昨日の夜から関東甲信では山沿いや内陸を中心に雪が降っています。
Snow cover in the Koshi Kanto mountains Central Tokyo will have snow this morning? (20/01/18)
698 view昨日の夜から関東甲信では山沿いや内陸を中心に雪が降っています。
東京都心でもこの後、雪が降る見込みです。
南岸を通過する低気圧や上空の寒気の影響で、関東甲信では南部を中心に雨や雪が降っています。
すでに雪が積もっている所もあり、午前5時半までの積雪は神奈川県箱根町で8センチ、山梨県河口湖で2センチなどです。
現在、神奈川県や山梨県、静岡県に大雪注意報が出されています。
この後、午前中は東京都心でも雪やみぞれが降る見込みですが、都心で雪が積もる可能性は低く、交通機関への大きな影響はないとみられます。
ただ、山沿いでは積雪や路面の凍結に注意して下さい。
昨日の夜から関東甲信では山沿いや内陸を中心に雪が降っています。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内陸
내륙
沿い
《명사에 붙어, 그것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나아가거나 나란히 있거나 함을 나타냄》 …을 따라서. …에 연(沿)하여; ⇒ い . 〔참고〕 終助詞 「ぞ」에 다시 終助詞 「い」가 붙은 것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降る
《「お~」의 꼴로》 고물. 퇴물림; 헌. 낡은; 이전의. 옛; 경험[연공]을 쌓은; (몸의 어떤 부위를) 움직이다. 흔들다; (어떤 물체의 일부를) 잡고 흔들다. 휘두르다; 뿌리다; 흔들어서 던지다; 잃다. 버리다. 날리다; 거절하다. 퇴짜놓다. 포기하다; 할당하다. 매기다. 〔동의어〕ふり当てる; 토를 달다; (어음·수표 등을) 발행하다. 떼다; 방향을 돌리다[틀다]; 「ふれる」의 문어; (비·눈 등이) 내리다. 오다. 떨어지다; 사물이 닥치다. 몰려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헐어지다. 낡아지다. 쇠퇴해지다. 황폐해지다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東京都心でもこの後、雪が降る見込みです。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都心
『문어』 토순. 언청이. 〔동의어〕みつくち·いぐち; 『문어』 투심. 질투심; 도심. 도심지
降る
《「お~」의 꼴로》 고물. 퇴물림; 헌. 낡은; 이전의. 옛; 경험[연공]을 쌓은; (몸의 어떤 부위를) 움직이다. 흔들다; (어떤 물체의 일부를) 잡고 흔들다. 휘두르다; 뿌리다; 흔들어서 던지다; 잃다. 버리다. 날리다; 거절하다. 퇴짜놓다. 포기하다; 할당하다. 매기다. 〔동의어〕ふり当てる; 토를 달다; (어음·수표 등을) 발행하다. 떼다; 방향을 돌리다[틀다]; 「ふれる」의 문어; (비·눈 등이) 내리다. 오다. 떨어지다; 사물이 닥치다. 몰려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헐어지다. 낡아지다. 쇠퇴해지다. 황폐해지다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見込み
전망. 예정. 예상. 〔동의어〕予想; 장래성. 가망. 희망. 〔동의어〕将来性·可能性; 찻종이나 주발의 안쪽
南岸を通過する低気圧や上空の寒気の影響で、関東甲信では南部を中心に雨や雪が降っています。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通過
『경제』 통화; 통과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気圧
『물리』 기압; 『물리』 (보일러 안의) 증기 압력
上空
상공
寒気
관기. 관리가 지켜야 할 규율. 관청의 규칙. 관리의 기강; 관료의 임명서; 『기상』 건계. 건기. 건조기. 〔반의어〕 雨季; 주군(主君)·주인·아버지·스승 등으로부터 받는 책망. 꾸중; 환기; 한기. 추위. 〔동의어〕寒さ. 〔반의어〕 暑気; 환기; 환희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降る
《「お~」의 꼴로》 고물. 퇴물림; 헌. 낡은; 이전의. 옛; 경험[연공]을 쌓은; (몸의 어떤 부위를) 움직이다. 흔들다; (어떤 물체의 일부를) 잡고 흔들다. 휘두르다; 뿌리다; 흔들어서 던지다; 잃다. 버리다. 날리다; 거절하다. 퇴짜놓다. 포기하다; 할당하다. 매기다. 〔동의어〕ふり当てる; 토를 달다; (어음·수표 등을) 발행하다. 떼다; 방향을 돌리다[틀다]; 「ふれる」의 문어; (비·눈 등이) 내리다. 오다. 떨어지다; 사물이 닥치다. 몰려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헐어지다. 낡아지다. 쇠퇴해지다. 황폐해지다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南部
남부; 본디, 호족(豪族)인 南部씨의 영지였던 岩手현 盛岡 지방
南岸
남안. 남쪽 해안. 〔반의어〕北岸.
すでに雪が積もっている所もあり、午前5時半までの積雪は神奈川県箱根町で8センチ、山梨県河口湖で2センチなどです。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積もる
(높이) 쌓이다. 모이다; (감정 등 형태가 없는 것이) 쌓이다. 밀리다. 늘다; 세월이 지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림잡다. 셈치다. 예상하다. 짐작하다. 〔동의어〕見積もる; 추측하다. 헤아리다. 〔동의어〕おしはか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町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センチ
센티; 「センチメートル」의 준말; 《흔히, 「お~」의 꼴로 여성이 씀. 「センチメンタル」의 준말》 센티멘털. 센티. 감상적
積雪
적설.
現在、神奈川県や山梨県、静岡県に大雪注意報が出されています。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現在
『기독교』 원죄; 현재; 〈副詞的으로도 씀〉 지금. 〔동의어〕今. 〔반의어〕 過去·未来; 『언어학』 현재형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雪
대설. 큰눈. 〔반의어〕 小雪
注意報
주의보.
この後、午前中は東京都心でも雪やみぞれが降る見込みですが、都心で雪が積もる可能性は低く、交通機関への大きな影響はないとみられます。
交通
교통; (사람·국가간의) 내왕. 교제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可能
『의학』 화농. 곪음; 『언어학』 가능태(可能態). ((「理解する」에 대하여 「理解できる」 따위)); 과납. (세금 등을) 필요 이상으로 납부함; 『문어』 가납; 선물 등을 윗사람이 기꺼이 받아들임
機関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積もる
(높이) 쌓이다. 모이다; (감정 등 형태가 없는 것이) 쌓이다. 밀리다. 늘다; 세월이 지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어림잡다. 셈치다. 예상하다. 짐작하다. 〔동의어〕見積もる; 추측하다. 헤아리다. 〔동의어〕おしはか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都心
『문어』 토순. 언청이. 〔동의어〕みつくち·いぐち; 『문어』 투심. 질투심; 도심. 도심지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低い
낮다. 〔반의어〕 高い; 높이가 낮다. 작다; (지위·신분이) 높지 않다; 정도가 높지 않다. 얕다; 음향학(音響學)에서, 음의 진동수가 적다. 저음이다; 능력이 모자라다. ひく·さ 【명사】 【문어형】 ひく·し {ク 활용}
降る
《「お~」의 꼴로》 고물. 퇴물림; 헌. 낡은; 이전의. 옛; 경험[연공]을 쌓은; (몸의 어떤 부위를) 움직이다. 흔들다; (어떤 물체의 일부를) 잡고 흔들다. 휘두르다; 뿌리다; 흔들어서 던지다; 잃다. 버리다. 날리다; 거절하다. 퇴짜놓다. 포기하다; 할당하다. 매기다. 〔동의어〕ふり当てる; 토를 달다; (어음·수표 등을) 발행하다. 떼다; 방향을 돌리다[틀다]; 「ふれる」의 문어; (비·눈 등이) 내리다. 오다. 떨어지다; 사물이 닥치다. 몰려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헐어지다. 낡아지다. 쇠퇴해지다. 황폐해지다
雪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저; 마디. 이은 자리; 알맞은 정도; 강한 의지. 신념; 때. 무렵; 절; 문장·시가·기간 등의 한 구분. 단락; 명절; 설; 의견. 주장; 학설; 한문(漢文) 문체의 한 가지; 『의학』 절. 절양(癤瘍). ((화농성 급성 피부염의 한 가지)); 간절함. {문어·ナリ 활용 }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見込み
전망. 예정. 예상. 〔동의어〕予想; 장래성. 가망. 희망. 〔동의어〕将来性·可能性; 찻종이나 주발의 안쪽
ただ、山沿いでは積雪や路面の凍結に注意して下さい。
注意
중위; 중정(中正)의 위치; (육·해군의) 중위. 〔반의어〕 大尉·少尉; 주의; 마음을 집중함; (위험·재난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함. 경계함; 귀뜀을 함; 『심리학』 어떤 심적 내용이 의식(意識)에 떠오르고, 여타의 심적 내용이 억제되는 심적 과정
下さる
《「与える」 「くれる」의 높임말》; (윗사람이 아랫사람에게) 주시다. 내리시다. 〔동의어〕賜る; (윗사람 또는 상대편이) 자기에게 주시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下される」의 문어
沿い
《명사에 붙어, 그것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나아가거나 나란히 있거나 함을 나타냄》 …을 따라서. …에 연(沿)하여; ⇒ い . 〔참고〕 終助詞 「ぞ」에 다시 終助詞 「い」가 붙은 것
山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路面
노면
凍結
동결; 얼어붙음; 『경제』 (자산 등의) 사용이나 이동을 일정 기간 금함. 또는 그 금지된 상태
積雪
적설.
自衛隊ワクチン接種会場 25日で閉鎖 予約数が減少(2023年3月25日)
地球最後の告白を
真夏の通り雨
超簡単!材料2つでガトーショコラ | How To Make Gateau Chocolat with Two Materials
全国的に季節外れの暖かさ 東京は5月並みの陽気(2021年2月21日)
JR東日本が首都圏の減便取りやめ GW明けの混雑受け(2021年5月6日)
雨のち晴レルヤ
ふたりずっと
クリスマスソング
「大規模接種センター」予約時間は午前8時~午後8時(2021年5月16日)
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
Todaii Japanese est un site web pour apprendre et lire les actualités japonaises intégrant diverses fonctionnalités telles que dictionnaire, pratique, tests,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uong Chinh, Khuong Mai, Thanh Xuan, Han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