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京・江東区の豊洲市場では令和になって初めての初競りが行われ、青森県大間産の本マグロが1億9320万円で競り落とされました。
Toyosu Market First auction of the Reiwa year This tuna costed 193.2 million yen (20/01/05)
355 view東京・江東区の豊洲市場では令和になって初めての初競りが行われ、青森県大間産の本マグロが1億9320万円で競り落とされました。
午前5時すぎ、鐘の合図とともに新春恒例の生のマグロの初競りが始まりました。
威勢の良い声が飛び交うなか、今年、最高値を付けたのは青森県大間産の276キロの本マグロで、1億9320万円で競り落とされました。
1キロ70万円で、過去2番目の値となりました。
築地から豊洲に移転して初めて行われた去年の初競りでは、青森県大間産の本マグロが史上最高の3億3360万円で競り落とされました。
東京・江東区の豊洲市場では令和になって初めての初競りが行われ、青森県大間産の本マグロが1億9320万円で競り落とされました。
億
〈「やね」의 예스러운 말〉 지붕; 건물. 집; 속. 깊숙한 안쪽; 겉에 드러나지 않는 속. 남에게 알리지 않는 것; 입구에서 깊숙이 들어간, 가족이 거처하는 곳. 집 안. 안방; 《고어》 귀인의 부인; 〈「~様」 「~さん」의 꼴로〉 남의 부인의 높임말; 끝. 최후; 심오(深奧)함; 오의(奧義); 『지리·지학·지명』 ⇒ 奥州; (변하여) 엄청나게 많은 수; 보류하다. 그만두다; 빼놓다. 제외하다; 『문어』 (서리·이슬 등이) 내리다. 맺히다. 또는 (먼지 등이) 물건 위에 쌓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물건을) 어떤 장소에 놓다. 두다. (사람을) 어떤 장소에 앉히다; 두다. 설치하다; 남겨 놓다. 내버리다; 맡기다. 전당잡히다; 蒔絵·금박 등을 입히다; 사람을 두다. 자기 집에서 살게 하다; (시간·거리 등의) 간격을 두다. 사이를 두다[떼다]; 마음에 두다. 유의하다; 제쳐놓다. 제외하다. 별도로 하다; 그만두다. 집어치우다. 중단하다. 〔참고〕 「措く」 「擱く」로도 씀; 〈「そろばんを~」의 꼴로〉 주판을 놓다. 셈하다; 〈「重きを~」의 꼴로〉 중시하다. 중요시하다; 〈否定語가 따름〉 눈감아 주다. 묵인하다. 【가능동사】 お·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의 꼴로》; …하여 두다; 미리 준비해 두다; (우선) …해놓고 보다. 〔참고〕 구어체에서는 「て~[で~]」가 「とく[どく]」로 될 때가 있음.【문어 4단 활용 동사】; 그만두다. 중지하다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円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市場
시장. 장. 〔동의어〕市·マーケット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落とす
(위에서 아래로) 떨어뜨리다. 낙하시키다; (달려 있는 것을) 떨다; (실수하여) 놓치다; 내리다. 닫다; 흘리다. 쏟아지게 하다; 깨어 넣다; (빛을) 비추다; (시선 등을) 그쪽으로 보내다[돌리다]. (고개 등을) 떨어뜨리다; 물을 흘러들게 하다; 제거하다. 벗기다. 씻다. 밀다. 깎다; (씌운 귀신을) 떼다. 물리치다; 잃다; (깜빡하고) 빠뜨리다. 빼먹다; 물건 등을 (깜빡하고) 잃다. 분실하다. 잃어버리다; 제외[제거]하다. 빼다. 없애다; 낙방시키다. 낙제시키다; 몰래 달아나게 하다. 도피시키다; 정도가 낮아지게 하다. 낮추다. 저하시키다; 전락시키다. 영락하게 하다; 나쁘게 말하다. 얕보다. 희롱하다; 공격해서 빼앗다. 함락시키다; (상대를) 복종시키다. 설득하다; (유도에서) 기절시키다. 까무러뜨리다; (동물을) 잡다. 죽이다. 도살하다; (落語 등에서) 우스갯소리로 이야기의 끝을 마무르다; 기가 죽다. 실망하다; (나쁜 상태에) 빠뜨리다. 뒤집어씌우다; (경매에서) 낙찰하다; 처리하다. 결제하다; (돈을) 쓰다. 뿌리다; (지위 등을) 낮추다. 강등시키다; 자백시키다. 불게 하다; (아이를) 낳다. 또는 낙태하다. 【가능동사】 おと·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区
《고어》 《活用語에 붙어 名詞화함》 …하는 일. ((현재는 복합어로서 약간 남아 있을 뿐이며, 副詞적으로 쓰임. 「いわ~」 「おもわ~」 「願わ~は」 「安け~」 등)) 〔참고〕 動詞에서는 連体形의 끝 음이 「ア」열(列)의 음으로 변한 꼴에, 形容詞에서는 끝 음이 「け」로 변한 꼴에 붙음; 구. 아홉. 〔동의어〕ここのつ·きゅう; 『불교』 입. 말; 인원수·기구(器具) 등을 세는 말. 개; 구; 법령 집행을 위하여 마련된 구획. ((선거구·학구 등)); 대도시에서 행정상의 구획의 하나; 구. 지역; 『언어학』 구. (문장의) 구절; 『언어학』 시가·문장의 한 문절; 『언어학』 관용구; 『언어학』 和歌·俳句·한시(漢詩) 등의 구. 구절; ⇒ 俳句; 連歌의 구절 및 俳句 등을 세는 말. 구절; 괴로움. 고통. 〔반의어〕 楽; 노고(勞苦). 고생. 곤란; 근심. 걱정. 고민; 『문어』 몸. 몸뚱이. 〔동의어〕身; 불상(佛像)을 세는 말. 좌(座). 〔동의어〕体; 『문어』 두려워함. 두려움; 『문어』 《「来る」의 文語》; 가다. 〔참고〕 옛날에는 命令形에 「よ」가 딸리지 않고 「こ」라고만 썼음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万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東京
『지리·지학·지명』 도쿄. 동경. 일본의 수도. ((徳川幕府 시대에는 江戸라고 불렸음))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和
『러시아어』 친근감. 또는 멸시의 뜻을 나타냄. 〔참고〕 「和」로도 씀; 새·토끼를 셀 때 쓰는 말. 마리. 〔참고〕 「一·六·八·十·百」에 붙을 때는 「ぱ」로 됨. 또 「三」에 붙을 때는 「ば」로 됨; (활쏘기에서) 화살을 세는 단위. ((1把는 51대임)) 〔참고〕 「一·六·八·十·百」에 붙을 때는 「ぱ」로 됨. 또 「三」에 붙을 때는 「ば」로 됨; 《고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동의어〕われ; 원형. 고리; 수레바퀴. 차륜. 〔동의어〕車輪; 테. 테두리; 화목; 화해; 『수학』 화. 합. 합계. 〔반의어〕 差; 왜. 일본. ((7세기경까지 한국·중국에서 일본을 일컫던 말)); 의외·놀람 따위를 나타내는 말. 아. 아니. 아이. 아이고. 〔동의어〕わっ;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놀람·영탄·감동을 나타냄; 《여성어》 가벼운 주장·결의·영탄을 나타냄. …요; 〈흔히, 「~よ」 「~ね」의 꼴로〉 어감이 여성다운 부드러운 말씨를 나타냄. …요. 〔참고〕 ㉠본디 係助詞 「は」의 문말 용법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중세 말기 이후부터 「わ」로 고정되었음. ㉡현대 かな 쓰기에서 「これは, これは」 「こんにちは」 「こんばんは」 등 후단(後段)이 생략된 형태의 말은 「は」로 씀
産
‘갓 낳은 그대로의’의 뜻; ‘출산의’ ‘분만의’의 뜻; 숫됨. 세파에 닳지 않음. 순진함; 남녀 관계에 경험이 없음. 숫총각. 숫처녀. {문어·ナリ 활용 }
競り
『식물·식물학』 미나리; (극장에서) 무대 바닥의 일부를 뚫어 배우·대도구를 지하실에서 밀어올리거나, 또는 끌어내리거나 하는 장치; 경쟁. 경합; 경매(競賣); 「せり市」의 준말; 행상. 〔참고〕 4.는 흔히 「糶」로 씀; 『문어』 《「為」의 未然形 「せ」+完了의 助動詞 「り」》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말. …했습니다. …했다
令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午前5時すぎ、鐘の合図とともに新春恒例の生のマグロの初競りが始まりました。
生
귀; 신분·집안·가치 등이 높은; 경의(敬意)의 표시; 기; 기초. 근본; 『화학』 원자단(原子團). 〔동의어〕根; (설치해 놓은) 묘석(墓石)·장명등(長明燈)·기계 등을 세는 단위; 인간답지 않은 무서운 사람; 기; 기. 말 탄 사람의 수효; 『식물·식물학』 나무. 수목; 재목. 목재; 딱따기; 잡것이 섞이지 않음. 자연 그대로임. 순수함; ‘순수함’ ‘인공을 가하지 않음’ ‘오직 그대로임’의 뜻을 나타냄; 황. 노랑. 황색. 〔동의어〕きいろ; ‘황색’의 뜻을 나타냄; 기. 십간(十干)의 여섯째. 〔동의어〕つちのと; 기운. 정기. 생기. 분위기; (특유한) 맛. 향기; 숨. 호흡; 정신. 의식. 얼; 성미. 기질. 마음씨; 기. 기력; 생각. 의지; 마음. 기분; 흥미. 관심; 「希臘」의 준말; 『화학』 희. 묽은. 〔반의어〕 濃; 드묾. 〔참고〕 「希」는 「稀」의 대용자; 상을 입고 집에 들어박혀 행동을 삼가는 일. 또는 그 기간. ((보통 49일간)) 상(喪); 기. 기일(忌日). 회기(回忌); 『문어』 이상함. 야릇함. 진기함. {문어·ナリ 활용 }; 기수. 홀수. 〔반의어〕 偶; 계절. 〔동의어〕シーズン; 連歌·俳句에서 구(句)에 삽입하는 계절의 경물(景物). 〔동의어〕季題·季語; 계. 천간(天干)의 열째. 〔동의어〕みずのと; 기. 기전체(紀傳體) 역사에서 제왕의 사적(事績)을 적은 글. 〔동의어〕本紀; 『문학』 〈「日本書紀」의 준말〉 일본서기; 기. 지질 시대 구분의 단위; 궤; 수레의 양 바퀴의 간격;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 규칙; 기. 기록(문); 『문학』 「古事記」의 준말; 기; 기. 기구(起句); 『문어』 기; 시기. 기간. 기한; 좋은 기회. 시기; 기; 기간. 시기; [age]『지리·지학·지명』 지질 시대의 한 구분. 「世」의 아래; 계략. 모사(謀事). 방법; 《고어》 파. 〔동의어〕ねぎ; 『문어』 그릇. 〔동의어〕うつわ; 물건을 담는 용기; 기. 기량. 인물. 재능; 기; 기관(器官); 기구. 도구; 계기; 시기. 기회; 〈「飛行機」의 준말〉 비행기; (불교에서) 기. 기근(機根). 〔동의어〕気根; 기계; 비행기; 비행기를 세는 말. 대; 『문어』 《用言·助動詞의 連用形에 붙음》; 과거에 직접 체험한 일을 회상하는 말. …었다. …였다. …고 있었다; (경험과 관계없이 널리) 과거의 사실을 나타냄. …었다. …였다; 현재 또는 완료의 뜻을 나타냄. …하고 있다. 〔참고〕 終止形 「き」는 カ変動詞에 붙지 않음. カ変을 받는 경우는 「きし」 「きしか」와 「こし」 「こしか」의 두 꼴이 있음. 고대에는 未然形 「せ」가 있었다고 생각되는데, 助詞 「ば」가 붙어 가정의 뜻을 나타냄
合図
신호. 〔동의어〕サイン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鐘
⇒ やきがね; 금속. 특히, 금·은·철·구리 등; 돈. 금전. 화폐. 재산. 〔동의어〕ぜに·おかね; 직선. 직각; 꽹과리. 징; 철장. 쇠를 물 또는 초에 담가 산화시켜서 얻은 암갈색의 액체. ((주로 옛날에 이를 검게 물들이는 데 썼음)) 〔동의어〕おはぐろ; 종; 종소리. 〔참고〕 「一口, …」또는 「一口, …」로 셈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始まる
(새로운 일이) 시작되다. 〔반의어〕 終わる; 평소의 버릇이 나오기 시작하다; 〈「~·らない」의 꼴로〉 소용없다. 헛일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新春
신춘; 초봄. 〔동의어〕初春; 새해. 신년
競り
『식물·식물학』 미나리; (극장에서) 무대 바닥의 일부를 뚫어 배우·대도구를 지하실에서 밀어올리거나, 또는 끌어내리거나 하는 장치; 경쟁. 경합; 경매(競賣); 「せり市」의 준말; 행상. 〔참고〕 4.는 흔히 「糶」로 씀; 『문어』 《「為」의 未然形 「せ」+完了의 助動詞 「り」》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말. …했습니다. …했다
恒例
『문어』 항려. 부부. 배필. ((「つれあい·夫婦」의 예스러운 말)); 죽은 이의 영혼과 산 사람이 서로 교신(交信)함.; 호례. 좋은 예. 〔동의어〕適例.; 항례. 하기로 정해져 있는 의식이나 행사. 〔동의어〕定例.; 역대 천황의 혼령.; 고령. 〔동의어〕老齢.
威勢の良い声が飛び交うなか、今年、最高値を付けたのは青森県大間産の276キロの本マグロで、1億9320万円で競り落とされました。
億
〈「やね」의 예스러운 말〉 지붕; 건물. 집; 속. 깊숙한 안쪽; 겉에 드러나지 않는 속. 남에게 알리지 않는 것; 입구에서 깊숙이 들어간, 가족이 거처하는 곳. 집 안. 안방; 《고어》 귀인의 부인; 〈「~様」 「~さん」의 꼴로〉 남의 부인의 높임말; 끝. 최후; 심오(深奧)함; 오의(奧義); 『지리·지학·지명』 ⇒ 奥州; (변하여) 엄청나게 많은 수; 보류하다. 그만두다; 빼놓다. 제외하다; 『문어』 (서리·이슬 등이) 내리다. 맺히다. 또는 (먼지 등이) 물건 위에 쌓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물건을) 어떤 장소에 놓다. 두다. (사람을) 어떤 장소에 앉히다; 두다. 설치하다; 남겨 놓다. 내버리다; 맡기다. 전당잡히다; 蒔絵·금박 등을 입히다; 사람을 두다. 자기 집에서 살게 하다; (시간·거리 등의) 간격을 두다. 사이를 두다[떼다]; 마음에 두다. 유의하다; 제쳐놓다. 제외하다. 별도로 하다; 그만두다. 집어치우다. 중단하다. 〔참고〕 「措く」 「擱く」로도 씀; 〈「そろばんを~」의 꼴로〉 주판을 놓다. 셈하다; 〈「重きを~」의 꼴로〉 중시하다. 중요시하다; 〈否定語가 따름〉 눈감아 주다. 묵인하다. 【가능동사】 お·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의 꼴로》; …하여 두다; 미리 준비해 두다; (우선) …해놓고 보다. 〔참고〕 구어체에서는 「て~[で~]」가 「とく[どく]」로 될 때가 있음.【문어 4단 활용 동사】; 그만두다. 중지하다
円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付ける
붙이다; 접촉시키다. 접합시키다. 대다. 〔동의어〕くっつける; 부착시키다. 달다; 바르다. 묻히다. 칠하다; 표를 하다. 자국을 남기다[내다]; (색이나 향기 등을) 첨가하다. 내다; 기입하다. 쓰다; 착용하다. 입다. 신다. 〔참고〕 의복·장신구 등의 경우에는 「着ける」로 씀; (連歌·俳諧에서) 앞의 구에 연결되는 구를 짓다; 딸리다; 곁들이다. 덧붙이다; 뒤쫓다. 미행하다; 주목하다. 조심하다; 한패로 만들다; 북돋우다. 첨가시키다; (불을) 붙이다. 켜다. 점화하다. 〔참고〕 「点ける」로도 씀; 명명(命名)하다; 취하다; 매기다; 어떤 조건을 달다; 마무르다. 결말짓다; 술을 알맞게 데우다; 그릇 등에 담다; 설치하다. 마련하다. 내다; 익히다. 어떤 성질이나 능력이 갖추어지도록 하다; (편지를) 보내다; 싣다; 할당하다. 배역하다; (가까이) 대다; 〈「…に~·け(て)」의 꼴로〉 …에 관련하여[관련시켜]; 판단하다. 짐작하다; 구분[구별]을 짓다. 차이를 내다; 버릇을 들이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하다. …해 버릇하다; 동작이 격렬함을 나타냄.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담그다; 잠그다. 적시다. 〔동의어〕浸す; (채소 등으로) 절임을 만들다. 〔참고〕 「漬ける」로 씀.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자리·지위 등에) 앉히다. 〔참고〕 즉위(卽位)의 경우는 「即ける」로 씀; 종사시키다; 지도를 받게 하다. 【문어형】 つ·く {하2단 활용}
良い
『문어』; 말함. 말; 〈「…の~」의 꼴로〉 …에 대한 표현. …이라는 뜻[의미]. 까닭; 《고어》 밥. 〔동의어〕飯·御飯; 예예. ((승낙의 대답)) 〔동의어〕はい; 『문어』 고분고분 따름. {문어·タリ 활용}; 《「良い」 보다 부드러운 표현. 보통은 終止形·連体形으로만 씀》; 좋다; (반어적으로) ‘나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의의함. 헤어지기가 서운함. 연모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이연(怡然). 기뻐하고 즐거워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쉬움. 용이함. {문어·タリ 활용}
落とす
(위에서 아래로) 떨어뜨리다. 낙하시키다; (달려 있는 것을) 떨다; (실수하여) 놓치다; 내리다. 닫다; 흘리다. 쏟아지게 하다; 깨어 넣다; (빛을) 비추다; (시선 등을) 그쪽으로 보내다[돌리다]. (고개 등을) 떨어뜨리다; 물을 흘러들게 하다; 제거하다. 벗기다. 씻다. 밀다. 깎다; (씌운 귀신을) 떼다. 물리치다; 잃다; (깜빡하고) 빠뜨리다. 빼먹다; 물건 등을 (깜빡하고) 잃다. 분실하다. 잃어버리다; 제외[제거]하다. 빼다. 없애다; 낙방시키다. 낙제시키다; 몰래 달아나게 하다. 도피시키다; 정도가 낮아지게 하다. 낮추다. 저하시키다; 전락시키다. 영락하게 하다; 나쁘게 말하다. 얕보다. 희롱하다; 공격해서 빼앗다. 함락시키다; (상대를) 복종시키다. 설득하다; (유도에서) 기절시키다. 까무러뜨리다; (동물을) 잡다. 죽이다. 도살하다; (落語 등에서) 우스갯소리로 이야기의 끝을 마무르다; 기가 죽다. 실망하다; (나쁜 상태에) 빠뜨리다. 뒤집어씌우다; (경매에서) 낙찰하다; 처리하다. 결제하다; (돈을) 쓰다. 뿌리다; (지위 등을) 낮추다. 강등시키다; 자백시키다. 불게 하다; (아이를) 낳다. 또는 낙태하다. 【가능동사】 おと·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声
거름. 비료. 분뇨(糞尿). 〔동의어〕肥やし·下肥; 목소리. 소리; 물건이 진동해서 나는 소리. 〔동의어〕音·響き; 말. 생각. 의견; 계절이나 시기 등이 다가오는 낌새. 낌새
今年
올해. 금년. 〔동의어〕こんねん·本年
万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最
실; (비유적으로) 사물을 잇는 것; 실 모양의 것. 줄; 낚싯줄. 〔동의어〕釣り糸; 현악기의 현(弦). (변하여) 거문고·三味線 등; 의도; 《고어》; 매우. 지극히. 자못; 정말
飛び交う
이리저리 뒤섞여 날다. 어지럽게 날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産
‘갓 낳은 그대로의’의 뜻; ‘출산의’ ‘분만의’의 뜻; 숫됨. 세파에 닳지 않음. 순진함; 남녀 관계에 경험이 없음. 숫총각. 숫처녀. {문어·ナリ 활용 }
高値
『음악』 고저 두 가지 음의 三味線 합주에서, 고음 쪽; 값이 비쌈. 비싼 값. 고가; 『경제』 주식 거래에서, 기준 시세보다 높은 값. 1.2. 〔반의어〕 安値; 『문어』 고령. 높은 산[봉우리]
競り
『식물·식물학』 미나리; (극장에서) 무대 바닥의 일부를 뚫어 배우·대도구를 지하실에서 밀어올리거나, 또는 끌어내리거나 하는 장치; 경쟁. 경합; 경매(競賣); 「せり市」의 준말; 행상. 〔참고〕 4.는 흔히 「糶」로 씀; 『문어』 《「為」의 未然形 「せ」+完了의 助動詞 「り」》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말. …했습니다. …했다
威勢
이서. 〔반의어〕 以東; 의성; 『문어』 위정; 위세; 원기. 활기. 기운. 기세; 이성. 타성(他姓). 〔반의어〕 同姓; 이성. 〔반의어〕 同性; 『문어』 유제. 남아 있는 옛 제도; 『의학』 유정
1キロ70万円で、過去2番目の値となりました。
値
값. 가격. 대금. 〔동의어〕ね·値段; 가치. 값어치. 〔동의어〕値打ち; 『수학』 수치(數値). 수량. 값. 〔참고〕 3.은 「値」로 씀; 《속어》 《「あたし」의 변한말》 저. 나. 〔동의어〕わたし. 〔참고〕 흔히 여자 아이가 씀
円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過去
『러시아어』 수부. 뱃사람. 뱃사공. ((「船乗り」의 예스러운 말)); 과거. 〔반의어〕 現在·未来; 옛날. 지난날; 『불교』 전세(前世). 전생; 『언어학』 시제(時制)의 하나. ((과거의 동작·상태를 나타냄)); 『러시아어』 사슴의 새끼. 또는 사슴. 〔동의어〕かのこ
万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築地から豊洲に移転して初めて行われた去年の初競りでは、青森県大間産の本マグロが史上最高の3億3360万円で競り落とされました。
億
〈「やね」의 예스러운 말〉 지붕; 건물. 집; 속. 깊숙한 안쪽; 겉에 드러나지 않는 속. 남에게 알리지 않는 것; 입구에서 깊숙이 들어간, 가족이 거처하는 곳. 집 안. 안방; 《고어》 귀인의 부인; 〈「~様」 「~さん」의 꼴로〉 남의 부인의 높임말; 끝. 최후; 심오(深奧)함; 오의(奧義); 『지리·지학·지명』 ⇒ 奥州; (변하여) 엄청나게 많은 수; 보류하다. 그만두다; 빼놓다. 제외하다; 『문어』 (서리·이슬 등이) 내리다. 맺히다. 또는 (먼지 등이) 물건 위에 쌓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물건을) 어떤 장소에 놓다. 두다. (사람을) 어떤 장소에 앉히다; 두다. 설치하다; 남겨 놓다. 내버리다; 맡기다. 전당잡히다; 蒔絵·금박 등을 입히다; 사람을 두다. 자기 집에서 살게 하다; (시간·거리 등의) 간격을 두다. 사이를 두다[떼다]; 마음에 두다. 유의하다; 제쳐놓다. 제외하다. 별도로 하다; 그만두다. 집어치우다. 중단하다. 〔참고〕 「措く」 「擱く」로도 씀; 〈「そろばんを~」의 꼴로〉 주판을 놓다. 셈하다; 〈「重きを~」의 꼴로〉 중시하다. 중요시하다; 〈否定語가 따름〉 눈감아 주다. 묵인하다. 【가능동사】 お·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て[で]+~」의 꼴로》; …하여 두다; 미리 준비해 두다; (우선) …해놓고 보다. 〔참고〕 구어체에서는 「て~[で~]」가 「とく[どく]」로 될 때가 있음.【문어 4단 활용 동사】; 그만두다. 중지하다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円
염; 『화학』 불꽃. 〔참고〕 「焰」으로도 씀; 『의학』 염증; 원; 사람이 들어가 관상하거나 즐기는 정원이나 장소; (아동을 위한) 보호 및 교육 시설; 밭. 〔참고〕 1.~3.은 「苑」으로도 씀; 원. 동그라미; 『수학』 원; 일본의 화폐 단위. 엔. ((銭의 100배)); 『문어』 원. 원죄(寃罪). 억울한 죄. 〔동의어〕冤罪·ぬれぎぬ; 『문어』 연회. 잔치. 주연(酒宴). 〔동의어〕うたげ; 『화학』 염. 산(酸)과 염기(塩基)의 중화 작용으로 생기는 이온 화합물; 연; 『불교』 결과를 낳게 하는 간접적 원인·조건; 운명. 인연. 〔동의어〕めぐり合わせ; (부부·육친 간의) 인연. 연분; 계기. 기회; (일본 건축에서) 마루. 툇마루. 〔동의어〕縁側·ぬれ縁; 『문어』; 성적(性的) 감각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이 있음.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県
《고어》; (大和 시대의) 일본 황실의 직할 영지; 시골. 지방. 〔동의어〕地方·いなか
最高
재고; 『인쇄』 재교. 두 번째 교정. 또는 그 교정쇄; 다시 구성함; 재흥. 다시 일어남. 다시 일으킴. 부흥; 『광물』 쇄광. 광석을 부숨; 채광. 광채. 〔동의어〕光彩; 채광; 채광. 광석을 캠; 최고. 〔반의어〕 最低
移転
이전; 장소·주소를 옮김. 〔참고〕 개인의 경우는 보통 「転居」; 권리 이양
落とす
(위에서 아래로) 떨어뜨리다. 낙하시키다; (달려 있는 것을) 떨다; (실수하여) 놓치다; 내리다. 닫다; 흘리다. 쏟아지게 하다; 깨어 넣다; (빛을) 비추다; (시선 등을) 그쪽으로 보내다[돌리다]. (고개 등을) 떨어뜨리다; 물을 흘러들게 하다; 제거하다. 벗기다. 씻다. 밀다. 깎다; (씌운 귀신을) 떼다. 물리치다; 잃다; (깜빡하고) 빠뜨리다. 빼먹다; 물건 등을 (깜빡하고) 잃다. 분실하다. 잃어버리다; 제외[제거]하다. 빼다. 없애다; 낙방시키다. 낙제시키다; 몰래 달아나게 하다. 도피시키다; 정도가 낮아지게 하다. 낮추다. 저하시키다; 전락시키다. 영락하게 하다; 나쁘게 말하다. 얕보다. 희롱하다; 공격해서 빼앗다. 함락시키다; (상대를) 복종시키다. 설득하다; (유도에서) 기절시키다. 까무러뜨리다; (동물을) 잡다. 죽이다. 도살하다; (落語 등에서) 우스갯소리로 이야기의 끝을 마무르다; 기가 죽다. 실망하다; (나쁜 상태에) 빠뜨리다. 뒤집어씌우다; (경매에서) 낙찰하다; 처리하다. 결제하다; (돈을) 쓰다. 뿌리다; (지위 등을) 낮추다. 강등시키다; 자백시키다. 불게 하다; (아이를) 낳다. 또는 낙태하다. 【가능동사】 おと·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去年
거년. 작년. 지난해.〔동의어〕昨年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万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本
투매(投賣)하는 책이나 잡지. 덤핑 책[잡지]
初
《名詞에 붙어》 ‘초’ ‘첫’ ‘처음’의 뜻을 나타냄; ⇒ ゆうい; 『불교』; 유위. 인연으로 말미암아 생긴 이 세상의 모든 물건 또는 현상. 〔반의어〕 無為; 이 세상에서는 모든 것이 변하기 쉬워 믿을 수 없음. 〔참고〕 「有為」를 「ゆうい」로 읽으면 ‘능력이 있어 쓸모가 있음’의 뜻; 우의; 새의 깃털 전체; 우의. 비옷. 〔동의어〕雨着; 우의. 비가 올 듯한 낌새. 〔동의어〕雨模様; 『문어』 귀여운. 사랑스러운. 기특한. 〔참고〕 손아랫사람을 칭찬할 때 쓰는 말; 『문어』; 싫다. 번거롭다; 무정하다. 박정하다. う·し {ク 활용}
史上
시승; (잡지의) 기사면(記事面). 지면(誌面); 『문어』 치성. (불길처럼) 몹시 성함. 〔동의어〕しせい. {문어·ナリ 활용 }; 사상. 역사상; 『문어』 사승. 사기(史記); 『문어』 시정. 시중. 〔동의어〕市中; 시장. 〔동의어〕マーケット; 『경제』 수요와 공급 사이의 교환 관계. 매매 당사자간의 거래 관계의 총체; 물건을 팔고 사는 곳. 〔동의어〕市場; 지상. 최상; 『문어』; 지정. 지극한 충정; 지극히 자연스러운 인정. 인지상정(人之常情); 사상. 실처럼 가늘고 긴 모양; 사정; 이기적인 생각. 사심(私心); (특히 신문의) 지상. 〔참고〕 잡지의 경우는 「誌上」; 시정
産
‘갓 낳은 그대로의’의 뜻; ‘출산의’ ‘분만의’의 뜻; 숫됨. 세파에 닳지 않음. 순진함; 남녀 관계에 경험이 없음. 숫총각. 숫처녀. {문어·ナリ 활용 }
競り
『식물·식물학』 미나리; (극장에서) 무대 바닥의 일부를 뚫어 배우·대도구를 지하실에서 밀어올리거나, 또는 끌어내리거나 하는 장치; 경쟁. 경합; 경매(競賣); 「せり市」의 준말; 행상. 〔참고〕 4.는 흔히 「糶」로 씀; 『문어』 《「為」의 未然形 「せ」+完了의 助動詞 「り」》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말. …했습니다. …했다
築地
『지리·지학·지명』 東京의 중앙구의 지명. ((江戸 전기에 매립하였으며, 어시장으로 유명함)) 〔참고〕 「築地」는 딴말임.
新種発見!“黄金色のクモヒトデ” 相模湾の海底で(2021年5月3日)
桜の花が舞い落ちるとき
石川・輪島市の日本航空学園 遠く離れた山梨で卒業式(2024年3月3日)
ねえ
永遠
来年開催のパリ五輪 聖火はエッフェル塔で点火か(2023年5月22日)
キバナコスモスまつり 夏のゲレンデが色鮮やかに 富山・南砺市(2023年9月10日)
大人に近づくシャンシャン 中国返還も今年のうちに(20/01/07)
西友が24時間営業を継続 SNSで買い物分散呼びかけ(20/04/11)
東海道新幹線のストップ、約97000人に影響 27本運休し遅れは最大3時間20分(2024年7月6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Easyjapanese.net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