マラリア 治療薬に耐性あるタイプ 東アフリカで急速に広がる

말라리아 치료약에 내성이 있는 타입 동아프리카에서 급속히 퍼져

말라리아 치료약에 내성이 있는 타입 동아프리카에서 급속히 퍼져
蚊が媒介する原虫によって引き起こされる感染症、マラリアに最も有効とされる治療薬に耐性があるタイプのものが、東アフリカで急速に広がっていることが順天堂大学などの調査で分かりました

모기가 매개하는 원인에 따라 야기되는 감염증, 말라리아에 매우 유효하다는 치료약에 내성이 있는 타입이, 동아프리카에서 급속히 퍼지고 있다는 것이 순텐도대학등의 조사로 알게되었습니다

모기가 매개하는 원인에 따라 야기되는 감염증, 말라리아에 매우 유효하다는 치료약에 내성이 있는 타입이, 동아프리카에서 급속히 퍼지고 있다는 것이 순텐도대학등의 조사로 알게되었습니다
マラリアは結核やエイズと並ぶ3大感染症とされ、WHO=世界保健機関によりますと、世界で毎年2億人以上が感染し、40万人以上が死亡しているとされます

말라리아는 결핵이나 에이즈와 나란히 3대 감염증으로, WHO(세계 보건 기구)에 의하면, 세계에서 매해 2억명이상이 감염되어, 40만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말라리아는 결핵이나 에이즈와 나란히 3대 감염증으로, WHO(세계 보건 기구)에 의하면, 세계에서 매해 2억명이상이 감염되어, 40만 이상이 사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順天堂大学やウガンダのグル大学などの国際研究グループは、東アフリカのウガンダで、最も有効な治療薬の「アルテミシニン」に耐性があるマラリアがどれくらい広がっているか調査した結果を、アメリカの医学雑誌「ニュー・イングランド・ジャーナル・オブ・メディシン」に発表しました

슌텐도대학과 우간다의 굴 대학 등의 국제 연구 그룹은, 동아프리카의 우간다에서, 가장 유효한 치료약인 “아르테민시닌”에 내송이 있는 말라리아가 얼마나 퍼져 있는가 조사한 결과, 아메리카의 의학잡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긴”에 발표했습니다

슌텐도대학과 우간다의 굴 대학 등의 국제 연구 그룹은, 동아프리카의 우간다에서, 가장 유효한 치료약인 “아르테민시닌”에 내송이 있는 말라리아가 얼마나 퍼져 있는가 조사한 결과, 아메리카의 의학잡지 “뉴 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긴”에 발표했습니다
それによりますと、研究グループで調べた患者240人中、5.8%に当たる14人は「アルテミシニン」に耐性があり、このうちの13人では、原虫の遺伝子に耐性を示す特徴的な変異が確認されたということです

그것에 따르면, 연구 그룹에서 조사한 환자 240명 중 5.8%에 달하는 14명은 “아르테미시니아”에 내성이 있어, 이 중의 13명에서는, 원인 충의 유전자에 내성을 보이는 특징적인 변이가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에 따르면, 연구 그룹에서 조사한 환자 240명 중 5.8%에 달하는 14명은 “아르테미시니아”에 내성이 있어, 이 중의 13명에서는, 원인 충의 유전자에 내성을 보이는 특징적인 변이가 확인되었다고 합니다
さらに、患者の血液検査でこの変異が見つかった人は、2015年に調べた時にはいなかったのが、2019年には全体のおよそ16%と急速に増えていたとしています

게다가, 환자의 혈액검사에서 이 변이를 발견한 사람은, 2015년에 조사했을 때에는 없었던 것이, 2019년에 전체의 약 16%가 급속히 늘어 있었다고 합니다

게다가, 환자의 혈액검사에서 이 변이를 발견한 사람은, 2015년에 조사했을 때에는 없었던 것이, 2019년에 전체의 약 16%가 급속히 늘어 있었다고 합니다
「アルテミシニン」への耐性がある原虫は同じ研究グループが3年前に初めて報告していて、今回は実際にまん延していることが裏付けられたとしています

“아르테미시닌”에위 내성이 있는 원인충은 같은 연구 그루이 3년전에 처음으로 보고하고 있어, 이번은 실제로 만연한 것을 뒷받침했다고 합니다

“아르테미시닌”에위 내성이 있는 원인충은 같은 연구 그루이 3년전에 처음으로 보고하고 있어, 이번은 실제로 만연한 것을 뒷받침했다고 합니다
順天堂大学の美田敏宏教授は「耐性マラリアの監視体制の強化や、別の治療薬の開発が必要だ」と話しています

슌텐도 대학의 비덴 토시히로 교수는 “내성 말라리아의 감시체제의 강화나, 다른 치료약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슌텐도 대학의 비덴 토시히로 교수는 “내성 말라리아의 감시체제의 강화나, 다른 치료약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