吉野さんの妻・久美子さんは今日午前、神奈川県藤沢市の自宅前で取材に応じ、
吉野さんの妻・久美子さんは今日午前、神奈川県藤沢市の自宅前で取材に応じ、
「気持ちが高ぶり、一睡もできなかった」と話しました。
心臓の高鳴りが聞こえるようです。
神経が高ぶっていたというか、一睡もできませんでした。
留守電の方にかなりの数の(メッセージが)入っていました
会って最初に何と話したい?
おめでとう、良かったねと
自宅周辺では近所の人から驚きや喜びの声が上がっています。
すごいと思いました。びっくりしました
「やっぱりやったかと、そういう感じですね。
四十何年、彼のあの笑顔って初めて。
彼のそのまま表しているってそんな感じですね
吉野さんの妻・久美子さんは今日午前、神奈川県藤沢市の自宅前で取材に応じ、
市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妻
《주로 한자어에 붙어》 재…. 재차. 다시 한 번; …제. 축제. 잔치; …재. ((방의 이름이나 아호(雅號) 등에 붙이는 말. 一刀~, 六無~ 등; 세. 나이; 재주. 재능; 처. 아내. 〔동의어〕つま·家内; 주사위. 〔동의어〕賽子; 채색(彩色). 배색(配色); (옛날, 대장이 싸움을 지휘할 때 쓰던) 采配. ((대가 짧은 총채 비슷한 도구)); 차이; 『문어』 미세함. 자세함; 채소; 『동물·동물학』 무소. 코뿔소; 채; 채권(債券); 때. 즈음. 기회. 〔동의어〕おり; 『문어』 으뜸감. 최상. 제일. {문어·タリ 활용}; 가장. 더할 나위 없는
応じる
⇒ おうずる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取材
주제. 주성분이 되는 약; 꽃꽂이 등의 주재료; 주범. 주모자; 취재
自宅
자택. 자기 집. 〔동의어〕私宅
「気持ちが高ぶり、一睡もできなかった」と話しました。
気持ち
기분. 감정. 심정. 마음. 의사; 몸의 상태. 느낌; 마음의 표현; 〈副詞적으로〉 조금. 약간만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話す
풀어놓다. 놓아주다; (잡고 있던 것을) 놓다. 〔참고〕 2.는 「離す」로도 씀.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말하다. 이야기하다; 의논하다. 상의하다. 〔동의어〕相談する.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떼다. 놓다. 풀다. 옮기다; 거리를 두다. 사이를 띄우다.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一睡
한 번 밥을 지음. 〔참고〕 짧은 시간의 형용에 씀; 한잠. 한잠 잠. 〔동의어〕一眠り; 한 이삭; (불꽃이 이삭 모양인 데서) 한 불꽃. 또는 불꽃 하나; 『문어』 일수. 물이 넘침. 물을 넘치게 함
心臓の高鳴りが聞こえるようです。
聞こえる
(소리가) 들리다; (…으로) 여겨지다. 해석되다. 받아들여지다; 납득되다. 이해되다; 세상에 알려지다. 이름나다. 【문어형】 きこ·ゆ {하2단 활용}
高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心臓
심상. 이미지. 〔동의어〕イメージ; 『생리학』 심장. 염통; 사물의 중요부; 《속어》 〈「~だ」의 꼴로〉 뱃심좋다. 뻔뻔스럽다; 신상. 신의 화상(畵像)이나 조상(彫像); ⇒ しんぞ
鳴り
《名詞 「成り」 「形」와 같은 語源》; 〈名詞에 붙어〉 모양·상태를 나타냄. …모양. 〔참고〕 「形」로도 씀; 그것에 알맞음을 나타냄. …나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그대로 따름을 나타냄. …대로. 〔참고〕 「成り」로도 씀; 열매 등이 열림. 결실; 《動詞 「成る」의 連用形의 名詞화》; ⇒ おなり; 모양. 모양새. 꼴. 옷차림. 〔동의어〕身なり; 몸집. 몸매. 〔동의어〕体つき; 울림. 울리는 소리; 《動詞 또는 助動詞의 終止形에 붙음》; 〈순간적인 동작을 나타내는 動詞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이 행해짐을 나타냄. …하자마자; 〈完了의 助動詞 「た」에 붙어〉 어떤 동작·상태를 계속하고 있으면서 딴 동작을 함을 나타냄. …채(로); 《体言·副詞·活用語의 連体形·助詞에 붙음》; 어떤 사항을 예시함. 그 밖에도 적당한 것이 있음을 은연중에 비침. …라도. …든지; 〈의문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전면적인 긍정을 나타냄. …든지. …라도; 〈「a~b~」의 꼴로〉 병렬·열거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을 나타냄. …든(지). …나. 〔참고〕 3.은 並立助詞라고도 하며 뒤의 「なり」는 생략되는 경우도 있음; 《고어》 《格助詞 「に」에 動詞 「あり」가 융합되어 생긴 말》
神経が高ぶっていたというか、一睡もできませんでした。
神経
신경; 『생리학』 생물의 지각·운동·분비·영양을 조절하는 기관; 사물을 느끼거나 생각하는 힘. 감각. 감수성; 『문어』 진경. (회화·문학 작품의 묘사의 대상이 되는) 실제의 경치. 실경; 『문어』 신계. 새벽을 알리는 닭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一睡
한 번 밥을 지음. 〔참고〕 짧은 시간의 형용에 씀; 한잠. 한잠 잠. 〔동의어〕一眠り; 한 이삭; (불꽃이 이삭 모양인 데서) 한 불꽃. 또는 불꽃 하나; 『문어』 일수. 물이 넘침. 물을 넘치게 함
留守電の方にかなりの数の(メッセージが)入っていました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数
수; 수가 많음. 여러 가지; 손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아래 그림. 〔반의어〕 上図
かなり
꽤. 제법. 상당히. 어지간히. {문어·ナリ 활용 }; 가(可)하다. …해도 좋다
入る
들어가다. 들다. 〔동의어〕はいる. 〔반의어〕 出る; (어떤 경지에) 이르다; (해·별·달이) 지다; (어떤 환경에) 몸두다; (차차 변하여) 어떤 상태에 이르다. 〔참고〕 현재는 보통 단독으로는 「はいる」가 쓰이고 「いる」는 「気に入る」「堂に入る」등 관용적인 표현에 쓰이는 것이 보통임; 「入れる」의 문어; 필요하다. 들다. 소용되다. 〔참고〕 「入る」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볶다; (달걀·두부 등을) 지지다. 【가능동사】 い·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사람이나 동물이) 있다. 존재하다. 〔참고〕 옛날에는 물건에 대해서도 썼음; 근무하다; 앉다; 《고어》 (안개·구름 등이) 가만히 있다. 머물러 있다. {문어·하1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て(で)」에 붙어》; 동작·상태가 계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음을 나타냄; 동작·작용의 반복을 나타냄; 현재의 상태를 나타냄; 과거에 있었던 동작·경험 등을 나타냄. 〔참고〕 「…ている」 「…ています」 「…ていた」는 상용어(常用語)에서 흔히 「…てる」 「…てます」 「…てた」의 꼴로 씀.{문어·하1단 활용}; 쏘다; (쏘아서) 맞히다; 쏘아보다; (자기 것을 만들려고) 노리다. 노려서 차지하다; (빛이 강렬하게) 비추다. 〔참고〕 근세 후기 부터 「矢を射った」와 같이 5[4]段으로 활용되는 예를 볼 수 있음. {문어·상1단 활용}; 주조하다. (거푸집에) 부어 만들다. 지어 붓다. {문어·상1단 활용}
メッセージ
메시지; 전언. 〔동의어〕伝言·ことづて; (미국 대통령의) 교서
会って最初に何と話したい?
最初
자세히 씀. 또는 그 글; 최초. 맨 처음. 〔반의어〕 最後·最終
会う
만나다. 대면하다; 서로 알게 되다. 사귀다; 우연히 마주치다. 〔참고〕 「会う」는 ‘어떤 곳에 모여서 대면하다’의 뜻이며 일반적으로 널리 쓰임. 「逢う」는 ‘약속하고 만난다’는 뜻으로 씀. 【가능동사】 あ·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맞다. 일치하다. 합치(合致)하다; 어울리다. 알맞다. 조화되다; 〈흔히 「~·わない」의 꼴로 씀〉 수지맞다. 〔동의어〕引き合う;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른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서로…하다. 주고받다; …하여 합치다. 만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떤 일을) 만나다. 겪다. 당하다. 봉착(逢着)하다; 우연히 만나다. 마주치다. 〔참고〕 「会う」 「逢う」로도 씀. 【문어 4단 활용 동사】
話す
풀어놓다. 놓아주다; (잡고 있던 것을) 놓다. 〔참고〕 2.는 「離す」로도 씀.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말하다. 이야기하다; 의논하다. 상의하다. 〔동의어〕相談する.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떼다. 놓다. 풀다. 옮기다; 거리를 두다. 사이를 띄우다. 【가능동사】 はな·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何と
奈良에 있는 興福寺의 딴이름. 〔반의어〕 北嶺; 《「なにと」의 변한말》; 어떻게. 어찌; 뭐라고; 어쩌면 그렇게. 이 얼마나. 〔동의어〕なんて; 《고어》 〈反語적으로 써서〉 어찌…하겠는가; 사람을 부를 때의 말. 여보세요. 〔동의어〕もし; 상대편에게 말을 걸거나 동의를 구하거나 의향을 물을 때 하는 말. 자, 봐요. 어때; 다짐하거나 반문하거나 힐책할 때 하는 말. 어때;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라느니. 따위. 등. 〔참고〕 「なにと」의 변한 꼴로 「など」의 예스러운 말
おめでとう、良かったねと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自宅周辺では近所の人から驚きや喜びの声が上がっています。
近所
근처. 이웃. 〔동의어〕付近
喜び
기뻐함. 기쁨. 〔반의어〕 悲しみ; 경사스러운 일. 경사. 〔동의어〕おめでた; 축하의 말. 축사
周辺
주변; 종편. 마지막 편. 〔동의어〕初篇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上がる
(위로) 오르다. 올라가다. 올라오다. 〔반의어〕 おりる; (욕탕에서) 나오다. 〔반의어〕 入る; (방에) 들어가다. 들어오다; (지위·정도 등이) 오르다; (어떤 상태가) 좋아지다. 〔반의어〕 下がる; 입학하다. 진학[진급]하다; (신불에게) 바쳐지다; (수입·이익·효과 등이) 거두어지다; 흥분하다. 상기하다; 「行く」 「訪ねる」의 겸사말; (가격 등이) 오르다. 비싸지다. 〔반의어〕 下がる; (겉보기가) 좋아지다; 끝나다. 마치다; (돈이) 들다. 먹히다; (물고기·초목이) 죽다. 말라 죽다; (쌍륙 등에서) 말이 날밭에 들어서다; 몰수당하다; (京都 시내에서) 북쪽으로 가다. ((황궁(皇宮)이 시내 북쪽에 있었기 때문임)) 〔반의어〕 下がる; (몸의 일부가) 위로 올라가다. 〔참고〕 「挙がる」로도 씀; 높이 솟아오르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일다. 왕성해지다; (배에서 뭍으로) 오르다. 상륙(上陸)하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이 끝남을 나타냄. 다 …하다. 끝나다; 동작·상태가 극도에 달함을 나타냄. 아주 …하다. 완전히 …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飲む」 「吸う」의 높임말》 드시다. 잡수시다. 〔동의어〕召しあがる.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범인이) 잡히다. 검거되다; (증거가) 드러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튀겨지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驚き
놀람; 《속어》 놀라운 일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自宅
자택. 자기 집. 〔동의어〕私宅
すごいと思いました。びっくりしました
思う
생각하다; 판단을 내리다. 믿다; 느끼다; 예상하다. 추측하다; 원하다. 소망하다; 회상하다; 사랑하다. 그리워하다. 사모하다. 소중히 하다; 〈「…と~」의 꼴이나 形容詞·形容動詞의 連用形을 받아서〉 …라고 생각하다. …하려고 결심하다. 〔참고〕 「考える」는 객관적·지적인 경우에만 쓰는데, 「思う」는 감정적·의지적·주관적인 경우에도 씀. 【가능동사】 おも·える【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すごい
무시무시하다. 무섭다; 굉장하다. 대단하다; 《속어》 〈連用形을 副詞적으로 써서〉 대단히. 무척; (정도가) 심하다. すご·さ 【명사】 すご·み 【명사】 【문어형】 すご·し {ク 활용}
びっくり
《「~する」의 꼴로 쓰는 일이 많음》 깜짝 놀람
「やっぱりやったかと、そういう感じですね。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やっぱり
《「やはり」의 변한말》 역시. 과연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四十何年、彼のあの笑顔って初めて。
彼
바람·비·파도 등이 거칢. 폭풍우. 풍파; 건물이나 물품이 상함; 어떤 일의 진행이나 시세 등이 심하게 변동함; 살갗이 거칠거칠해짐; 놀라거나 이상해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어. 아니. 어머나. 저런. 아이고머니나. 〔동의어〕あれえ·あら. 〔참고〕 代名詞 「彼」와 어원이 같음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四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말에 붙음. 지. 까지. …에 이름. 〔반의어〕 自; 지. 역사서임을 나타냄. 기록; 사. 사자(使者). 사절(使節); 동배(同輩) 이상의 여성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님. 여사. 〔반의어〕 兄; 지. 신문의 뜻을 나타냄; 《주로 한자어에 붙어 名詞·サ変動詞의 語幹을 만듦》 ‘…로 간주하다’ ‘…로 취급하다’의 뜻을 나타냄. 시; 『문어』 나이. 연령; 지; 잡지의 뜻을 나타냄; 기록한 문서의 뜻을 나타냄; (江戸 시대의) 무사. 무사 계급. 〔동의어〕武士·さむらい; 선비. 남자; (법률상) 전문직의 자격을 가진 사람. 사; 자; 아들; 「子爵」의 준말; 「孔子」의 준말; 『문어』 친한 사이의 동년배나 손아랫사람을 부를 때의 호칭. 군(君). 자네; 〈주로, 동작성(動作性)의 名詞에 붙음〉 남자를 뜻하는 자칭(自稱). …자; 〈인명에 붙어〉 친숙함을 나타냄. 형; 옛날, 귀족 여성의 이름에 붙여 사용한 글자; 작은 것을 나타냄. …자; 《「支那」의 준말》 지. 지나. 중국; 관장하는 사람; 관아. 관청; 담당자; 역사; 《歴》 大宝令 제도에서, 문서·서무를 관장하던 제4등의 관리; 사. 역사; 사. 넷. 〔동의어〕よ·よん·よつ·よっつ; 시. 시장. 장. 저자. 〔동의어〕いち·いちば; 시가(市街). 도시. 〔동의어〕まち;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시; 사; 죽음. 〔반의어〕 生; 『문어』 사형. 사죄(死罪); (변하여) 활동하지 않게 됨. 활동을 멈춤. 기능을 못하게 됨; (비유적으로) 까닭 모르게 무서움. 어쩐지 기분이 나쁨; (야구에서) 사. 아웃; 사. 1의 1만분의 1. 모(毛)의 10분의 1; 『문어』 사. 개인에 관한 일. 사사(私事). 〔반의어〕 公; 『문어』; 가시. 〔동의어〕とげ·はり; (변하여) 가시돋친 말. 상대의 급소를 찌르는 비평; 명함. 〔동의어〕名刺; 『문어』 가지. 또는 손발. 수족; 『문어』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가지. 자루; 《고어》 음식. 밥. 먹을것; 『문어』 군대. 전쟁; 선생. 스승; 전도(傳道)하는 사람; (군대의) 「師団」의 준말; 사; 종교가·예능인 등의 이름에 붙여 경의를 나타냄; 『식물·식물학』 가래나무; 판목(版木); 『문어』 보랏빛. 자색; 사; 『언어학』 일본어의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로 크게 나눈 둘 중의 하나. 〔반의어〕 辞; 『문어』 사. 사자(嗣子). 후사(後嗣); 『문학』; 시; 한시(漢詩); 『문어』 시험; 시험함. 시도함; 재화. 재산. 자금. 자본; 재료. 자료; 도움. 원조; 천성. 자질(資質); 『문어』 사두 마차. 또는 그 네마리의 말; 《他称의 人代名詞》 그. 이분. 그분. ((주로 남자를 이름)) 〔동의어〕かれ·その人·この方; 씨. 보통 남자의 성명 아래 붙여 경의를 나타냄; 〈「人」의 높임말. 한자 수사에 붙어〉 분;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서 앞뒤의 말을 접속함》; 앞에 말하는 사항이 뒤에 말하는 사항과 병렬적·대비적인 관계임을 나타냄; 앞에서 든 사항이 원인·이유가 됨을 나타냄; 〈終助詞적으로 써서〉 하나의 사실이나 조건을 말하고, 결론을 은연중에 암시하는 뜻을 나타냄; 상반되는 조건·사항을 열거함. …고; 〈「…まいし」의 꼴로〉 상대를 나무라거나 얕보는 뜻을 나타냄; 『문어』 《「今~も」 「必ず~も」 「ただ~」 등 관용적(慣用的)으로 씀》 앞말을 가리켜 의미를 강조하고, 어조(語調)를 고름
笑顔
웃는 얼굴. 웃음 띤 얼굴
十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彼のそのまま表しているってそんな感じですね
彼
바람·비·파도 등이 거칢. 폭풍우. 풍파; 건물이나 물품이 상함; 어떤 일의 진행이나 시세 등이 심하게 변동함; 살갗이 거칠거칠해짐; 놀라거나 이상해하거나 할 때 내는 소리. 어. 아니. 어머나. 저런. 아이고머니나. 〔동의어〕あれえ·あら. 〔참고〕 代名詞 「彼」와 어원이 같음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表す
저술하다. 책을 써서 펴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모습·모양을) 나타내다. 드러내다. 〔참고〕 보통 「現す」로 씀; (감정 등을) 나타내다. 띠다. 띄우다. 보이다. 〔참고〕 보통 「表す」로 씀; (생각·의지 등을) 발표하다. 표현하다. 표명하다; (어떤 것이) 기호로서 그 내용을 표시하다. 상징하다. 〔참고〕 「表す」로 씀; (착한 일 등을) 널리 알리다. 〔참고〕 흔히 「顕す」로도 씀. 【가능동사】 あらわ·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そのまま
본래대로의 상태. 이제까지와 같은 상태. 〔동의어〕そのまんま; (지금) 그대로. 본디대로; (…하는) 즉시. …하자마자; 〈接尾語적으로 씀〉 거의 그대로. 아주 비슷하게. 1.~3.〔동의어〕そのまんま
手のひらちょこんとサイズの「手乗り白菜」(2023年2月20日)
米・人気ドラマの主役になりきれる部屋が登場(2021年11月6日)
【自己紹介】はじめまして!キズナアイですლ(´ڡ`ლ)
“愛国”を強調 香港駐留の中国軍がPRビデオ(2021年8月10日)
さくらcolor
あなたのことが好きだなんて言えないんです
みずほ銀行 法人向けサイトの不具合解消も原因不明(2022年1月11日)
Japanese Word - Physical Appearance
桜の樹の下
サンマの「適切な漁獲枠」が焦点 海洋資源の国際会議始まる(2024年4月15日)
Để lại thông tin của bạn nhé!
Bạn cần nâng cấp lên tài khoản cao cấp để sử dụng tính năng này
Bạn có chắc chắn muốn kiểm tra lại không?
Bạn hãy nâng cấp tài khoản để đọc báo không giới hạn số lần
Todaii Japanese là website học và đọc báo tiếng Nhật tích hợp các tính năng khác như từ điển, luyện tập, thi thử,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ường Chinh, Khương Mai, Thanh Xuân, Hà Nộ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