昨日、新たに119人の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が確認された東京で集団感染が発生した新宿区の劇場では、濃厚接触者が出演者と観客ら約850人に上ることが分かりました。
Mass infection at theater in Shinjuku, Tokyo The number of close contacts is 850 (20/07/14)
637 view昨日、新たに119人の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が確認された東京で集団感染が発生した新宿区の劇場では、濃厚接触者が出演者と観客ら約850人に上ることが分かりました。
東京都によりますと、これまで出演者や観客など25人の感染が確認されていた新宿区の劇場で昨日、新たに観客ら2人の感染が確認されました。
保健所が調査した結果、濃厚接触者は先月30日から今月5日までの公演の出演者と観客ら約850人に上り、
全員にPCR検査を受けるよう呼び掛けています。
東京都は昨日、現場の確認や劇場の管理者と舞台の主催者への聞き取り調査をしていて、今後、再発防止策の提出などを要請する方針だということです。
昨日、新たに119人の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が確認された東京で集団感染が発生した新宿区の劇場では、濃厚接触者が出演者と観客ら約850人に上ることが分かりました。
上る
오르다. 올라가다; 높은 곳으로 가다. 〔반의어〕 くだる·おりる; 기어오르다. 〔반의어〕 おりる; 수량이 어느 정도에 이르다. 〔반의어〕 くだる; 상류로 가다. 〔반의어〕 くだる. 〔참고〕 보통 「上る」로 씀; 서울로 가다. 〔반의어〕 くだる. 〔참고〕 보통 「上る」로 씀; 높은 지위에 오르다. 〔반의어〕おりる. 〔참고〕 보통 「上る」로 씀; 다루어지다. 취급되다; 길에 오르다; 해·달이 뜨다. 〔반의어〕 おちる·しずむ. 〔참고〕 보통 「昇る」로 씀; 연기가 피어 오르다. 〔반의어〕 おりる; 마음에 떠오르다. 〔참고〕 1.은 「登る」로도 씀. 【가능동사】 のぼ·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新た
새로움. 생생함. {문어·ナリ 활용 }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約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確認
확인
観客
『문어』 간객; 독자(讀者). 읽는 사람; 간격. 〔동의어〕へだたり; 감각; 『생리학』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의 감각; 사물을 느껴서 받아들이는 마음의 작용; ⇒ かんきゃく
劇場
극장. 〔동의어〕シアター; 격정; 『문어』 격양. 땅을 두드리며 노래를 부름. 세상이 태평함의 비유; 격양. 격퇴
集団
집단
接触
접촉; 절식. 먹는 양을 알맞게 줄임. 〔동의어〕減食; 섭식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感染
『생리학』 한선. 땀샘; 관전. 정부가 주조한 돈. 〔반의어〕私鋳銭; 관찬. 국가 기관에서 편찬함. 또는 그 편찬물. 〔반의어〕 私撰; 관선. 〔동의어〕国選. 〔반의어〕 民選; 『의학』 건선. 마른버짐; 간선. 본선. 〔반의어〕 支線; 감염;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옴; 어떤 사물에 감화되거나 영향을 받음; 관전; 함선
区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発生
발생; 발성; 소리를 냄; 궁중의 歌会에서, 담당자가 和歌를 한번 읽은 다음, 그 초구(初句)를 가락을 붙여 읊는 일. 또는 그 담당자
ウイルス
바이러스. 〔동의어〕ビールス; 컴퓨터를 비정상적으로 작용하게 만드는 프로그램. 〔동의어〕コンピューターウイルス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分かり
이해. 납득. 〔동의어〕のみこみ·理解
出演
출연. 금전이나 물품을 기부함; 출연
濃厚
농부와 직공(職工); 《「農業高等学校」의 준말》 농고. 농업 고등학교; 농경; 농후; (색·맛 등이) 짙음. 진함; 가능성이 많음[짙음] 〔반의어〕 希薄; (남녀의 사랑이) 강렬함. 자극적임. {문어·ナリ 활용 }
新型
새로운 형식; 신형. 〔동의어〕ニュータイプ
コロナ
『천문』 코로나.; (햇무리·달무리의) 무리. 광관. 〔동의어〕光冠.
東京都によりますと、これまで出演者や観客など25人の感染が確認されていた新宿区の劇場で昨日、新たに観客ら2人の感染が確認されました。
都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新た
새로움. 생생함. {문어·ナリ 활용 }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確認
확인
観客
『문어』 간객; 독자(讀者). 읽는 사람; 간격. 〔동의어〕へだたり; 감각; 『생리학』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의 감각; 사물을 느껴서 받아들이는 마음의 작용; ⇒ かんきゃく
劇場
극장. 〔동의어〕シアター; 격정; 『문어』 격양. 땅을 두드리며 노래를 부름. 세상이 태평함의 비유; 격양. 격퇴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感染
『생리학』 한선. 땀샘; 관전. 정부가 주조한 돈. 〔반의어〕私鋳銭; 관찬. 국가 기관에서 편찬함. 또는 그 편찬물. 〔반의어〕 私撰; 관선. 〔동의어〕国選. 〔반의어〕 民選; 『의학』 건선. 마른버짐; 간선. 본선. 〔반의어〕 支線; 감염;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옴; 어떤 사물에 감화되거나 영향을 받음; 관전; 함선
区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出演
출연. 금전이나 물품을 기부함; 출연
保健所が調査した結果、濃厚接触者は先月30日から今月5日までの公演の出演者と観客ら約850人に上り、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約
약; 〈「厄年」의 준말〉 액년; 소임(所任). 직무. 임무; (연극 등에서) 역. 배역; 역할. 구실; (화투·마작·트럼프 등에서) 약속에 따라 정해진, 일정한 득점을 얻기 위한 조건. 약(約); 『문어』; 약속; 줄임. 생략; 『언어학』 「約音」의 준말; 대략. 약; 『문어』 효과. 효용; 《接尾語적으로도 씀》 역; 번역; 어려운 말이나 문장을 알기 쉽게 해석하여 옮긴 것; 『식물·식물학』 약. 꽃밥; 《속어》 약. 마약; 태우다; 굽다; 그을리다. 지지다; 애태우다; (사진을) 인화하다. 복사하다; 달구다; 마음을 쓰다. 돌봐 주다. 애먹다; 「焼ける」의 문어
観客
『문어』 간객; 독자(讀者). 읽는 사람; 간격. 〔동의어〕へだたり; 감각; 『생리학』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의 감각; 사물을 느껴서 받아들이는 마음의 작용; ⇒ かんきゃく
結果
결과. 수업에 빠짐; 『문어』 결하. 홍수로 강물이 넘쳐 둑을 무너뜨림; 결과; 결실(結實); 어떤 원인에 의하여 생긴 결말이나 상태. 〔반의어〕 原因; 《「結跏趺坐」의 준말》 결가부좌. 결가; 『문어』 궐하. 임금의 앞
調査
조사. 〔동의어〕取り調べ
上り
오름. 올라감; 「のぼり坂」의 준말; 「上り列車」의 준말; 상경(上京). 1.~4. 〔반의어〕 くだり; 《「のぼりばた」의 준말》; ⇒ こいのぼり
接触
접촉; 절식. 먹는 양을 알맞게 줄임. 〔동의어〕減食; 섭식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公演
구연; 구술(口述); 공원; 공연; 광염; 빛나는 불꽃; 호연. 훌륭한 연기나 연주; 후원; 『문어』 원군. 후진(後陣); 후원; 홍염; [promiminence]『천문』 프로미넌스. 태양의 표면에서 뿜어 나오는 불꽃 같은 고온 가스. 〔동의어〕プロミネンス; 『문어』 황원. 황폐한 정원; 『문어』 향연. 불전(佛前) 등에서, 피우는 향의 연기; 『문어』 강연. 강의하는 자리; 강연; 『문어』 고원. 고상하고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합언. 갑자기 일어나는[발생하는] 모양. 홀연히. 별안간. 덜컥. ((주로 사람의 죽음의 형용)) {문어·タリ 활용}; 『문어』 광원. 굉원. 훤하게 넓고 큼. 원대함. {문어·ナリ 활용 }
今月
금월. 이달
先月
지난달. 전달. 〔동의어〕前月. 〔반의어〕 来月; 『문어』 초승달과 같은 가는 모양의 달
出演
출연. 금전이나 물품을 기부함; 출연
濃厚
농부와 직공(職工); 《「農業高等学校」의 준말》 농고. 농업 고등학교; 농경; 농후; (색·맛 등이) 짙음. 진함; 가능성이 많음[짙음] 〔반의어〕 希薄; (남녀의 사랑이) 강렬함. 자극적임. {문어·ナリ 활용 }
保健所
보건소.
全員にPCR検査を受けるよう呼び掛けています。
受ける
받다; (어떤 행위에) 응하다. 받아들이다; 타고나다. 〔참고〕 「享ける」 「稟ける」로도 씀; 이어받다. 뒤를 잇다. 계승하다. 〔참고〕 「承ける」로도 씀; (피해 등을) 입다. 받다. 〔동의어〕こうむる; (빛·바람을) 받다. 향하다. 면하다; 인정하다. 승낙하다. 믿다; 『언어학』 문법에서, 뒤의 어구(語句)가 앞 어구에 형식이나 의미상 호응하다. 받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호평을 받다. 인기를 얻다. 갈채를 받다; (돈을 치르고) 돌려 받다; 도급하다. 떠맡다. 【문어형】 う·く {하2단 활용}
検査
검사
全員
전원. 〔동의어〕総員; 전원. 또는 의원 전체; 『불교』 선인. 선과(善果)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는 선행. 〔반의어〕 悪因; 선원. 〔동의어〕禅寺
呼び掛け
(能楽에서) 주역인 「シテ」가 무대에 있는 상대역 「ワキ」에게 소리를 지르면서 나오는 등장 형식. 또는 그 첫 謡
東京都は昨日、現場の確認や劇場の管理者と舞台の主催者への聞き取り調査をしていて、今後、再発防止策の提出などを要請する方針だということです。
都
《흔히, 다른 말과 함께 接頭語적으로 씀》 십. 열. 〔동의어〕とお·じゅう; 문. 문짝; 《고어》 좁은 해협. 〔동의어〕瀬戸; 《고어》 밖. 바깥. 〔동의어〕そと. 〔반의어〕 内; 『문어』 숫돌. 〔동의어〕といし; 『지리·지학·지명』 〈「土佐」의 준말〉 현재의 高知현. 〔동의어〕土州; 〈「土耳古」의 준말〉 터키. 〔참고〕 단독으로는 거의 쓰지 않음; 두. 말. ((척관법의 용적 단위의 하나)); 《楽》 쟁(箏)의 열한 번째의 현; 토함. 게워 냄; 『문어』; 제자; 〈「の~」의 꼴로 씀〉 패. 무리; 도; 지방 공공 단체의 하나. ((한국의 특별시에 해당함)); 「東京都」의 준말; 『문어』 길. 특히, 목적을 가지고 가는 길. 도정(道程); 『문어』 울타리. 〔동의어〕垣·垣根·囲い; 그렇게. 저렇게. 〔동의어〕そのように·あのように. 〔참고〕 관용적인 표현이나, 「とかく」 「とにかく」 「ともすれば」 등 복합어를 이룸. 副詞 「かく(이렇게)」와 함께 쓰이는 수가 많음; 언뜻. 문득. 〔동의어〕ちょっと·ふと; 《앞의 일에 이어서 다음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그러자. 〔동의어〕すると;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에 붙어》 대등한 관계에 있는 것을 모두 늘어놓거나 비교하는 데 씀. …와. …과. 〔참고〕 「aとbと」의 꼴로 쓰면 뚜렷이 병립을 나타내지만 뒤의 「と」가 생략되어 「aとbが…する」라고 하면 「bがaと…する(b가 a하고 …하다)」와 같은 뜻의 말이 되기도 하여 다음의 格助詞 「と」와 구별하기가 어렵게 됨; 동작·작용의 상대(相對)를 나타냄. …와. …과; 사고·행동의 내용을 나타냄. …고. …라고; 동작·작용의 상태를 나타냄. …하게. …처럼. …인 양; 결과적으로 그런 상태가 됨을 나타냄. …로. …으로. …이[가]; 비교의 기준임을 나타냄. …와. …과; 동작·작용이 행해지기 직전의 상태에 있음을 나타냄. …하려 하고;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뒤에 否定語가 따르면서〉 어떤 범위 이상은 되지 않음을 나타냄. …도[까지도]. …밖에; 『문어』 〈「…と…」의 꼴로, 같은 동사를 되풀이하여 뜻을 강조함. 구어(口語)에서는 한정된 관용구에만 씀〉 모든; 《대개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단, 完了의 助動詞 「た」에는 붙지 않음》; 두 동작이나 작용이 동시에 일어남을 나타냄. …하자(마자). …하니까; 어떤 조건이 갖추어지면 언제나 같은 일이 일어남을 나타냄; 순접(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하면; 〈推量의 助動詞 「う」 「まい」의 連体形에 붙어〉 예상에 어긋나는 사태가 일어남을 나타냄. 즉 역접(逆接)의 가정 조건을 나타냄; 〈「…かと思う~」의 꼴로〉 상반되는 두 사태의 동시적 연관을 나타냄. …인가 했더니 (뜻밖에도); 『문어』 〈구어(口語)에서는, 극히 한정된 慣用句에만 씀〉 가벼운 역접(逆接)을 나타냄. …라도; 〈否定의 助動詞 「ず」에 붙은 꼴로〉 …말고
舞台
부대; (변하여)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행동을 함께하는 사람들의 집단; 무대; 연극·무용 등을 해 보이는 곳; 1.에서의 연기·동작(모습); 활동 장소. 솜씨를 발휘해 보이는 곳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確認
확인
管理
관리. 국가 공무원. 〔동의어〕役人; 『문어』 관리; 상위(上位)와 하위; 감리. 감독하고 관리함; 관리; 바람직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힘써 돌봄; 『법률』 재산을 보존하고 그 이용과 개량을 도모함
劇場
극장. 〔동의어〕シアター; 격정; 『문어』 격양. 땅을 두드리며 노래를 부름. 세상이 태평함의 비유; 격양. 격퇴
現場
원상; 현상. 〔동의어〕現況; 현장. 〔동의어〕げんば
今後
금후. 차후. 이후
調査
조사. 〔동의어〕取り調べ
提出
드러냄. 나타냄; 내놓음. 제출; 제출
防止
『문어』 망자. 죽은 언니 또는 누나. 〔반의어〕亡妹; 방지; 모씨. 어떤 분; 『문어』 모지. 어떤 신문; 『문어』 방사. 실을 자음. 또는 그자은 실; 『문어』 ⇒ ひとみ; (변하여) 물체의 머리나 끝 부분에 씌우는 것; 『문어』 폭사. 급사. 〔동의어〕急死·頓死; 『문어』 칼끝. 칼의 서슬
方針
방침; 『문어』 ⇒ 芳志; 『문어』; 꽃소식. 화신(花信). 〔동의어〕花だより; 방심; (딴 일에 정신이 팔려) 멍함; 안심. 방념. 〔참고〕 2.는 「放神」으로도 씀; ⇒ 法身; 포신; 『의학』 포진. 〔동의어〕ヘルペス
再発
재발; 다시 발병함; (같은 일이) 다시 발생함
策
『농학·농림·농업』 괭이로 밭의 흙을 깎아 낸 얕은 고랑. 또는 그 흙을 긁어 올려 지은 두둑; 다랑어 등의 생선살을 횟감으로 알맞게 자른 걀쭉한 덩어리; (문학·예술 등의) 작품을 만듦. 또는 그 작품; 작황(作況). 수확; 『문어』 어제. 전날. 〔동의어〕きのう; 지난; (나무·대 등을 두른) 성채(城砦). 녹채(鹿砦). 〔동의어〕とりで; 『문어』; (음력으로) 초하루. 〔동의어〕ついたち; 옛날, 중국에서 천자(天子)가 연말에 제후(諸侯)에게 주던 다음해의 책력. (변하여) 천자의 정령(政令); (굵은) 밧줄. 새끼. 로프. 〔동의어〕綱; 계책. 책략; 목간(木簡); 매. 채찍; 꽃피다. 【가능동사】 さ·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찢다; 쪼개다; 떼다. 벌어지게 하다; 가르다. (생선 따위의 배를) 따다; 「さける」의 문어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要請
요서. 어려서, 또는 젊어서 죽음. 요사. 요절(夭折). 〔동의어〕夭折; 『동물·동물학』 유생. 후생동물(後生動物)의 발생(發生) 단계에 있어서의 한 시기. 〔참고〕 곤충의 경우에는 특히 「幼虫」라고 함; 요성. 옛날, 불길한 조짐으로 생각되었던 별. ((혜성 등)); 요정. 〔동의어〕フェアリー; 요청; 『철학』 공준(公準); 양성. 〔반의어〕 陰性; 명랑하고 적극적인 성질; 『물리』 원자(原子)가 전자(電子)를 방출하기 쉬운 성질; 양성
主催
주재; 주제. 제사를 맡아봄. 또는 그 사람; 주최; 주요리
聞き取る
들어 알다. 알아듣다; 청취하다. 【가능동사】 ききと·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ロシアのオリンピック委員会「東京五輪開催は適切」(2021年6月2日)
ハチャメチャ武器で敵を全滅させるゲームが恐ろしい - Sword With Sauce
「自転車ヘルメットは自分守るアイテム」高校生が着用呼びかけ(2024年5月10日)
“透明な甘酒”好評で市場拡大 2月から全国販売(20/01/14)
韓国・尹錫悦大統領 選挙結果に「謙虚に受け止める」(2024年4月16日)
狼と羊飼い
「ことば食堂へようこそ!」第14話 【すべからく】
カワウソの輸入禁止へ ペット需要で密輸横行
東京五輪の地方費用負担は
建築によって忘れてしまったものを、建築によって思い出す | Kentaro Yamazaki | TEDxHimi
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
Todaii Japanese est un site web pour apprendre et lire les actualités japonaises intégrant diverses fonctionnalités telles que dictionnaire, pratique, tests,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uong Chinh, Khuong Mai, Thanh Xuan, Han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