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回はスタジオを飛び出して、 松江城の西にある月照寺にやって来ました。
今回はスタジオを飛び出して、 松江城の西にある月照寺にやって来ました。
ロケなんて、 緊張するね。
ドーラン塗り過ぎました。
気合い入り過ぎなんじゃよ。
それより、 このお寺は何じゃね?
ここは松江藩主、 松平家の菩提寺、
初代から九代目までの藩主のお墓があります。
実は、 このお墓に不思議な言い伝えが残っているものがあるんですよ。
じゃじゃーん! どうです、 巨大な亀の石像です。
いやあ、 随分大きいんじゃなあ。
高さ三メートル、 分かりやすく例えると、 宍道湖の鰻七匹分。
余計ややこしいよ。
六代藩主宗衍公の長寿を願って、 息子の不味公が作ったもので、
頭を撫でると長生きすると言われています。
いやあ、 とても届かんなあ。
この大亀、 今ではこんなにおとなしいんですが、
昔はとんでもない悪さをしていたんですよ。
えっ、 悪さじゃと。
実は、 夜になると、
この大亀は、 城下にやって来て、 人を食べてました。
え、 人を!
こんな時間に食べたら、 太っちゃうなあ。
オーエルかね!
噂を聞いた住職は、 大亀を叱りました。
すると、
「 分かっております。
分かっておりますが、 自分ではどうしても止めることができません。
ご住職、 どうにかしてください。 」
妙案があるぞ。
藩主松平公の功績を刻んだ大きな石碑を作り、
それをおぬしの背中に背負わせるんじゃ。
なるほど!
食べるな!
でも、 作るのに一ヶ月ほどかかり、
いや、 そんなかかっちゃ駄目でしょう!
きっと、 その間も被害者は出てたんでしょうね。
そうそう、 そういうことになっちゃうんだから!
完成した石碑で、 大亀を無事、 封印することができたのです。
ラストスパートで結構食べたんだね。
いかがでしたか。
いやあ、 怪獣映画みたいな迫力ある怪談もあるんじゃなあ。
大亀伝説には他にも、 村の池に住んでいた亀が、
夜になると巨大化し、 同じく城下で悪さをするから、
寺の住職が大きな亀の石像を作って、 鎮めたとか、
腕自慢の侍によって首を斬り落とされて、 退治されたという話もあるんですよ。
実際、 大亀の首には切断されたような痕もあったり。
いずれにしろ、 この大亀の桁外れの巨大さが、
人々の想像力を掻き立てたんじゃろうね。
あれ、 博士、 その石は?
観光の記念に持って帰ろうと思ってな。
いやあ、 駄目じゃよ、 どっから持って来たか知らないけれど。
ちょっと待ってください。
その石、 文字がびっしり彫られてて...
博士!
今回はスタジオを飛び出して、 松江城の西にある月照寺にやって来ました。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西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飛び出し
(어린아이 등이) 도로로 갑자기 뛰어나옴
スタジオ
스튜디오; (화가·조각가 등의) 작업장; 촬영소; 사진관
ロケなんて、 緊張するね。
緊張
『문어』; (변하여) 굳은 약속; 금조. 보호조; 『문어』 금조. 날짐승. 새; 긴장. 〔반의어〕 弛緩; 연설 등에서, 청중이 지르는 소리. ‘잘들 듣자’의 뜻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ドーラン塗り過ぎました。
過ぎ
때가 지났거나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내는 말. 과함. 지나침; 『식물·식물학』 삼목(杉木)
塗り
칠함. 또는 칠한 것; 칠한 모양[방식]; 옻칠
ドーラン
도란. 배우가 쓰는 무대 화장용 유성(油性)의 분. 〔참고〕 본디는, 제조 회사명임.
気合い入り過ぎなんじゃよ。
過ぎ
때가 지났거나 정도가 지나침을 나타내는 말. 과함. 지나침; 『식물·식물학』 삼목(杉木)
入り
들어감. 듦; 수입. 〔반의어〕 出; 비용. 비발. 〔참고〕 「要り」로도 씀; 용적(容積). 들이; 들어오는 손의 수. 입장자의 수; 해·달이 짐. 또는 그 시각. 〔반의어〕 出; 어떤 절기의 첫날; 그 고장이나 그 장소에 들어가는 일; 〈흔히 名詞에 붙어〉 속에 들어 있음. 포함되어 있음
気合い
기합. 기세(氣勢); 호흡. 의기. 장단; 기분. 마음
それより、 このお寺は何じゃね?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ここは松江藩主、 松平家の菩提寺、
家
집. 주택. 〔동의어〕住まい; 가정. 가족. 또는 그 생활 상태. 살림; 자기 집[가정]. 자택. 〔동의어〕我が家; 가계(家系). 집안. 가문. 문벌; 재산. 가산; 기예(技藝)의 세계에서, 그 유파(流派)의 본가(本家). 〔동의어〕家元; 아니오. 아뇨. 〔동의어〕いいえ. 〔참고〕 「いや」 「いいや」 보다 약간 공손한 말
藩主
藩의 영주. 〔동의어〕大名.
菩提寺
『불교』 보리사. 조상 대대의 위패를 안치하여 명복을 비는 절.
初代から九代目までの藩主のお墓があります。
墓
일의 진도. 진척도; 묘비; 파과; 여자의 16세. 사춘기 무렵; 성교로 처녀막이 찢어짐
九
일급·월급 등의 ‘급료(給料)’의 뜻을 나타냄; 9.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く; 구; 옛 것. 옛날부터 있어 온 것; 원래의 상태; 〈「旧暦」의 준말〉 음력; 구. 묵은. 옛 것의. 음력; 『의학』 뜸. 뜸질; 서두름. 서둘러야 함; 위급한 상태. 갑작스러운 변고; 雅楽·能楽에서, 序破急의 마지막 부분. ((급템포로 연주함)); 빠름. 급함. 바쁨; 갑작스러움. 돌연함. 느닷없음; 경사가 급함. 가파름.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궁. 오음(五音)의 하나. 오음 음계의 주음(主音). ((서양 음악의 g음에 해당)); 「宮刑」의 준말; 궁전; 천구(天球)의 한 구분; 『문어』 관. 널. 〔동의어〕ひつぎ; 『문어』 (옛날에 책 등을 넣어서 등에 지던) 상자. 〔동의어〕笈; 급; 등급. 계급; 학년; (같은 학년에서 나눈) 반. 〔동의어〕組; 〈接尾語적으로〉 그 정도임을 나타냄; 구; 공. 〔동의어〕たま; 『수학』 구체(球體); 『문어』 궁. 막힘. 궁함; 《흔히 「~と」의 꼴로 씀》; 세게 문지르거나 비틀거나 할 때 나는 소리; 세게 밀어붙이거나 죄거나 하는 모양. 또는 그런 느낌이 되는 모양; 찬 술 등을 단숨에 마시는 모양. 쭉
初代
(직함·가문·예도 등에서) 초대. 제1대. 〔동의어〕第一代
藩主
藩의 영주. 〔동의어〕大名.
実は、 このお墓に不思議な言い伝えが残っているものがあるんですよ。
墓
일의 진도. 진척도; 묘비; 파과; 여자의 16세. 사춘기 무렵; 성교로 처녀막이 찢어짐
不思議
불가사의(不可思議); 이상함. 희한함. 괴이함. ふ-しぎ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ふ-しぎ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実は
실은. 사실은
言い伝え
구전(口傳). 구비(口碑). 전설; 전언(傳言). 전갈. 〔동의어〕伝言
じゃじゃーん! どうです、 巨大な亀の石像です。
巨大
거대. {문어·ナリ 활용 }
亀
단지. 항아리. 독; 《고어》 술병; 『동물·동물학』 거북
石像
석조. 〔동의어〕石造り.; 석상.
いやあ、 随分大きいんじゃなあ。
随分
《「~と」의 꼴로도 씀》; 분에 어울리게; 보통 정도가 넘는 모양. 몹시. 아주. 대단히; 가능한 한. 부디. 아무쪼록. 〔참고〕 예스러운 표현. 작별 인사 때 씀; 《속어》 《「ずいぶんひどい」의 「ひどい」가 빠진 것》 매우 심함. 너무함
大きい
크다. 〔반의어〕 小さい; (용적·면적·형체가) 크다; (수량·음량이) 많다; (규모가) 크다; (정도가) 심하다; 크다. 컸다. 또는 연장(年長)이다; 허세부리다. 과장하다. 잘난 체하다; 중대[중요]하다. 값어치가 있다; (사람의) 마음이 넓다. 포용력이 있다. おおき·さ【명사】
高さ三メートル、 分かりやすく例えると、 宍道湖の鰻七匹分。
七
《주로 어떤 종류의 形容詞·形容動詞 앞에 붙어》 몹시 번거로워 불쾌하다는 뜻을 곁들이는 말. 〔동의어〕ひち; 칠. 일곱. 〔동의어〕なな·ななつ; 사지.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고 하지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상대가 앎. ((어떤 비밀도 언젠가는 드러나기 마련임을 이름)); 『문어』 사지; 죽어야 할 곳; 살아날 희망이 없는 위험한 곳; 궁지; 담보물; 전당품; 『법률』 질권(質權)의 목적물. 질물(質物)
分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例える
예를 들다. 비유하다. 【문어형】 たと·ふ {하2단 활용}
高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三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メートル
미터; 미터법에서 길이의 기본 단위. 〔참고〕 「米」 「米突」는 차자; ⇒ メーター1.
分かり
이해. 납득. 〔동의어〕のみこみ·理解
匹
『역사』; 「紫微中台」의 차관; 필; 『문어』 붓. 〔동의어〕ふで; 붓으로 씀. 또는 그 쓴 것; 토지의 한 구획; 밥통. 〔동의어〕めしびつ·おひつ; 『문어』; 천자의 거둥
鰻
『어류』 뱀장어. 〔참고〕 関西 지방에서는 요리한 것을 「まむし」라고 함
余計ややこしいよ。
余計
『문어』 여경. 〔반의어〕 余殃; 조상의 선행으로 누리는 복; 혜택. 덕분; 물건이 남는 모양. 필요한 수량보다 많은 모양. 여분(餘分). 여벌; 필요한 정도를 넘어 오히려 무익함. 쓸데없음. 부질없음. {문어·ナリ 활용 }; 《「~に」의 꼴로도 씀》 더욱. 더한층; 『문어』 남아서 돌아오는 혜택. 여분의 혜택. 〔동의어〕おこぼれ
ややこしい
복잡하다. 까다롭다. 〔동의어〕ややっこしい. ややこし·さ 【명사】 【문어형】 ややこ·し {シク 활용}
六代藩主宗衍公の長寿を願って、 息子の不味公が作ったもので、
息子
《「産す子」의 뜻》 아들. 〔동의어〕せがれ. 〔반의어〕 娘
代
『문어』; 재료가 되는 것; 무엇을 하기 위한 부분이나 장소; 대용이 되는 것; 대금; 논. 밭; 흼. 백색; 흰 것; (바둑에서) 흰 돌. 백; (홍군에 대해) 백군. 〔반의어〕 赤; 아무것도 적혀 있지 않음. 백지; 돼지 내장을 꼬챙이에 끼워 구운 것; 범죄 혐의가 없음[풀림]. 무죄. 결백. 〔반의어〕黒. 1.~3.〔반의어〕 黒; 성; 비유적으로, 남의 침범을 허용하지 않는 자기만의 영역; 《속어》 소·돼지의 장(腸)
公
《「大家」 「大宅」의 뜻에서》; 조정. 국가. 정부. 관청. 〔동의어〕おかみ; 공공(公共). 사회. 세상. 공중(公衆); 공개. 공식적. 1.~3. 〔반의어〕 私
六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長寿
장수. 명이 긺. 〔동의어〕長生き·長命
宗
《体言에 붙음》 총. 모든. 전체의.; 장. ((여관·별장·아파트 등에 붙는 말)); 장. 장례식. 장의.; 작은 배를 세는 말. 척.; 쌍. 둘씩 짝을 이룬 것.; 필적(匹敵)하는 것.; 쌍으로 된 물건을 헤아리는 말. 쌍.; 『문어』; 장함. 혈기 왕성함. 용감함. {문어·ナリ 활용 }; 한창 젊은 때. 장년.; 『문어』; 근원. 근본.; 조상·선조. 또는, 조상 중에서 뛰어난 이.; 연주.; 상.; 형체. 모습. 양상.; (인상·수상·골상 등의) 상. 길흉(吉凶)의 인상(人相).; 초.; 초서. 초체. 〔반의어〕 楷·行.; 초잡은 글. 초고. 초안. 기초(起草).; 『문어』; 치장.; 외관(外觀).; 〈接尾語적으로 쓰여〉 ‘장정(裝幀)’의 뜻을 나타냄.; 『불교』 중. 승려. 〔반의어〕 尼.; 상.; 구상.; 생각. 사상.; 『불교』 상온(想蘊). 오온(五蘊)의 한 가지. 외계의 대상을 마음에 떠올리는 정신 작용.; 층. 겹.; 층.; 지층.; 계급. 계층.; 포개진 물체를 세는 말.; 『음악』 쟁. ((13줄의 거문고와 비슷한 현악기)) 〔참고〕 옛날에는 「箏の琴」라 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琴」라고 함.; 그렇게. 그리.; (상대편의 말에) 긍정·놀라움·반신반의 ·감동 등을 나타내는 말. 그래. 정말.; 연(沿)하다. 따르다.; 좇다. 따르다. 【가능동사】 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따르다. 붙어다니다.; 부부가 되다. 부부가 되어 함께 살다.; 「そえる」의 문어.
藩主
藩의 영주. 〔동의어〕大名.
不味
문서. 책.; 학문. 특히, 한학(漢學).; 서한. 편지. 〔참고〕 1.~3. 모두 예스러운 말.; 『경제』 (거래에서) 손해를 각오하고 공매(空賣)한 주식을 되사들임. 〔반의어〕 投げ.; 『문어』 맛이 없음.
頭を撫でると長生きすると言われています。
撫でる
쓰다듬다. 어루만지다; 살짝 스쳐가다; (머리를) 매만지다. 빗질하다. 【문어형】 な·づ {하2단 활용}
頭
머리. 두부(頭部). 〔동의어〕かしら·こうべ; 두뇌. 지능. 사고력. 생각; 머리카락. 머리털. 〔동의어〕髪の毛; 머릿수. 인원수. …당(當). 〔동의어〕頭数; 우두머리. 두령. 두목. 〔동의어〕かしら; (물건의) 꼭대기. 대가리; 처음. 시작. 선두; (이익금이나 건네주는 돈 등의) 몫. 일부. 구전. 구문. 〔동의어〕上前; 대인(對人) 자세; 《「ひとり」의 뒤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쓰이어》 사람을 단위로 함을 나타냄. 〔동의어〕あたり
長生き
장수
いやあ、 とても届かんなあ。
とても
〈뒤에 否定語가 따르며〉 도저히. 아무래도. 〔동의어〕とうてい; 매우. 대단히. 〔동의어〕たいそう; 어차피. 〔동의어〕どうせ
この大亀、 今ではこんなにおとなしいんですが、
おとなしい
《「大人」의 形容詞화》; 얌전하다. 온순하다; 수수하다; 고분고분하다. 〔참고〕 1.~3.「大人しい」 「音無しい」로도 씀. おとなし·げ【형용동사】 おとなし·さ 【명사】 【문어형】 おとな·し {シク 활용}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昔はとんでもない悪さをしていたんですよ。
昔
석; 라디오 등의 트랜지스터·다이오드 등을 세는 말; ⇒ しゃく; ⇒ しゃく; 기침. 〔동의어〕しわぶき; 좌석(座席); 지위. 신분; 회장(會場); 대중적 연예장[흥행장]; 돗자리. 깔개; 성적이나 지위의 차례. 석. 등. 석차; 척. 〔참고〕 작은 거룻배는 「艘」를 씀; 쌍으로 되어 있는 것의 한 편을 세는 말. 쪽; 『문어』 책임. 책무; 보. 봇둑. 제언(堤堰); 관문(關門). 〔동의어〕関所; 가로막는 것; (바둑에서) 비김수. 빅수; 『수학』 적. 곱. 〔반의어〕 商; 적; 호적; 신분(身分). 자격; 『문어』 괴괴함. 적적함. {문어·タリ 활용}
悪
잿물. (빨래 등에 쓰려고) 재를 물에 담가서 받은 윗물. 〔동의어〕あくじる; 식물이 함유한 떫은 액체[맛]. 쓴맛. ((자극적인 여러 맛을 가리키는 말)); 세련되지 않은, 집요하고 개성적인 느낌. 〔참고〕 3.은 보통 かな로 씀; 악. 〔반의어〕 善; 《고어》 악기(惡氣). 독기(毒氣); 『연극』 악역; ‘나쁨’ ‘좋지 않음’ 등을 나타냄. 악; (시간이) 나다; (공간이) 비다. 나다. 놀다; 공석이 되다. 결원이 생기다; 쓰이지 않다. 놀다; 「明ける」의 문어; 열리다; (가게의) 문을 열다. 개점(開店)하다. 영업을 하다. 1.2. 〔반의어〕 しまる; (막이) 열리다. 오르다. 〔반의어〕 とじ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뜨다. 벌리다. 열다. 〔동의어〕開く. 【문어 4단 활용 동사】; 「開ける」의 문어; 『문어』 만족하다. 싫증나다. 질리다. 물리다. 〔동의어〕飽き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えっ、 悪さじゃと。
悪
잿물. (빨래 등에 쓰려고) 재를 물에 담가서 받은 윗물. 〔동의어〕あくじる; 식물이 함유한 떫은 액체[맛]. 쓴맛. ((자극적인 여러 맛을 가리키는 말)); 세련되지 않은, 집요하고 개성적인 느낌. 〔참고〕 3.은 보통 かな로 씀; 악. 〔반의어〕 善; 《고어》 악기(惡氣). 독기(毒氣); 『연극』 악역; ‘나쁨’ ‘좋지 않음’ 등을 나타냄. 악; (시간이) 나다; (공간이) 비다. 나다. 놀다; 공석이 되다. 결원이 생기다; 쓰이지 않다. 놀다; 「明ける」의 문어; 열리다; (가게의) 문을 열다. 개점(開店)하다. 영업을 하다. 1.2. 〔반의어〕 しまる; (막이) 열리다. 오르다. 〔반의어〕 とじ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뜨다. 벌리다. 열다. 〔동의어〕開く. 【문어 4단 활용 동사】; 「開ける」의 문어; 『문어』 만족하다. 싫증나다. 질리다. 물리다. 〔동의어〕飽き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実は、 夜になると、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実は
실은. 사실은
この大亀は、 城下にやって来て、 人を食べてました。
城下
상하; 위와 아래. 또는 상급과 하급; (양원제 국회의) 상원과 하원; 문장에서, 그 일에 해당하는 부분; 성하; 성벽의 아래. 성벽의 밖; ⇒ じょうかまち; 정화; 깨끗이 함; 악폐·악습 등을 없앰; 『문어』 정화. 신성한 불; 『문어』 정화. 불 같은 정욕. 〔동의어〕情炎; 「都々逸」의 딴이름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え、 人を!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こんな時間に食べたら、 太っちゃうなあ。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時間
자간; 차관; 시간; 『문어』 시간. 그때의 어려움. 그 시대의 당면 난제(難題)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オーエルかね!
噂を聞いた住職は、 大亀を叱りました。
噂
(그 자리에 없는 사람에 대하여) 이러니저러니 이야기함. 또는 그 이야기; 소문. 풍설. 풍문
叱り
江戸 시대, 서민에 과하였던 가장 가벼운 형벌. 곧 꾸짖는 것으로 끝내는 형벌; 『문어』 《「しかあり」의 변한말》 그렇다. 맞다. 〔동의어〕そうである. 〔참고〕 終止形을 感動詞적으로도 씀
住職
주직. 주지(住持). 또는 주지의 직무.; 중직. 요직.
すると、
すると
《動詞 「する」+接続詞 「と」》; 그랬더니. 그러자; 그러면. 그렇다면
「 分かっております。
分かっておりますが、 自分ではどうしても止めることができません。
止める
멈추다. 세우다. 만류하다; 남기다; (어떤 범위 내에) 그치다. 억제하다. 【문어형】 とど·む {하2단 활용}
どうしても
어떤 일이 있어도. 반드시. 꼭. 〔동의어〕是非とも; 〈뒤에 否定의 말이 따름〉 아무리 해도; 〈단정적으로 강조하여〉 아무래도. 뭐니뭐니해도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ご住職、 どうにかしてください。 」
どうにか
겨우. 그런대로. 그럭저럭. 〔동의어〕どうやら·やっと; 어떻게든. 〔동의어〕なんとか
くだ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住職
주직. 주지(住持). 또는 주지의 직무.; 중직. 요직.
妙案があるぞ。
妙案
묘안. 좋은 생각.〔동의어〕名案.
藩主松平公の功績を刻んだ大きな石碑を作り、
功績
말투. 말씨. 특히, 「歌舞伎」 배우가 대사(臺詞)를 말하는 투; 공적. 〔동의어〕手柄; 『물리』 광적. 빛이 지나간 자국이 잔상(殘像)으로서 이어져 보이는 줄기. 또 그것을 찍었을 때 사진에 나타나는 빛의 궤적(軌跡); 황적. 황족(皇族)으로서의 적(籍)이나 신분. 〔반의어〕 臣籍; 항적. 배가 지나간 뒤에 생기는 물줄기; 광석
作り
만듦새. 꾸밈새. 구조; 몸집; 화장. 몸단장; 《関西(관서)방언》 생선회. 〔동의어〕刺身; 일부러 꾸밈; 농작물. 작황. 경작함. 〔참고〕 다른 말에 붙어서 복합어를 만들 때는 보통 「づくり」로 탁음(濁音)이 됨; 방. 한자의 오른쪽 부분. ((「利」의 「刂」, 「形」의 「彡」 등)) 〔반의어〕 偏
公
《「大家」 「大宅」의 뜻에서》; 조정. 국가. 정부. 관청. 〔동의어〕おかみ; 공공(公共). 사회. 세상. 공중(公衆); 공개. 공식적. 1.~3. 〔반의어〕 私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藩主
藩의 영주. 〔동의어〕大名.
石碑
석비.; 묘석(墓石).
それをおぬしの背中に背負わせるんじゃ。
背中
등. 〔동의어〕背; 뒷면. 뒤. 뒤쪽. 〔동의어〕背後
なるほど!
なるほど
(듣던 바와 같이) 과연. 정말; 《고어》 ⇒ なるたけ; 상대편의 말에 긍정하거나 동의하는 뜻을 나타냄. 아무렴. 그렇고말고
食べるな!
食べる
《古語 「賜ぶ」의 변한말》; 먹다; 살아가다. 생활하다. 【문어형】 た·ぶ {하2단 활용}
でも、 作るのに一ヶ月ほどかかり、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作る
만들다; 제작하다. 제조하다; 창조[창작]하다; 조성하다. 형성하다; (술을) 빚다. 양조하다; 저술하다. (시가를) 짓다. 출판하다. 〔동의어〕創作する; 작성하다; 경작하다. 재배하다. 〔동의어〕生産する; 창립하다. 창설하다; 수립하다; 양성하다. 육성하다. 키우다. 생산하다; (아이를) 낳다. 아이를 갖게 하다; 단장하다. 화장하다; 일부러 짓다. 거짓으로 꾸미다; 조리(調理)하다. 요리하다; (애인·친구·적 등을) 새로이 만들다; (재산을) 이룩하다. 모으다; 이루다. 차리다; 어떤 짓을 하다; 마련하다. 장만하다; (닭이) 홰를 치다; 그림을 그리다. 【가능동사】 つ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いや、 そんなかかっちゃ駄目でしょう!
そんな
그런. 그와 같은
駄目
(바둑에서) 공배; 허사임. 소용없음. 무익(無益). 〔동의어〕むだ. {문어·ナリ 활용 }; 좋지 않음. 못쓰게 됨. 제구실을 못함. {문어·ナリ 활용 }; 불가능함. 가망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불가함. 해서는 안 됨. {문어·ナリ 활용 }; (연출자가 연기자에게 주는) 연기상의 주의. 지적
きっと、 その間も被害者は出てたんでしょうね。
きっと
《「きと」의 변한말》; 꼭. 반드시. 틀림없이. 〔동의어〕かならず·たしかに; 표정이나 태도가 엄해지는 모양; 순간적으로 행동하는 모양. 〔동의어〕さっと
被害
『어류』 중고기. 〔참고〕 일본에서는 明治 천황이 즐겨 먹어서 「鰉」자를 쓰게 되었다 함; 피해. 〔반의어〕 加害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出
『문어』 그 곳·그 집안에서 태어남. 출신. 〔동의어〕で·出身
そうそう、 そういうことになっちゃうんだから!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そういう
그와 같은. 그러한
完成した石碑で、 大亀を無事、 封印することができたのです。
無事
『문어』 무사. 전쟁에 관한 일. 또는 그 기술. 〔반의어〕 文事; 무사; 아무 일이 없음. 평온함; 탈 없이 건강함. 또는 과실·사고 등 변이 없음. 안온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무사. 난잡하고 정리되지 않은 말. 〔참고〕 흔히, 자기의 말이나 글의 겸사말로 씀
完成
완성; 『법률』 관제. 〔참고〕 신헌법에서는 이 말을 쓰지 않음; 관제. 정부 기관에서 만듦. 또는 그것. 〔반의어〕 私製; 함정; 허방다리. 〔동의어〕落とし穴; 남을 속여 어려움에 빠뜨리는 책략; 건성. 〔반의어〕 湿性; 함성. 여럿이 함께 지르는 고함소리; 환성. 크게 외치는 소리; 『문어』; (비유적으로) 개똥벌레의 빛; 『철학』 감성; 『물리』 관성. 타성. 〔동의어〕惰性; 관제; (비상시 등에) 국가가 강제적으로 자유로운 활동·사용을 관리·제한하는 일; 항공기의 항행 관리·규제; 환성. 환호성; 『문어』 코고는 소리; 『문어』 함정. 우리와 허방다리; 『문어』 조용하고 단정함. 음전함. {문어·ナリ 활용 }; 한정. 한가하고 고요함. {문어·ナリ 활용 }; 『문어』 감제. 감독하여 만듦
封印
봉인; 『문어』 풍운. 풍취. 아치(雅致)
石碑
석비.; 묘석(墓石).
ラストスパートで結構食べたんだね。
結構
결항; 결강. 강의를 쉼; 혈행. 〔동의어〕血のめぐり; 결행. 단행. 〔동의어〕断行; 결구. 구성. 구조. 〔동의어〕組み立て; 《고어》 계획. 기도. 〔동의어〕たくらみ·もくろみ·企て; 훌륭함. 좋음; 충분함. 만족스러움; 마음씨 좋음. 얌전함. 무던함; 다행임; 꽤. 제법. 상당히. 〔동의어〕かなり
ラストスパート
라스트 스퍼트; (변하여) 최후의 분발
いかがでしたか。
いかが
《「いかにか」의 변한말》; 상대의 기분·의견 등을 묻는 말. 어떻게. 〔동의어〕どのよう(に); 상대에게 무엇을 권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어떻습니까. 〔동의어〕どうです; 의심·걱정을 나타내는 말. 어떤가. 〔동의어〕どうであろう(か);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어찌 …것인가
いやあ、 怪獣映画みたいな迫力ある怪談もあるんじゃなあ。
怪獣
괴수; 해수. 바다 짐승; 회삽. 난삽(難澁). {문어·ナリ 활용 }; 회유
映画
영화. 〔동의어〕シネマ·キネマ·ムービー; 영화
怪談
회담; 쾌담. 유쾌하게 이야기함.또는 그 이야기; 『불교』 계단. 계(戒)를 받는 단; 괴담. 도깨비·귀신 등이 나오는 이야기; 계단; 층층대. 층계; 단계. 순서. 〔동의어〕段階; 해단. 단체의 해산. 〔반의어〕 結団
迫力
박력
大亀伝説には他にも、 村の池に住んでいた亀が、
他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伝説
전설
池
《속어》 좋지 않은 뜻을 지닌 말 앞에 붙어 더욱 경멸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참으로. 정말. 매우; 연지(硯池). 벼루못
村
중국 고대의 주기(酒器). ((제사 때 썼음)); 부처를 나타내는 말에 붙는 높임말; 촌. 마을. 지방 공공 단체로서의 최소 단위. 〔동의어〕むら; 손. 팔괘(八卦)의 하나. ((☴의 꼴로 나타냄)); 손. 〔반의어〕 得; 손해; 소득이 없음. 성과가 없음. {문어·ナリ 활용 }
亀
단지. 항아리. 독; 《고어》 술병; 『동물·동물학』 거북
夜になると巨大化し、 同じく城下で悪さをするから、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巨大
거대. {문어·ナリ 활용 }
城下
상하; 위와 아래. 또는 상급과 하급; (양원제 국회의) 상원과 하원; 문장에서, 그 일에 해당하는 부분; 성하; 성벽의 아래. 성벽의 밖; ⇒ じょうかまち; 정화; 깨끗이 함; 악폐·악습 등을 없앰; 『문어』 정화. 신성한 불; 『문어』 정화. 불 같은 정욕. 〔동의어〕情炎; 「都々逸」의 딴이름
悪
잿물. (빨래 등에 쓰려고) 재를 물에 담가서 받은 윗물. 〔동의어〕あくじる; 식물이 함유한 떫은 액체[맛]. 쓴맛. ((자극적인 여러 맛을 가리키는 말)); 세련되지 않은, 집요하고 개성적인 느낌. 〔참고〕 3.은 보통 かな로 씀; 악. 〔반의어〕 善; 《고어》 악기(惡氣). 독기(毒氣); 『연극』 악역; ‘나쁨’ ‘좋지 않음’ 등을 나타냄. 악; (시간이) 나다; (공간이) 비다. 나다. 놀다; 공석이 되다. 결원이 생기다; 쓰이지 않다. 놀다; 「明ける」의 문어; 열리다; (가게의) 문을 열다. 개점(開店)하다. 영업을 하다. 1.2. 〔반의어〕 しまる; (막이) 열리다. 오르다. 〔반의어〕 とじ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뜨다. 벌리다. 열다. 〔동의어〕開く. 【문어 4단 활용 동사】; 「開ける」의 문어; 『문어』 만족하다. 싫증나다. 질리다. 물리다. 〔동의어〕飽き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化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同じく
마찬가지로; 동(同). 〔참고〕 < 1> 과 < 2> 모두 シク活用의 形容詞 「同じ」의 連用形에서
寺の住職が大きな亀の石像を作って、 鎮めたとか、
寺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大きな
《文語의 形容動詞 「おおきなり」의 連体形 「おおきなる」의 변한말》 큰. 커다란. 〔반의어〕 小さな
鎮め
가라앉힘. 진정(鎭定). 진호(鎭護)
亀
단지. 항아리. 독; 《고어》 술병; 『동물·동물학』 거북
住職
주직. 주지(住持). 또는 주지의 직무.; 중직. 요직.
石像
석조. 〔동의어〕石造り.; 석상.
腕自慢の侍によって首を斬り落とされて、 退治されたという話もあるんですよ。
腕
팔; 역량. 솜씨. 기량. 실력. 〔동의어〕腕前; 완력; (기물·건물 등의) 가로대
首
목. 경부. 고개; 목에 해당하는 부분; 옷의 목 부분; 머리 부분; (비유적으로) 목숨; (변하여) 면직. 해고
自慢
《接尾語적으로도 씀》 자랑
退治
『철학』 대자. ((헤겔 변증법의 용어. 즉자(卽自)의 상태로부터 발전한 제2의 단계)); 『문어』 대치; (높은 산 등이) 마주보고 솟음; (행동은 하지 않고) 서로 맞서 있음; 『생리학』 태아; 퇴치; 『물리』 대자. 자화(磁化)
話
소곤대는 이야기. 밀담
侍
무사. 〔동의어〕武士; 옛날에, 귀인을 모시며 호위하던 사람.〔동의어〕さぶらいびと; 무가(武家)에서, 家人(세습 신하)·家の子(혈족으로서 본가와 주종 관계에 있는 자)의 일컬음; 「侍所」의 준말
実際、 大亀の首には切断されたような痕もあったり。
首
목. 경부. 고개; 목에 해당하는 부분; 옷의 목 부분; 머리 부분; (비유적으로) 목숨; (변하여) 면직. 해고
実際
실제; 정말로. 참으로. 〔동의어〕ほんとうに·まったく
痕
술자리에서 잔을 건네는 횟수. 잔; ⇒ ごん; 곤; 곤방(坤方). 서남쪽. 〔동의어〕ひつじさる; ⇒ きん; 근; 끈기. 근기(根氣); 『수학』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미지수의 값; 『수학』 멱근(冪根). 승근(乘根); 『화학』 이온화될 경향이 있는 기(基); 혼. 부부가 됨; ‘결혼’ ‘혼인’의 뜻을 나타냄. 혼; 감색(紺色); 『문어』 혼. 영혼. 〔동의어〕霊魂; 《속어》 《「この」의 변한말》 이; 이번의. 지금의. 오늘날의; 딱딱한 것을 때렸을 때 나는 소리. 탁. 〔동의어〕ごつん; 여우가 우는 소리. 캥
切断
절단. 자름. 〔동의어〕さいだん
いずれにしろ、 この大亀の桁外れの巨大さが、
いずれ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둘 이상의 사물 중의) 어느 것[곳·쪽]. 〔동의어〕どれ·どちら·どっち; 어쨌든. 어차피. 아무래도. 결국은. 〔동의어〕どのみち·どちらにせよ; 머지않아. 근간. 일간. 〔동의어〕近々
巨大
거대. {문어·ナリ 활용 }
桁外れ
규모가 표준과 엄청나게 차이가 남. 〔동의어〕並外れ·どはずれ. {문어·ナリ 활용 }
人々の想像力を掻き立てたんじゃろうね。
力
힘; 체력(體力); 『물리』 물체의 상태에 변화를 일으키는 작용; (사물에 갖춰져 있는) 위력; 지배력. ((폭력·완력·권력 등)); 기력. 정기(精氣). 원기(元氣); 박력(迫力); 조력. 진력(盡力); 효력. 효능; 의탁. 의지(依持); 능력. 실력(實力); 학력. 〔동의어〕学力; 재력; (종합적인) 세력
想像
송상. (텔레비전의) 영상을 전파로 바꾸어 보냄. 〔반의어〕 受像; 창조; 상상
あれ、 博士、 その石は?
石
돌. 암석. 광물. 석재(石材); 보석; (가위바위보의) 바위. 〔동의어〕ぐう. 〔반의어〕 はさみ·かみ; 단단한 것, 차가운 것, 무정한 것의 비유; 담석. 결석(結石); 바둑돌. 〔동의어〕碁石; 의사. 〔동의어〕医者; 이지; 보통과 다른 뛰어난 뜻; 의지. 의사. 생각. 뜻; 의사.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생각; 유자. 유복자. 〔동의어〕遺児; 유지. 옛터. 유적; 유지. 죽은 사람의 생존시의 뜻; 유기된 시체; 위지. 취지에 어긋남; 『문어』 액사. 목을 매어 죽음. 〔동의어〕首つり·首くくり; 사람을 턱으로 부림. 사람을 가벼이 보고 마음대로 부림
博士
박사; 『역사』 大学寮·陰陽寮의 교관; 학문·예도 등의 분야에 능통한 사람; 「節博士」의 준말
観光の記念に持って帰ろうと思ってな。
観光
권항. 항복을 권함; 관행; 그 전부터 관례가 되어 행함; 자주 행함; 『문어』 《「けんこう」의 관용음》 겸구; 남에게 말을 못하게 함. 〔동의어〕口止め; 『문어』 완행. 〔반의어〕 急行; 『문어』 함구; 『문어』 환행. 천황이 출타했다가 되돌아옴. 환궁. 〔반의어〕 行幸; 「観光繻子」의 준말; 관후. 관대하고 온후함. {문어·ナリ 활용 }; 간행. 출판; 『화학』 감홍. 염화 제일수은; 완공. 〔반의어〕 起工; 『문어』 감고. 숙고; 감교. 비교하여 생각함. 대조하여 조사함. 〔동의어〕校勘; 감행; 관항. 관과 항. 법률·회계 등의 항목 명칭; 《속어》 「幹部候補生」의 준말; 『물리』 감광
記念
기념. 기원. 〔동의어〕祈願; 기년. 기원(紀元)부터 센 햇수. 연수; 기념; 『문어』 기년. 만 1년. 한 해; 『문어』 기년. 그 해의 풍작을 신에게 기원함
いやあ、 駄目じゃよ、 どっから持って来たか知らないけれど。
来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駄目
(바둑에서) 공배; 허사임. 소용없음. 무익(無益). 〔동의어〕むだ. {문어·ナリ 활용 }; 좋지 않음. 못쓰게 됨. 제구실을 못함. {문어·ナリ 활용 }; 불가능함. 가망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불가함. 해서는 안 됨. {문어·ナリ 활용 }; (연출자가 연기자에게 주는) 연기상의 주의. 지적
けれど
⇒ けれども; ⇒ けれども
どっか
다 읽음. 읽어 냄. 독파함; (내용을 음미하지 않고) 읽어 넘김; 《「どこか」의 변한말》 어딘가. ((「どこか」의 속된 표현))
ちょっと待ってください。
ください
《「下さる」의 命令形》 주십시오; 《「お」+動詞의 連用形, 「ご」+한자어, 또는 動詞의 連用形+助詞 「て(で)」의 꼴 등에 붙음》 남에게 권하거나 바라는 뜻을 나타냄. …해 주세요.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ちょっと
잠깐. 잠시; 좀. 조금. 약간; (역설적으로) 꽤. 상당히. 제법; 〈否定語가 따르며〉 좀처럼. 쉽게. 쉽사리. 거의; 부르는 말. 여보세요. 이봐요. 이보게. 〔동의어〕ちょいと. 〔참고〕 「一寸」 「鳥渡」는 차자. 「一寸」은 딴말임
その石、 文字がびっしり彫られてて...
石
돌. 암석. 광물. 석재(石材); 보석; (가위바위보의) 바위. 〔동의어〕ぐう. 〔반의어〕 はさみ·かみ; 단단한 것, 차가운 것, 무정한 것의 비유; 담석. 결석(結石); 바둑돌. 〔동의어〕碁石; 의사. 〔동의어〕医者; 이지; 보통과 다른 뛰어난 뜻; 의지. 의사. 생각. 뜻; 의사. (무언가를 하고자 하는) 생각; 유자. 유복자. 〔동의어〕遺児; 유지. 옛터. 유적; 유지. 죽은 사람의 생존시의 뜻; 유기된 시체; 위지. 취지에 어긋남; 『문어』 액사. 목을 매어 죽음. 〔동의어〕首つり·首くくり; 사람을 턱으로 부림. 사람을 가벼이 보고 마음대로 부림
文字
문자. 글자. 〔동의어〕もんじ; 문장. 글; 학문; 《궁녀어》 말의 뒷부분을 생략하고, 그 말의 머리글자, 또는 앞부분의 「かな」에 붙어, 완곡하게, 또는 품위 있게 표현하는 말; かな로 표현되는 음절의 수효를 세는 말. 자; ⇒ 錑錐
びっしり
《「~と」의 꼴로도 씀》 빈틈없이 들어찬 모양. 꽉. 빽빽이
博士!
博士
박사; 『역사』 大学寮·陰陽寮의 교관; 학문·예도 등의 분야에 능통한 사람; 「節博士」의 준말
緊急事態宣言「解除は難しい」分科会メンバー(2021年9月7日)
How Can You Easily Make Friends in Japan? Ask Risa
14日でWindows7サポート終了 アップデート呼びかけ(20/01/14)
高知沖にも大量の「軽石」 カツオ漁船に注意喚起(2021年11月1日)
“200万人”全国学力テスト延期へ 感染拡大を懸念(20/03/16)
Are Otaku(Nerds) Uncool? (Japanese Interview)
Let It Go - Frozen OST
最後の雨
東海道以外の新幹線で車内販売を一時中止(20/04/08)
Japanese Listening Comprehension - At the Jewelry Store in Japan
Japanese Listening Comp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
Todaii Japanese est un site web pour apprendre et lire les actualités japonaises intégrant diverses fonctionnalités telles que dictionnaire, pratique, tests,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uong Chinh, Khuong Mai, Thanh Xuan, Han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