드럽게 하는 말. ((남성이 동료·손아랫사람에 대해 허물없는 대화에서 씀. 단, 「だ」 「か」 「た」에 붙는 꼴은 노년의 여성도 씀)); 크고 훌륭함. 뛰어남. 위대함. {문어·ナリ 활용 }; 위; 지위. 자리; 등급·순번·위계 등을 나타냄; 자릿수; 망인(亡人)의 혼령을 세는 높임말; 『문어』 우물. 〔참고〕 옛날에는 샘이나 여울에서 물을 푸는 곳을 말했음; 해; 십이지(十二支)의 열두 번째. 〔동의어〕いのしし; 해시(亥時). 오후 10시. 또는 9시부터 11시까지의 2시간 동안. 〔동의어〕いのとき; 《속어》 돼지; 『문어』 담. 담낭. 쓸개. 〔동의어〕きも; 《고어》 멧돼지. 〔동의어〕いのしし; 《고어》 잠. 잠을 잠; 『문어』 거미줄. 거미집; 『식물·식물학』 골풀. 등심초. 〔동의어〕いぐさ·とうしんそう; 이. 「伊太利」의 준말. 〔참고〕 보통,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음; 『문어』 이. 특히, 동쪽 오랑캐. 〔동의어〕えびす; 『문어』 의. 옷. 의복. 의류. 〔동의어〕衣服; 『문어』 의; 병을 고침. 또는 의술; 의사. 〔동의어〕医師; ‘의사’의 뜻; 《「委員」 「委員会」의 준말. 接尾語적으로 씀》 위; 『문어』; 쉬움. 간단함. 용이함. 〔반의어〕 難; 안이함. 소홀함; 『문어』 위. 위력. 위광. 〔동의어〕威力·威光; 쟁(箏)의 열두째 현(絃) 이름; 위; 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 서쪽에 위치함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今はもう 嫌いになりそうなんだ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嫌い
싫음. 싫어함. 꺼림. 〔반의어〕好き. {문어·ナリ 활용 }; 〈보통 「…の~がある」 「…する~がある」의 꼴로〉 (좋지 않은) 경향. 성향; 〈보통 「…の~なく」의 꼴로〉 차별. 구별; 『문어』 귀래. 돌아옴; 《「機械水雷」의 준말》 기뢰
あなたからのメールを 全部消してみたけど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消す
끄다; 지우다; 없애다. 제거하다; 감추다; 들리지 않게 하다; 《속어》 죽이다. 〔동의어〕殺す. 【가능동사】 け·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全部
《副詞적으로도 씀》 전부. 모두. 전체. 〔동의어〕すべて. 〔반의어〕 一部; 전부. 앞 부분. 〔반의어〕 後部; 조리인. 요리사(料理師). 〔동의어〕料理人
メール
메일. 우편. 우편물
優しい声は 記憶から
優しい
쉽다. 용이하다. 〔동의어〕たやすい. 〔반의어〕 むずかしい. やさし·げ 【형용동사】 やさし·さ 【명사】 【문어형】 やさ·し {シク 활용}; (모습·용모 등이) 품위가 있고 아름답다. 우아하다. 아름답다; 온화하다. (마음씨가) 곱다. 부드럽다; 친절하고 다정하다. 상냥하다. やさし·げ 【형용동사】 やさし·さ 【명사】 やさし·み 【명사】 【문어형】 やさ·し {シク 활용}
記憶
기억. 〔동의어〕ものおぼえ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消えはしないんだろう
消える
사라지다. 없어지다. 스러지다; 지워지다; 느껴지지 않게 되다; (불이) 꺼지다; 가시다. 풀리다. 【문어형】 き·ゆ {하2단 활용}
「もしも願いが一つ叶うのなら」 なんてね
願い
바람. 바라는 일. 소망. 소원; 신불에게 빎·기원함; 원서
もしも
《「若し」의 힘줌말》 만약. 만일. 혹시
叶う
(조건이나 기준 등에) 꼭 맞다. 들어맞다; 이루어지다. 성취되다. 뜻대로 되다; 그렇게 할 수 있다. 그렇게 하는 것이 허용되다; 대항할 수 있다. 필적하다; 「かなえる」의 문어
一つ
하나. 한. 〔동의어〕いち·ひと; 동일함. 같음. 한가지. 일치함; 한편. 일면. 일방. 〔동의어〕一方; 〈否定語가 따르며〉 어느 하나를 내세워, 그와 비슷한 것 모두를 부정함. …하나(도). …조차; 그 이외는 없음을 강조함. …에 따라 결정됨. …나름; 좀. 한번. 시험 삼아; 아무쪼록. 부디. 〔동의어〕どうぞ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ありふれた事 想っては I wanna be with you
事
『문어』 말. 이야기; 말. 마디; 《의식·사고의 대상 중 「物」와 같은 구체적인 것이 아닌, 추상적인 것을 가리키는 말》; 세상에서 일어나는 사건·현상. 일; 행위. 행동. 행사; 큰일. 문제. 사건. 사태; 통칭이나 아호(雅號) 등과 본명 사이에 써서, 그것이 동일 인물임을 나타냄. 즉. 곧; 〈自称의 人代名詞에 붙어〉 ‘나에 대해서 말하면’의 뜻을 나타냄;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어 그 활용어를 名詞화하여 다음과 같은 뜻을 나타냄. 보통 かな로 씀》; 경험; 방침. 습관; 경우. 가능성; 필요; 전문(傳聞); 해야 할 일; 수; 사실. 것. 일; 〈形容詞의 連体形에 붙어 副詞적으로 쓰임〉; 〈動詞의 連体形 또는 動詞에 否定의 助動詞의 連体形이 붙은 꼴에 곁들여〉 가벼운 명령·금지를 나타냄; 가정(假定)의 사항을 나타냄; 《「…を~にする」의 꼴로》 다름; 『음악』 거문고. ((원래는 현악기의 총칭)); 고도. 옛 도읍; 호도. 얼버무려 넘김. 미봉(彌縫); 『문어』 《活用語의 連体形·終止形에 붙음》; 감동을 나타냄;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질문하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권유하는 뜻을 나타냄. 〔참고〕 「事」와 같은 어원. 동료 또는 손아랫사람에게 쓰는 여성어
いつまでも手を繋いで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何処までも行きたかった
何処
『문어』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어디. 어느 곳. 〔동의어〕いずこ·どこ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かじかんだ指先 温もりを探した
探す
찾다. 〔참고〕 「捜す」는 안 보이게 된 것을 찾는 경우에, 「探す」는 손에 넣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찾는 경우에 씀. 【가능동사】 さ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温もり
따스함. 온기. 〔동의어〕温み·暖かさ
指先
손가락끝. 손끝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明日
《「朝」에서 변한말》 내일. 명일. 〔동의어〕あす·みょうにち. 〔반의어〕 昨日; 『문어』; 아침. 〔동의어〕あさ. 〔반의어〕 夕べ; 다음날 아침. 〔동의어〕翌朝
向こう
맞은편. 건너편; 저쪽; 상대편; 이후. 금후. 향후; 「むこうさじき」의 준말; 무효. 〔반의어〕 有効. {문어·ナリ 활용 }
行ける
살리다. 되살리다. 소생시키다. 〔동의어〕生かす; (꽃·나뭇가지 등을) 화기(花器)에 꽂다. 꽃꽂이하다; 식물을 심다. 【문어형】 い·く{하2단 활용}; 《「行く」의 可能形》; 갈 수 있다; 잘 할 수 있다. 마음먹은 대로 되다.잘 나가다; (물건의 질이나 음식의 맛이) 꽤 쓸 만하다. 상당히 좋다; 술을 꽤 마시다. 술잔깨나 하다. 〔참고〕 2.~4.는 보통 かな로 씀; 《「生ける」와 어원이 같음》 묻다. 〔동의어〕うめる; (꺼지지 않도록) 숯불을 재 속에 묻다; 땅속에 묻다. 【문어형】 い·く {하2단 활용}; 『문어』 《문어의 4段動詞 「生く」의 已然形+完了의 助動詞 「り」의 連体形》 살아 있는. 생명이 있는
Oh, alone again
あなたのその笑顔も 大きな掌も
笑顔
웃는 얼굴. 웃음 띤 얼굴
掌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思い出になんか したくはなかった
思い出
추억. 추상. 회상
なんか
남하. 〔반의어〕 北上; 『문어』 남가. 남쪽으로 뻗은 가지. 남지. 〔동의어〕南枝; 연화; (단단한 물건이) 부드러워짐. 부드럽게 함; (태도·주장 등이) 누그러짐. 또는 누그러뜨림; 『경제』 (증권 거래에서) 시세가 내림; 『화학』 센물을 단물로 바꿈. 1.~3. 〔반의어〕 硬化; 『경제』 연화. 〔반의어〕 硬貨; 금이나 국제 통화인 달러와의 교환 능력이 없는 통화; 《代名詞 「なに」에 助詞 「か」가 붙은 「なにか」의 변한말》; 임의의, 또는 불특정한 사물을 가리킴. 무엇인가; 열거한 말의 마지막에 놓여, 앞의 것과 유사한 불특정한 어떤 것을 가리킴. 무엇인가. 그런 것. 〔참고〕 「なんぞ」보다 구어적임; 어쩐지. 어딘지 모르게. 〔동의어〕どことなく; 《連語 「なんか」가 助詞화한 말. 副助詞 「など」의 용법과 거의 같음》 …등. …들. …따위. …같은 것. 그러한[이러한] 것. 〔참고〕 보통, かな로 씀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明日
《「朝」에서 변한말》 내일. 명일. 〔동의어〕あす·みょうにち. 〔반의어〕 昨日; 『문어』; 아침. 〔동의어〕あさ. 〔반의어〕 夕べ; 다음날 아침. 〔동의어〕翌朝
向こう
맞은편. 건너편; 저쪽; 상대편; 이후. 금후. 향후; 「むこうさじき」의 준말; 무효. 〔반의어〕 有効. {문어·ナリ 활용 }
行ける
살리다. 되살리다. 소생시키다. 〔동의어〕生かす; (꽃·나뭇가지 등을) 화기(花器)에 꽂다. 꽃꽂이하다; 식물을 심다. 【문어형】 い·く{하2단 활용}; 《「行く」의 可能形》; 갈 수 있다; 잘 할 수 있다. 마음먹은 대로 되다.잘 나가다; (물건의 질이나 음식의 맛이) 꽤 쓸 만하다. 상당히 좋다; 술을 꽤 마시다. 술잔깨나 하다. 〔참고〕 2.~4.는 보통 かな로 씀; 《「生ける」와 어원이 같음》 묻다. 〔동의어〕うめる; (꺼지지 않도록) 숯불을 재 속에 묻다; 땅속에 묻다. 【문어형】 い·く {하2단 활용}; 『문어』 《문어의 4段動詞 「生く」의 已然形+完了의 助動詞 「り」의 連体形》 살아 있는. 생명이 있는
oh, alone again
いつまでも手を繋いで
手
어떤 일·직무·임무를 맡는 사람임을 나타냄. 수; 시(詩)를 세는 말. 수; 초목을 세는 말. 주. 〔동의어〕株; 주; 주인; 주군; 중심; 『기독교』 주님. 1.〔반의어〕客. 2.3.〔반의어〕従; 주; 주홍색 안료; 붉은 글자. 교정지에 고쳐 써넣은 붉은 글자; 『문어』 주. 술. 〔동의어〕さけ; ⇒ しゅう< 2> ; 종; 『식물·식물학』 종자; 종류; 『생물학』 생물 분류상의 단위; 옛 중량 단위. 一銖는 一両의 24분의 1; 옛날의 이율의 단위. 一銖는 一割의 10분의 1; 『불교』 취. 중생이 자신이 지은 업(業)에 의하여 가서 사는 세계
何処までも行きたかった
何処
『문어』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어디. 어느 곳. 〔동의어〕いずこ·どこ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かじかんだ指先 温もりを探した
探す
찾다. 〔참고〕 「捜す」는 안 보이게 된 것을 찾는 경우에, 「探す」는 손에 넣고 싶은 것, 보고 싶은 것을 찾는 경우에 씀. 【가능동사】 さ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温もり
따스함. 온기. 〔동의어〕温み·暖かさ
指先
손가락끝. 손끝
心はずっと no way, no way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ずっと
다른 것과 비교해서 차이가 많은 모양; 시간적 차이가 많은 모양; 오랫동안 계속되는 모양; 머뭇거리지 않는 모양
明日はその向こうへ行けるかな
明日
《「朝」에서 변한말》 내일. 명일. 〔동의어〕あす·みょうにち. 〔반의어〕 昨日; 『문어』; 아침. 〔동의어〕あさ. 〔반의어〕 夕べ; 다음날 아침. 〔동의어〕翌朝
向こう
맞은편. 건너편; 저쪽; 상대편; 이후. 금후. 향후; 「むこうさじき」의 준말; 무효. 〔반의어〕 有効. {문어·ナリ 활용 }
行ける
살리다. 되살리다. 소생시키다. 〔동의어〕生かす; (꽃·나뭇가지 등을) 화기(花器)에 꽂다. 꽃꽂이하다; 식물을 심다. 【문어형】 い·く{하2단 활용}; 《「行く」의 可能形》; 갈 수 있다; 잘 할 수 있다. 마음먹은 대로 되다.잘 나가다; (물건의 질이나 음식의 맛이) 꽤 쓸 만하다. 상당히 좋다; 술을 꽤 마시다. 술잔깨나 하다. 〔참고〕 2.~4.는 보통 かな로 씀; 《「生ける」와 어원이 같음》 묻다. 〔동의어〕うめる; (꺼지지 않도록) 숯불을 재 속에 묻다; 땅속에 묻다. 【문어형】 い·く {하2단 활용}; 『문어』 《문어의 4段動詞 「生く」의 已然形+完了의 助動詞 「り」의 連体形》 살아 있는. 생명이 있는
oh, alone again
アメリカ ガザ地区に初めて支援物資を投下 3万8000食(2024年3月3日)
東京都で新たに58人の感染確認(20/06/29)
あやとり 「オウム」の作り方 動画
クリミア石油施設炎上 「ドローンが突っ込んだ」(2023年4月30日)
ホワイトデーも非接触 駅のコインロッカーを活用(2021年3月12日)
マルコメ 料亭の味 液みそ 上京篇 90秒
MAD HEAD LOVE
MAD HEAD LOVEナガシマスパーランド新アトラクション スターフライヤーを体験!
冬の暖房費 石油と電気お得のはどっち?ストーブとエアコンを比較検証した結果!?
Travel Japanese: Going to a Restaurant
Travel Japanese: GoingĐể lại thông tin của bạn nhé!
Bạn cần nâng cấp lên tài khoản cao cấp để sử dụng tính năng này
Bạn có chắc chắn muốn kiểm tra lại không?
Bạn hãy nâng cấp tài khoản để đọc báo không giới hạn số lần
Todaii Japanese là website học và đọc báo tiếng Nhật tích hợp các tính năng khác như từ điển, luyện tập, thi thử,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ường Chinh, Khương Mai, Thanh Xuân, Hà Nộ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