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超深海” 世界最深で泳ぐ魚の撮影に成功 東京海洋大など

“초심해” 세계 최심에서 수영하는 물고기의 촬영에 성공 도쿄 해양대 등

“초심해” 세계 최심에서 수영하는 물고기의 촬영에 성공 도쿄 해양대 등
東京海洋大学や西オーストラリア大学などの国際研究グループが、伊豆・小笠原海溝の水深8336メートルの深海で、泳ぐ魚の姿の撮影に成功しました

도쿄 해양 대학과 서 호주 대학 등의 국제 연구 그룹이 이즈 오가사와라 해구의 수심 8336 미터의 심해에서 수영하는 물고기의 모습 촬영에 성공했습니다

도쿄 해양 대학과 서 호주 대학 등의 국제 연구 그룹이 이즈 오가사와라 해구의 수심 8336 미터의 심해에서 수영하는 물고기의 모습 촬영에 성공했습니다
グループによりますと、これまでに最も深い場所で確認された魚になるということで、専門家は「魚がすむことができる限界に近い深さだと考えられる」としています

그룹에 따르면, 지금까지 가장 깊은 곳에서 확인된 물고기가 된다는 것으로, 전문가는 ”물고기가 잡을 수 있는 한계에 가까운 깊이라고 생각된다”고 합니다

그룹에 따르면, 지금까지 가장 깊은 곳에서 확인된 물고기가 된다는 것으로, 전문가는 ”물고기가 잡을 수 있는 한계에 가까운 깊이라고 생각된다”고 합니다
撮影に成功したのは西オーストラリア大学のアラン・ジェイミソン教授や東京海洋大学などのグループで、調査航海にはNHKの自然番組「ダーウィンが来た!」の取材班も参加しました

촬영에 성공한 것은 서호주 대학의 앨런 제이미슨 교수와 도쿄 해양 대학 등의 그룹으로 조사 항해에는 NHK의 자연 프로그램 「다윈이 왔다!」의 취재반도 참가했습니다

촬영에 성공한 것은 서호주 대학의 앨런 제이미슨 교수와 도쿄 해양 대학 등의 그룹으로 조사 항해에는 NHK의 자연 프로그램 「다윈이 왔다!」의 취재반도 참가했습니다
去年8月15日、カメラなどを搭載した観測装置を使って伊豆・小笠原海溝の海底付近、水深8336メートルで撮影を行ったところ、魚が泳いでいる姿を撮影することに成功したということです

작년 8월 15일, 카메라 등을 탑재한 관측 장치를 사용해 이즈·오가사와라 해구의 해저 부근, 수심 8336미터에서 촬영을 실시했는데, 물고기가 수영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입니다

작년 8월 15일, 카메라 등을 탑재한 관측 장치를 사용해 이즈·오가사와라 해구의 해저 부근, 수심 8336미터에서 촬영을 실시했는데, 물고기가 수영하고 있는 모습을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는 것입니다
映像から、この魚は全身が乳白色で体長はおよそ30センチ「スネイルフィッシュ」と呼ばれる深海魚の仲間とみられるということです

영상에 의하면, 이 물고기는 전신이 유백색으로 체장은 약 30 센치 「스네일 피쉬」라고 불리는 심해어의 동료로 보여진다고 하는 것입니다

영상에 의하면, 이 물고기는 전신이 유백색으로 체장은 약 30 센치 「스네일 피쉬」라고 불리는 심해어의 동료로 보여진다고 하는 것입니다
ヒレは、半透明で体は柔らかいゼラチン質で覆われているとみられます

지느러미는 반투명하고 몸은 부드러운 젤라틴 질로 덮여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느러미는 반투명하고 몸은 부드러운 젤라틴 질로 덮여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グループによりますと、これまで生きた魚が確認された最も深い水深はマリアナ海溝の水深8178メートルでしたが、今回はそれよりも158メートル深いということです

그룹에 따르면 지금까지 살아있는 물고기가 확인된 가장 깊은 수심은 마리아나 해구의 수심 8178미터였지만 이번에는 그것보다 158미터 깊다는 것입니다.

그룹에 따르면 지금까지 살아있는 물고기가 확인된 가장 깊은 수심은 마리아나 해구의 수심 8178미터였지만 이번에는 그것보다 158미터 깊다는 것입니다.
脊椎動物である魚類は、水圧の影響のため8200メートルから8400メートル程度より水深が深くなると生存が難しくなると考えられています

척추동물인 어류는 수압의 영향으로 8200미터에서 8400미터 정도보다 수심이 깊어지면 생존이 어려워진다고 생각됩니다.

척추동물인 어류는 수압의 영향으로 8200미터에서 8400미터 정도보다 수심이 깊어지면 생존이 어려워진다고 생각됩니다.
国際研究グループの日本側のリーダーで、東京海洋大学の北里洋博士は「水深8000メートルを超える超深海で世界最深の魚が発見されたのはすごいことだ
極限の環境下でどういう生理現象で生きていけるのかを考える材料を手にすることができた
今、知られている体の仕組みからすると魚がすむ限界に近い場所だと考えられる」と話してい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