活発化している梅雨前線の影響で今日午前、静岡県で線状降水帯が発生し、災害の危険度が急激に高まっています。
Low pressure trough causing rain is active in Shizuoka Prefecture Warning of heavy rain in many places (2024/06/28)
279 lượt xem活発化している梅雨前線の影響で今日午前、静岡県で線状降水帯が発生し、災害の危険度が急激に高まっています。
気象庁は線状降水帯による非常に激しい雨が降り続いているとして、先ほど11時ごろに静岡県の西部と中部に対して、顕著な大雨に関する情報を発表しました。
自治体の発表する情報に従って避難するなど、安全の確保に努めてください。
また、昨晩からは鹿児島県の田代で1時間に63ミリ、長崎の諫早で1時間に56ミリなど、九州の各地でも今年一番の非常に激しい雨を観測しています。
特に先週から大雨が続いている鹿児島県は、雨が弱まったとしても夕方までは土砂災害に警戒が必要です。
活発な雨雲はこの後も静岡県など東海地方中心にかかり続けるほか、関東でも局地的に雷を伴って激しい雨が降る見込みです。
夜の帰宅時間帯にかけて、雨の降り方に警戒が必要です。
活発化している梅雨前線の影響で今日午前、静岡県で線状降水帯が発生し、災害の危険度が急激に高まっています。
危険
위험. 〔반의어〕 安全; 우려. {문어·ナリ 활용 }; 『천문』 기권. 대기권. 〔반의어〕 水圏·岩石圏; 『문어』 귀현. 신분이 높고 명성이 있음. 또는 그런 사람; 기권
線
수의 단위. 1의 1000만분의 1; 차린 음식. 밥상. 〔동의어〕膳部; 선. 큰배; 전; 전쟁; 시합; 경쟁; 종이; 옛 화폐 단위. 貫의 천분의 1. 〔동의어〕文; 화폐 단위. 円의 백분의 1; 돈. 특히, 금속 화폐; 천; 많음. 〔참고〕 서류에 금액 등을 적을 때는 「仟」 「阡」을 씀; 『문어』 신선. 선인; 앞. 장래. 미래. 〔동의어〕将来; 이전. 전. 〔동의어〕以前; 어떤 것 이전에 있던 것. 전 것; (바둑·장기 등에서) 선. 선수. 〔동의어〕先手; 마개. (수도) 꼭지; 『생리학』 선. 샘. 동물의 분비 기관(分泌器官); 방도. 방법; 효과. 보람. 〔동의어〕かい·効果; 결국. 필경; 『문어』 찬; 시나 문장을 지음; 많은 작품 중에서 골라 편집함; 선; 실처럼 가늘고 긴 것. 금. 줄; 방향. 방침; 수준. 기준. 한도. 범위; 윤곽. 인상. 느낌; 교통·통신·전기의 선. 노선. 항로; 『수학』 선. ((위치와 길이는 있으나 폭과 두께가 없는 것)); 도로·철도·항공 노선 등을 뜻함. 선; 선. 가려 냄. 뽑음. 뽑은 것; 「選集」의 뜻을 나타냄. 선집; 「選挙」의 뜻을 나타냄. 선거; 전. 벽돌의 한 가지; 『문어』 전. 모직 깔개. 양탄자. 〔동의어〕毛氈; 천. 온천
梅雨
매우. 장마. 매림(梅霖). 〔동의어〕ばいう; 장마철. 〔동의어〕つゆどき; 국물; 〈「お~」의 꼴로〉 맑은장국. 〔동의어〕吸い物; 이슬; 조금. 추호; 덧없는 것; 눈물; 《「~も」의 꼴로도 씀. 뒤에 반드시 否定語가 따름》 조금도. 전혀. 꿈에도. 〔참고〕 보통 かな로 씀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帯
(일본옷에서) 허리에 두르는 띠. 또는 띠 모양의 것; 「帯紙」 「帯番組」의 준말
急激
(일본 영화에서 현대극에 대해) 시대극(時代劇)을 이르는 말; 급격. {문어·ナリ 활용 }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状
성; 병풍·막 등을 세는 말. 폭; 종이·김 등을 세는 말. 미농지는 48매, 반지는 20매, 서양 종이는 12매, 김은 10매가 一帖임; 접책(摺册)을 세는 말. 첩; 중의 가사를 세는 말. 벌; 『수학』 승. 승수. 곱수; 『문어』 수레를 세는 말. 채. 대; 다다미를 세는 말. 장. 〔참고〕 「帖」로도 씀; 상. 〔반의어〕 中·下·; (가치·계급·순위·지위 등이) 제일 위임. 훌륭함. 〔동의어〕うえ; (책의) 상권; 상. …에 관하여. …점에서; 위; 훌륭한. 좋은; 상. 상부의. 위의; 장; 길이의 단위. 1丈는 10자(약 3.03m); (변하여) 길이. 특히, 남자의 신장. 〔동의어〕たけ; 歌舞伎 배우 등의 예명(藝名)에 붙이는 높임말. 장; 조. 조목. 대문. 〔동의어〕箇条; 『문어』; …(의) 것. …(의) 건; 〈接続助詞적으로 써서〉 …이라고 하지만. 〔동의어〕…ても; 띠·막(幕) 등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장; 모양. 〔동의어〕ありさま; 편지; 모양; 편지; 장. 서류; 반드시 그렇게 됨. 정해진 일. 〔동의어〕必定; 정말. 진실; 정. 선정(禪定); 『역사』 衛門府·兵衛府·検非違使의 제3등관; (비유적으로) 숯불이 다 타고 남은 흰 재; 정; 감정. 〔반의어〕 知·意; 인정. 동정. 애정. 〔동의어〕なさけ; 성심. 진심. 성의; 남녀의 사랑; 진상. 사정; 고집; 정취. 운치; 『문어』 장소. 곳. 〔동의어〕ところ; 『역사』 大宝令에서, 国司의 제3등관; 江戸 시대 이후, 浄瑠璃의 太夫에게 내리는 칭호로, 지방 이름에 곁들여 쓰는 말. 님; 《보통 「お~」 「お~さん」의 꼴로 씀》 처녀. 색시. 미혼 여성; 양; (이름 뒤에 붙는) 미혼 여성의 높임말; 미혼의 직업 여성; 자물쇠. 〔참고〕 「鎖」로도 씀; 〈接尾語적으로 씀〉 「錠剤」의 준말; 정제를 세는 말. 정. 알; 『역사』 律令制에서, 4등관의 제3위. 次官의 아래, 主典의 위에 위치함. 관청 안의 단속, 숙직의 배당 등을 맡았음. ((관아에 따라, 「丞」「掾」「尉」등으로 글자를 다르게 썼음))
活発
활발. かっ-ぱ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降水
『불교』 ⇒ こうずい; 『기상』 강수. (비·눈 등) 지상에 내린 물; 경수. 센물. 〔반의어〕 軟水; 광수; 광산 등에서 배출되는 광독(鑛毒)이 있는 물
災害
재해; 『문어』 《흔히, 「~(の)ない」의 꼴로 씀》 제애. 사물이나 땅의 끝. 한계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発生
발생; 발성; 소리를 냄; 궁중의 歌会에서, 담당자가 和歌를 한번 읽은 다음, 그 초구(初句)를 가락을 붙여 읊는 일. 또는 그 담당자
化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前線
전선; (교통 기관 등의) 노선 전부; 모든 전선(戰線). 전선의 전체; 그 배 전체; 전선; (전장의) 제일선; 『기상』 성질이 다른 두 기단(氣團)의 경계면과 지표면이 접촉하는 선; 선전
気象庁は線状降水帯による非常に激しい雨が降り続いているとして、先ほど11時ごろに静岡県の西部と中部に対して、顕著な大雨に関する情報を発表しました。
線
수의 단위. 1의 1000만분의 1; 차린 음식. 밥상. 〔동의어〕膳部; 선. 큰배; 전; 전쟁; 시합; 경쟁; 종이; 옛 화폐 단위. 貫의 천분의 1. 〔동의어〕文; 화폐 단위. 円의 백분의 1; 돈. 특히, 금속 화폐; 천; 많음. 〔참고〕 서류에 금액 등을 적을 때는 「仟」 「阡」을 씀; 『문어』 신선. 선인; 앞. 장래. 미래. 〔동의어〕将来; 이전. 전. 〔동의어〕以前; 어떤 것 이전에 있던 것. 전 것; (바둑·장기 등에서) 선. 선수. 〔동의어〕先手; 마개. (수도) 꼭지; 『생리학』 선. 샘. 동물의 분비 기관(分泌器官); 방도. 방법; 효과. 보람. 〔동의어〕かい·効果; 결국. 필경; 『문어』 찬; 시나 문장을 지음; 많은 작품 중에서 골라 편집함; 선; 실처럼 가늘고 긴 것. 금. 줄; 방향. 방침; 수준. 기준. 한도. 범위; 윤곽. 인상. 느낌; 교통·통신·전기의 선. 노선. 항로; 『수학』 선. ((위치와 길이는 있으나 폭과 두께가 없는 것)); 도로·철도·항공 노선 등을 뜻함. 선; 선. 가려 냄. 뽑음. 뽑은 것; 「選集」의 뜻을 나타냄. 선집; 「選挙」의 뜻을 나타냄. 선거; 전. 벽돌의 한 가지; 『문어』 전. 모직 깔개. 양탄자. 〔동의어〕毛氈; 천. 온천
激しい
심하다. 격심하다; 세차다. 격렬하다. 과격하다. 격하다. はげし·さ 【명사】 【문어형】 はげ·し {シク 활용}
発表
발표
非常
비상; 비상. 예사가 아님. 대단함. 심함. {문어·ナリ 활용 }; 『불교』 산천(山川)·목석(木石) 등 감정을 가지지 않은 존재. 〔반의어〕 有情
帯
(일본옷에서) 허리에 두르는 띠. 또는 띠 모양의 것; 「帯紙」 「帯番組」의 준말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情報
상방. 위쪽. 상부(上部). 〔참고〕 「上方」는 딴말임; 정법; 정해진 법칙; 정해진 방식. 늘 하는 방식; 『수학』 승법. 곱셈법. 〔반의어〕 除法; 통상의 방법; 정보; 사물의 내용이나 형편에 관한 소식; 판단이나 의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자료; 상황에 관한 지식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状
성; 병풍·막 등을 세는 말. 폭; 종이·김 등을 세는 말. 미농지는 48매, 반지는 20매, 서양 종이는 12매, 김은 10매가 一帖임; 접책(摺册)을 세는 말. 첩; 중의 가사를 세는 말. 벌; 『수학』 승. 승수. 곱수; 『문어』 수레를 세는 말. 채. 대; 다다미를 세는 말. 장. 〔참고〕 「帖」로도 씀; 상. 〔반의어〕 中·下·; (가치·계급·순위·지위 등이) 제일 위임. 훌륭함. 〔동의어〕うえ; (책의) 상권; 상. …에 관하여. …점에서; 위; 훌륭한. 좋은; 상. 상부의. 위의; 장; 길이의 단위. 1丈는 10자(약 3.03m); (변하여) 길이. 특히, 남자의 신장. 〔동의어〕たけ; 歌舞伎 배우 등의 예명(藝名)에 붙이는 높임말. 장; 조. 조목. 대문. 〔동의어〕箇条; 『문어』; …(의) 것. …(의) 건; 〈接続助詞적으로 써서〉 …이라고 하지만. 〔동의어〕…ても; 띠·막(幕) 등 가늘고 긴 것을 세는 말. 장; 모양. 〔동의어〕ありさま; 편지; 모양; 편지; 장. 서류; 반드시 그렇게 됨. 정해진 일. 〔동의어〕必定; 정말. 진실; 정. 선정(禪定); 『역사』 衛門府·兵衛府·検非違使의 제3등관; (비유적으로) 숯불이 다 타고 남은 흰 재; 정; 감정. 〔반의어〕 知·意; 인정. 동정. 애정. 〔동의어〕なさけ; 성심. 진심. 성의; 남녀의 사랑; 진상. 사정; 고집; 정취. 운치; 『문어』 장소. 곳. 〔동의어〕ところ; 『역사』 大宝令에서, 国司의 제3등관; 江戸 시대 이후, 浄瑠璃의 太夫에게 내리는 칭호로, 지방 이름에 곁들여 쓰는 말. 님; 《보통 「お~」 「お~さん」의 꼴로 씀》 처녀. 색시. 미혼 여성; 양; (이름 뒤에 붙는) 미혼 여성의 높임말; 미혼의 직업 여성; 자물쇠. 〔참고〕 「鎖」로도 씀; 〈接尾語적으로 씀〉 「錠剤」의 준말; 정제를 세는 말. 정. 알; 『역사』 律令制에서, 4등관의 제3위. 次官의 아래, 主典의 위에 위치함. 관청 안의 단속, 숙직의 배당 등을 맡았음. ((관아에 따라, 「丞」「掾」「尉」등으로 글자를 다르게 썼음))
降水
『불교』 ⇒ こうずい; 『기상』 강수. (비·눈 등) 지상에 내린 물; 경수. 센물. 〔반의어〕 軟水; 광수; 광산 등에서 배출되는 광독(鑛毒)이 있는 물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気象庁
기상청. 「国土交通省」의 외국(外局)으로, 기상 업무의 최고 기관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大雨
큰비. 호우. 폭우.〔반의어〕小雨
による
닮다. 비슷하다. 유사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中部
⇒ ちゅうぶう; 「中部地方」의 준말
西部
서부. 〔반의어〕 東部; 『음악』 성부. ((합창·합주 등을 구성하는 음역의 각 부분)) 〔동의어〕パート
顕著
현저. {문어·ナリ 활용 }
自治体の発表する情報に従って避難するなど、安全の確保に努めてください。
安全
안전. 〔반의어〕 危険. あん-ぜん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암연함; 어두움. 캄캄함; 슬퍼서 마음이 침울함. 암담함. {문어·タリ 활용}
発表
발표
情報
상방. 위쪽. 상부(上部). 〔참고〕 「上方」는 딴말임; 정법; 정해진 법칙; 정해진 방식. 늘 하는 방식; 『수학』 승법. 곱셈법. 〔반의어〕 除法; 통상의 방법; 정보; 사물의 내용이나 형편에 관한 소식; 판단이나 의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자료; 상황에 관한 지식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
確保
확보
くだ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自治体
자치체. 자치 단체. 〔동의어〕自治団体
避難
비난; 피난
また、昨晩からは鹿児島県の田代で1時間に63ミリ、長崎の諫早で1時間に56ミリなど、九州の各地でも今年一番の非常に激しい雨を観測しています。
激しい
심하다. 격심하다; 세차다. 격렬하다. 과격하다. 격하다. はげし·さ 【명사】 【문어형】 はげ·し {シク 활용}
非常
비상; 비상. 예사가 아님. 대단함. 심함. {문어·ナリ 활용 }; 『불교』 산천(山川)·목석(木石) 등 감정을 가지지 않은 존재. 〔반의어〕 有情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各地
『문어』 객지. 〔동의어〕客土; 『문어』 각지. (사물의 도리를) 깨달아서 앎; 격지. 벽지(僻地); 각지
観測
관측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番
둘씩 쌍을 이룬 물건; 한 쌍, 특히 동물의 암수. 또는 부부; 관절. 〔동의어〕つがいめ; (암수의) 쌍
昨晩
어젯밤. 〔동의어〕昨夜
九州
『지리·지학·지명』; ⇒ 西海道; 구습. 옛 풍습. 〔동의어〕旧慣; 흡수; 급습; 『문어』 궁수. 괴로워하고 근심함
特に先週から大雨が続いている鹿児島県は、雨が弱まったとしても夕方までは土砂災害に警戒が必要です。
特に
특히. 특별히. 〔동의어〕とりわけ·殊に; 『문어』 벌써. 이미. 오래 전에. 〔동의어〕とうに·とっくに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警戒
『문어』; 수면(水面)·수중의 장애물을 치우고 뱃길을 틈; 경쾌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의 증세가 가벼워짐; 『문어』 경계. 〔동의어〕きょうかい; 경계
災害
재해; 『문어』 《흔히, 「~(の)ない」의 꼴로 씀》 제애. 사물이나 땅의 끝. 한계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先週
『문어』 천추. 천년. 오랜 세월; 전주. 지난 주. 〔반의어〕 来週; 「和泉の国」의 딴이름; 전수. 오로지 한 가지 일만을 닦음; 찬수. 편집. 〔동의어〕編集; 『문어』 찬집. 많은 시가·문장 중에서 골라 내어 편집함. 또는 그 책. 〔참고〕 「せんじゅう」로도 읽음; 『문어』 선집; 『문어』 염색과 자수
夕方
해질녘. 저녁때. 〔동의어〕夕暮れ. 〔반의어〕 朝方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大雨
큰비. 호우. 폭우.〔반의어〕小雨
土砂
토사. 흙과 모래; ⇒ 御土砂
活発な雨雲はこの後も静岡県など東海地方中心にかかり続けるほか、関東でも局地的に雷を伴って激しい雨が降る見込みです。
続ける
계속하다. 잇다. 연결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계속해서 …하다. 【문어형】 つづ·く {하2단 활용}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激しい
심하다. 격심하다; 세차다. 격렬하다. 과격하다. 격하다. はげし·さ 【명사】 【문어형】 はげ·し {シク 활용}
雷
『문어』 우레. 천둥. 〔동의어〕かみなり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地方
(江戸 시대에) 시골. 지방; (춤·寄席·見せ物에서) 음악[반주]의 담당자; (해상에서) 육지를 가리키는 말. 뭍
中心
중심; 중앙. 한가운데. 〔동의어〕真ん中;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요소·장소·위치; 심중(心中). 흉중(胸中). 〔동의어〕心中; 『수학』 점대칭 도형(點對稱圖形)의 중심점; 『물리』 무게 중심; 『지리·지학·지명』 중진. 집이 심하게 흔들리고 불안정하게 놓인 물체가 넘어질 정도의 지진. 진도 4; 『문어』 충심. 충성심; 『문어』 충신. 〔반의어〕 逆臣; 『문어』 충신. 충성과 신의; (사건이 일어났을 때) 급히 보고함. 급보. 〔참고〕 본디, 사건 내용을 적어 상신함을 뜻했음; 『문어』 《副詞적으로도 씀》 충심. 진심. 〔동의어〕本心; 『문어』 중진. (경제·문화 등의) 진보 정도가 중간
関東
『문어』 간도. 간악한 도둑. 〔동의어〕奸賊; 완등. (산꼭대기까지) 완전히 오름; (야구에서) 완투; 관등. 관리의 신분 등급; 그 시가집(詩歌集)에서 가장 뛰어난 작품; 가로등. 〔동의어〕街灯; 『문어』 간두. 장대 끝; 감투; 『지리·지학·지명』 「関東地方」의 준말. ((일본 중앙부인 東京·茨城·栃木·群馬·埼玉·千葉·神奈川의 1도(都) 6현으로 이루어짐)); 옛날에 鈴鹿·不破·愛発의 3관문 이동(以東)의 여러 지방; 箱根 관문 이동의 여러 지방. 〔동의어〕関東八州. 1.~3. 〔반의어〕 関西; 『역사』 「鎌倉幕府」의 딴이름; 『역사』 江戸幕府. 또는 그 将軍; 『문어』 관두. (중요한 사항의) 갈림길. 기로. 〔동의어〕別れめ·瀬戸際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活発
활발. かっ-ぱつ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降る
《「お~」의 꼴로》 고물. 퇴물림; 헌. 낡은; 이전의. 옛; 경험[연공]을 쌓은; (몸의 어떤 부위를) 움직이다. 흔들다; (어떤 물체의 일부를) 잡고 흔들다. 휘두르다; 뿌리다; 흔들어서 던지다; 잃다. 버리다. 날리다; 거절하다. 퇴짜놓다. 포기하다; 할당하다. 매기다. 〔동의어〕ふり当てる; 토를 달다; (어음·수표 등을) 발행하다. 떼다; 방향을 돌리다[틀다]; 「ふれる」의 문어; (비·눈 등이) 내리다. 오다. 떨어지다; 사물이 닥치다. 몰려오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헐어지다. 낡아지다. 쇠퇴해지다. 황폐해지다
雨雲
비구름. 매지구름
見込み
전망. 예정. 예상. 〔동의어〕予想; 장래성. 가망. 희망. 〔동의어〕将来性·可能性; 찻종이나 주발의 안쪽
東海
「東海地方」의 준말; 도괴; 『문어』 도회; 자기의 본마음이나 재능·지위·신분 등을 숨김; 행방을 감춤
局地
국지; 극지. 남·북극 지방; 『수학』 극치. 극값; 극치
夜の帰宅時間帯にかけて、雨の降り方に警戒が必要です。
必要
『문어』 필용. 꼭 써야 함. 〔동의어〕必要; 필요. 〔동의어〕必用. 〔반의어〕 不要. {문어·ナリ 활용 }
方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帯
(일본옷에서) 허리에 두르는 띠. 또는 띠 모양의 것; 「帯紙」 「帯番組」의 준말
帰宅
귀택. 귀가; 기탁; 『문어』 귀댁. 귀택. 〔동의어〕おたく
警戒
『문어』; 수면(水面)·수중의 장애물을 치우고 뱃길을 틈; 경쾌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병의 증세가 가벼워짐; 『문어』 경계. 〔동의어〕きょうかい; 경계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降り
휘두름. 흔듦; 사람이 겉으로 나타내는 모습. 꼴. 외양; 그럴듯하게 꾸미는 시늉; (연극·무용에서) 몸짓. 동작. 연기. 〔동의어〕しぐさ; 단골이 아님. 뜨내기; 임시; 변통. 주변; 칼을 세는 말. 자루; 비·눈 등이 내림. 또는 그 정도. 〔반의어〕 照り; 불리. 〔반의어〕 有利. {문어·ナリ 활용 }; 불리. 떨어지지 않음. 뗄 수가 없음
天皇皇后両陛下の5月の訪英を延期 感染拡大で(20/03/19)
クマの肝
夏の巣ごもりに「糖質オフ」商品 ローソンから続々(2021年6月11日)
皇居で「新年祝賀の儀」 女性皇族4年ぶりにティアラ着用(2024年1月1日)
ANA再来年度の新卒採用も大幅縮小 業績不振受け(2020年11月17日)
増税前に8%の値引き・・・ドンキ100億円セール
ベビーカーのレンタル実験 混雑する駅で利用も想定
大阪で過去最多の221人感染 7割以上が経路不明(20/07/30)
あなたに密かに恋をしているのは誰?(心理テスト)
新人白バイ隊員が最終審査 実践の舞台で取り締まりへ(2023年4月10日)
Để lại thông tin của bạn nhé!
Bạn cần nâng cấp lên tài khoản cao cấp để sử dụng tính năng này
Bạn có chắc chắn muốn kiểm tra lại không?
Bạn hãy nâng cấp tài khoản để đọc báo không giới hạn số lần
Todaii Japanese là website học và đọc báo tiếng Nhật tích hợp các tính năng khác như từ điển, luyện tập, thi thử,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ường Chinh, Khương Mai, Thanh Xuân, Hà Nộ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