秋篠宮ご夫妻の長女・眞子さまが2週間後に控えた小室圭さんとの結婚を報告するため、東京・八王子市の「武蔵野陵」を訪れ、参拝されました。
Princess Mako Visit the Musashi Royal Tomb to announce the marriage to Komuro (2021/10/12)
631 view秋篠宮ご夫妻の長女・眞子さまが2週間後に控えた小室圭さんとの結婚を報告するため、東京・八王子市の「武蔵野陵」を訪れ、参拝されました。
眞子さまは午前10時ごろ、昭和天皇が埋葬されている「武蔵野陵」に到着されました。
26日に予定されている小室さんとの結婚について報告されたもので、陵の前に進み玉串を捧げ拝礼されました。
香淳皇后の「武蔵野東陵」にも参拝されました。
武蔵野陵の入り口には雨にもかかわらず、眞子さまを一目見ようと100人余りの人々が傘を差して集まりました。
眞子さまは、皇室の祖先などを祭る皇居・宮中三殿にも非公式な形で拝礼する予定です。
アメリカから帰国した小室さんは昨日で隔離期間が終わり、近く、眞子さまとおよそ3年ぶりに再会する見通しです。
秋篠宮ご夫妻の長女・眞子さまが2週間後に控えた小室圭さんとの結婚を報告するため、東京・八王子市の「武蔵野陵」を訪れ、参拝されました。
市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報告
『문어』 봉고. 신 또는 귀인에게 아룀; 보고; 『문어』 보국
週間
『법률』 수감; 종간. 〔반의어〕 創刊·発刊; 종권. (전집 등의) 마지막 권. 책의 마지막 부분. 〔반의어〕 首巻; 습관. 풍습; 주간; 주간
長女
장녀. 맏딸. 〔동의어〕一女·総領娘
夫妻
『문어』 부재. 둔재. 비재(菲才). ((자신의 재능에 대한 겸사말로도 씀)); 부처. 부부; 부록으로서 실음; 부채
結婚
혈흔. 핏자국; 결혼. 〔동의어〕婚姻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訪れ
『문어』; 방문. 내방. 찾아옴. 찾아감; 소식. 기별
控え
예비로 준비함. 또는 그 물건; (훗날의 증거로) 적어 둠. 또는 그 복사·복제(複製). 부본(副本). 사본(寫本). 메모; 차례를 기다림. 대기함; 곁에서 도와줌. 또는 그 사람; 건물·벽 등이 기우는 것을 떠받치는 것; (일본식 나무배에서) 노를 저어 뱃머리를 왼쪽으로 틂. 〔반의어〕 押さえ
参拝
삼배; 몇 번이고 배례함; 참배; 산패. 음식물이 산화하여 맛이 변함
陵
천황·황후 등의 무덤. 능. 〔동의어〕御陵. 〔참고〕 옛날에는 「みさざき」
眞子さまは午前10時ごろ、昭和天皇が埋葬されている「武蔵野陵」に到着されました。
到着
도착. 〔반의어〕 出発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天皇
『문어』 ⇒ すめろぎ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昭和
소화. 짤막한 이야기. 조그마한 에피소드. ((책이름에 많이 씀)) 〔동의어〕こばなし; 서기 1926년 12월 25일~1989년 1월 7일 사이의 일본의 연호(年號). 곧, 昭和 천황 때의 연호; 소화. 우스운 이야기. 〔동의어〕わらいばなし; 창화; (응답하는 뜻에서) 상대편의 시운(詩韻)에 맞추어 시가를 지음
埋葬
『문어』 매상. 먼동이 틀 무렵. 이른 새벽. 〔동의어〕暁·未明; 매장
陵
천황·황후 등의 무덤. 능. 〔동의어〕御陵. 〔참고〕 옛날에는 「みさざき」
26日に予定されている小室さんとの結婚について報告されたもので、陵の前に進み玉串を捧げ拝礼され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予定
예정
報告
『문어』 봉고. 신 또는 귀인에게 아룀; 보고; 『문어』 보국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進み
나아감. 나아가는 정도; 마음이 내킴. 의욕. 〔동의어〕やる気; 발전함. 진보함. 진도
結婚
혈흔. 핏자국; 결혼. 〔동의어〕婚姻
玉串
‘비쭈기나무’의 미칭
拝礼
『문어』 배례; 『문어』 배려. 도리를 어김
陵
천황·황후 등의 무덤. 능. 〔동의어〕御陵. 〔참고〕 옛날에는 「みさざき」
香淳皇后の「武蔵野東陵」にも参拝されました。
香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皇后
『문어』 교합. 성교(性交). 교접(交接). 〔동의어〕交媾·媾合; 황후. 〔동의어〕后; 향합. 〔동의어〕香箱; ⇒ きょうごう; 『문어』 구합. 성교. 교접(交接). 〔동의어〕交合; 『불교』 광겁. 매우 긴 세월
参拝
삼배; 몇 번이고 배례함; 참배; 산패. 음식물이 산화하여 맛이 변함
武蔵野陵の入り口には雨にもかかわらず、眞子さまを一目見ようと100人余りの人々が傘を差して集まりました。
集まり
모임. 집회. 회합. 집합
余り
나머지; 남은 것. 여분. 〔동의어〕残り; (나눗셈에서 나누고 남는) 우수리; 〈「~に」 「~にも」의 꼴로도 씀〉 너무. 지나치게. 〔동의어〕あんまり; 〈「…の~」 「…した~」의 꼴로〉 …한 나머지. 몹시 …한 결과; 〈뒤에 否定語가 따름〉 그리. 그다지. 별로; 너무함. 지나침. 〔동의어〕あんまり. {문어·ナリ 활용 } 〔참고〕 < 2> ·< 3> 은 보통 かな로 씀; 그보다 조금 많음을 나타냄. 남짓
人
사물을 3단계로 나누었을 때의 3번째. 3권의 책의 3번째 등. 〔반의어〕 天·地; 인; 인; 동정심; 유교에서 최고의 미덕; 씨에서, 씨눈과 씨젖의 총칭. 〔동의어〕にん; 세포핵 내에 있는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소체(小體); 〈「人」의 높임말〉 분; 『문어』 칼날. 날붙이; 십간(十干)의 아홉째. 〔동의어〕みずのえ; 인. 길. 높이·깊이의 단위. ((7자·4자·5자 6치 등 여러 설이 있음)); 『문어』 그믐날. 말일(末日). 〔동의어〕尽日; 『문어』 《「沈香」의 준말》 침향; 진; 병사를 배치함; 진지. 진영. 군영; 전투. 전쟁. ((예스러운 말)); 진. 집단. 무리; 심. 옛날의 길이 단위. 6자. 또는 5자. 〔동의어〕ひろ; 신. 신장(腎臟)
一目
한 눈. 외눈. 애꾸눈. 〔동의어〕片目; 슬쩍 봄. 일견(一見); (바둑에서) 한 집. 한 점. 돌 하나
雨
하늘의 신이 사는 곳. 또는 高天が原; 콩을 삶을 때 나오는 국물. 메주 콩물; 비; 끊임없이 떨어지거나 쏟아지거나 하는 것; 엿. 조청; 「あめ色」의 준말; 『어류』 ⇒ あめのうお
傘
소나무나 칠엽수(七葉樹) 등의 구과(毬果); 삿갓. 〔동의어〕かぶりがさ; 갓 모양의 것; 공기의 뚜껑; (비유적으로) 비호 세력. 배경; 우산. 양산; 부피. 덩치. 체적. 용적. 분량; 《고어》 몸에 베어 있는 위엄. 관록. 무게; (과로 등으로) 눈가에 생기는 검은 기미; 종기. 부스럼; 《속어》 창병. 매독. 〔동의어〕梅毒
入り口
입구. 어귀. 〔동의어〕はいりぐち. 〔반의어〕 出口; (비유적으로) 시초. 시작. 단서. 〔참고〕 「いりくち」라고도 함
差し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名詞를 만듦》 도중에 그만둠. 〔동의어〕かけ; 색대. 간색대. 태관(兌管). 〔동의어〕米刺し; 〈「さしみ」의 준말〉 생선회; 《「名指し」의 준말》 지명(指名); 마주 대함[앉음]. 〔동의어〕差し向かい; (짐을) 둘이서 멤. 〔동의어〕差し担い; 자. 〔동의어〕尺·ものさし; 지장. 장애. 〔동의어〕さしつかえ; 〈名詞에 붙어〉 어떤 기구임을 나타냄; (씨름에서) 자기 손을 상대편 겨드랑이 밑으로 질러넣는 일. 또는 그 수. 〔동의어〕差し手; 謡曲에서 박자에 맞추지 않고 단순한 가락으로 부르는 부분; 《動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거나 뜻을 강하게 하는 말; 《흔히, 「ひと~」의 꼴로》 춤의 곡수를 세는 말. 곡; 자. 척도; 《고어》 《助数詞적으로도 씀》 전관(錢貫). 돈꿰미. 돈을 꿰는 끈. 〔동의어〕銭差; 《속어》; 가시. 초파리의 구더기. ((된장 등에 생김)); 『지리·지학·지명』 사취. 사주(砂洲). 바다로 길게 뻗어 나간 모래톱. ((연안류(沿岸流)에 의하여 밀려 온 모래와 사갈이 쌓여 이루어짐)); 『문어』 사재. 찌끼. 앙금. 〔동의어〕おり
陵
천황·황후 등의 무덤. 능. 〔동의어〕御陵. 〔참고〕 옛날에는 「みさざき」
眞子さまは、皇室の祖先などを祭る皇居・宮中三殿にも非公式な形で拝礼する予定です。
形
굳은. 딱딱한; (한 쌍 중의) 한쪽. 짝. 편; (둘이 있어야 할 것 중의 한쪽을 가리키는) 짝. 외; 불완전함; 한쪽에 치우침; 약간. 조금; 형. 모양. 형상. 〔동의어〕かたち; 저당. 담보. 〔동의어〕抵当; 흔적. 자국; 어깨; 어깨와 비슷한 부분. 산꼭대기에 가까운 평평한 부분; 옷의 어깨 부분; 물건 위쪽의 모서리 부분; 형. 본. 틀. 거푸집. 골; 무도(武道)·예도(藝道)·운동 등의, 규범이 되는 동작이나 일정한 형(型). 폼. 〔동의어〕フォーム; 습관으로 정해진 형식. 틀. 관례; 전형(典型). 형. 유형(類型). 〔동의어〕タイプ·パターン; 크기. 사이즈; 『지리·지학·지명』 사구(砂丘) 등으로 바다와 분리되어 생긴 호수나 늪. 석호(潟湖). 〔동의어〕せきこ; 개펄. 간석지(干潟地). 〔동의어〕ひがた; 《関西(관서)방언》 만(灣); 『문어』 과다. 퍽 많음. {문어·ナリ 활용 }; 분. ((남에 대한 높임말)); 『문어』 방향. 방위. 쪽. 편. 〔동의어〕むき·方位; 『문어』 즈음. 시절. 무렵. 시대. 〔동의어〕ころ·時分; 『문어』 장소. 곳; 『문어』 〈흔히 否定語가 따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를) 방법. 수단; 둘 가운데 한쪽. 편; 담당자. 〔동의어〕係; 〈남의 이름에 붙어〉 그 사람 집에 의지하고 있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방법. 수단; 〈動詞의 連用形이나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을 함. …하기; 사람을 셀 때의 높임말. 분. ((「おひとかた(한 분)」 「おふたかた(두 분)」 「おさんかた(세 분)」의 꼴로만 씀)); 『문어』 과다함. 〔반의어〕 過少. {문어·ナリ 활용 }
予定
예정
祖先
조선. 조상. 선조. 〔반의어〕 子孫
祭る
제사지내다; 신으로 받들어 모시다. 【가능동사】 まつ·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천의 가장자리 등이 풀리지 않도록 실로) 감치다. 공그르다. 【가능동사】 まつ·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바치다. 드리다. 〔동의어〕たてまつる; 《고어》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겸사의 뜻을 나타냄. …해 올리다. …해 드리다
殿
《「後駆」의 변한말》; 퇴각하는 군대의 맨 뒤에서 적의 추격을 막음. 또는 그 부대; 맨 뒤. 후미. 꼴찌
皇居
공허. 관허(官許); 『문어』 항거; 황거. 천황이 거처하는 곳. ((「宮城」의 고친 이름)); 일정한 지점에서 위로 잰 높이; 『문어』 구거. 도랑. 개골창; 『문어』 훙거. 서거. ((황족(皇族)이나 삼품(三品) 이상인 사람의 죽음에 대한 높임말)) 〔동의어〕薨逝
三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拝礼
『문어』 배례; 『문어』 배려. 도리를 어김
皇室
(공저·관저 등에서) 손님과 같이 식사를 하거나 쉴 수 있는 방. 식당. 거실 등. 〔반의어〕私室; (귀인의) 미망인; 황실. 〔동의어〕天皇家; 고습. 다습. (대기중의) 습도가 높음; 경질. 〔반의어〕 軟質; 교칠. (아교와 옻칠처럼) 지극히 친밀하여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의 비유; 교질. 〔동의어〕コロイド
宮中
神宮의 경내; ⇒ ジストマ
非公式
비공식. {문어·ナリ 활용 }
アメリカから帰国した小室さんは昨日で隔離期間が終わり、近く、眞子さまとおよそ3年ぶりに再会する見通しです。
アメリカ
아메리카; 「アメリカ合衆国」의 준말. 〔참고〕 「亜米利加」는 차자
終わり
끝. 마지막. 종말. 〔동의어〕しまい·最後. 〔반의어〕 初め·はじまり; 일생의 최후. 임종;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 지금의 愛知현의 서북부 名古屋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
およそ
대체적인 것. 대개. 대강. 개략. 〔동의어〕おおよそ·あらまし; 대강. 대충. 대체로. 〔동의어〕だいたい; 도무지. 전혀. 전연. 아주. 〔동의어〕全く; 일반적으로. 무릇. 〔동의어〕そもそも
期間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再会
재회; 재개; 「西海道」의 준말; 재계; 『문어』 제회. 중대한 사건이나 시기(時機)에 우연히 만남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近く
근처. 가까운 곳. 〔동의어〕近所. 〔반의어〕 遠く; 〈数詞에 붙여〉 …에 가까움; 곧. 근간. 일간(에); 『지리·지학·지명』 지핵. 〔동의어〕核·コア; 『지리·지학·지명』 지각. 지구의 외각(外殼); 지각; 『심리학』 감각 기관을 통하여 외부의 사물을 인식하는 작용; 감지
年
해; 나이. 연령; 『문어』 도사. 개죽음. 〔동의어〕いぬじに; 도시
見通し
가리는 것 없이 멀리까지 보임. 전망. 조망(眺望); 간파(看破). 통찰. 〔동의어〕洞察; 예측. 전망; 처음부터 끝까지 봄. 계속하여 봄. 〔동의어〕見続け. 〔참고〕 4.는 「みどおし」라고도 함
帰国
귀향; 『문어』 귀곡. 귀신의 울음; 『문어』 귀국. 〔동의어〕御国
隔離
격리; 떼어놓음; 생물 집단이 지리적 요인 등으로 교배가 불가능해지는 현상
欧州からの入国者に2週間の自主待機を要請へ(20/03/17)
米デサンティス知事 訪日を「楽しみにしている」(2023年4月22日)
手紙
今年の恵方巻平均価格948円は去年比4%の値上がり(2024年1月24日)
一休さん - いっきゅうさん
接種後の副反応に備え? 解熱鎮痛剤の売り上げ増(2021年6月25日)
UAEハリファ大統領死去 73歳(2022年5月14日)
リトルミス・バッド(わるいこちゃん)
全国的に“今季一番の冷え込み” 初霜や初氷も(2021年10月24日)
【速報】2023年の自殺者数は2万1837人 小中高生は513人で「危機的な状況」(2024年3月29日)
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
Todaii Japanese est un site web pour apprendre et lire les actualités japonaises intégrant diverses fonctionnalités telles que dictionnaire, pratique, tests,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uong Chinh, Khuong Mai, Thanh Xuan, Han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