午前0時をもって皇太子さまが新しい天皇に即位し、天皇陛下は上皇となりました。
午前0時をもって皇太子さまが新しい天皇に即位し、天皇陛下は上皇となりました。
「平成」が幕を閉じ、「令和」の時代が始まりました。
昨日、皇居の宮殿では、憲政史上、初めての退位の儀式
「退位礼正殿の儀」が行われました。
天皇陛下は「新しい令和の時代が平和で実り多くあることを皇后とともに心から願い、
ここに我が国と世界の人々の安寧と幸せを祈ります」と最後のお言葉を述べられました。
そして、午前0時、日付が変わると同時に皇位を退いて上皇となり、
皇太子さまが新しい天皇に即位されました。
これに伴う美智子さまは上皇后となり、
雅子さまは皇后となりました。
また、秋篠宮さまは皇嗣に、
紀子さまは皇嗣妃となりました。
午前0時をもって皇太子さまが新しい天皇に即位し、天皇陛下は上皇となりました。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天皇
『문어』 ⇒ すめろぎ
新しい
새롭다. 〔반의어〕 古い; (됨됨이가) 새롭다. 새것이다; (경향이) 낡지 않다. 혁신적이다. 현대적이다; 생생하다. 싱싱하다. 신선하다; 바뀐 지 얼마 되지 않다. 오래지 않다. あたら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あたらし·げ 【형용동사】 あたらし·さ 【명사】 あたらし·み 【명사】 【문어형】 あたら·し {シク 활용}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即位
즉위. 〔반의어〕 退位; 밥알을 뭉개고 짓이겨 만든 차진 풀
天皇陛下
천황 폐하
皇太子
황태자. 동궁. 〔동의어〕日嗣のみこ
上皇
조항; 승강. 타고 내림; 정교; 친밀한 교제; (남녀의) 육체 관계; 상황. 양위(讓位)한 천황의 칭호. 〔동의어〕太上天皇
「平成」が幕を閉じ、「令和」の時代が始まりました。
時代
차대. 다음 대(代). 다음 시대; 지대. 〔동의어〕ちだい; 땅값. 지가(地價); 『문어』 자대. 스스로 잘난 체함; 『문어』 사대. 약자가 강자를 섬김; 시대; 시절. 시기; 당시. 당대; 예스러움. 구식. ((좋은 뜻으로도, 야유 섞인 뜻으로도 씀)); 「時代物」의 준말
閉じる
(열린 것이) 닫히다. 〔반의어〕 開く; 끝나다. 파하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열려 있는 것을) 닫다. 〔반의어〕 開ける; (계속하던 일을) 끝내다. 마치다. 그만두다. 〔반의어〕 開く.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철하다; 요리에서 달걀 등을 풀어서 재료를 덮다. 【문어형】 と·づ {상2단 활용}
幕
막. 칸막이. 휘장; 막. 연극의 일단락. ((막이 올랐다가 내리기까지)); 장면. 때. 경우; 끝. 종결; (씨름에서) 상위권 서열에 든 씨름꾼. ((「前頭」 이상)) 〔동의어〕幕内; 연극의 단락을 세는 말. 막; 막; 말다. 감다; 소용돌이꼴을 이루다. 서리다; (나사못·태엽 등을) 틀어 죄다. 감다; 둘러싸다. 싸다. 〔동의어〕とりかこむ; (등산에서) 험한 곳을 피하여 우회하다; 〈「管を~」의 꼴로〉 술이 취하여 횡설수설하다. 【가능동사】 ま·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파종하다. 씨를 뿌리다. 〔동의어〕うめる; (변하여) 원인을 만들다; 금·은 등의 가루를 뿌려 칠기(漆器)에 무늬를 그리다. 〔참고〕 1.은 「播く」로도 씀. 【가능동사】 ま·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뿌리다. 살포하다; (동행자나 미행자를 도중에서) 따돌리다. 【가능동사】 ま·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그 시기를 기다리다
始まる
(새로운 일이) 시작되다. 〔반의어〕 終わる; 평소의 버릇이 나오기 시작하다; 〈「~·らない」의 꼴로〉 소용없다. 헛일이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和
『러시아어』 친근감. 또는 멸시의 뜻을 나타냄. 〔참고〕 「和」로도 씀; 새·토끼를 셀 때 쓰는 말. 마리. 〔참고〕 「一·六·八·十·百」에 붙을 때는 「ぱ」로 됨. 또 「三」에 붙을 때는 「ば」로 됨; (활쏘기에서) 화살을 세는 단위. ((1把는 51대임)) 〔참고〕 「一·六·八·十·百」에 붙을 때는 「ぱ」로 됨. 또 「三」에 붙을 때는 「ば」로 됨; 《고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동의어〕われ; 원형. 고리; 수레바퀴. 차륜. 〔동의어〕車輪; 테. 테두리; 화목; 화해; 『수학』 화. 합. 합계. 〔반의어〕 差; 왜. 일본. ((7세기경까지 한국·중국에서 일본을 일컫던 말)); 의외·놀람 따위를 나타내는 말. 아. 아니. 아이. 아이고. 〔동의어〕わっ;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놀람·영탄·감동을 나타냄; 《여성어》 가벼운 주장·결의·영탄을 나타냄. …요; 〈흔히, 「~よ」 「~ね」의 꼴로〉 어감이 여성다운 부드러운 말씨를 나타냄. …요. 〔참고〕 ㉠본디 係助詞 「は」의 문말 용법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중세 말기 이후부터 「わ」로 고정되었음. ㉡현대 かな 쓰기에서 「これは, これは」 「こんにちは」 「こんばんは」 등 후단(後段)이 생략된 형태의 말은 「は」로 씀
平成
일본의 현재의 연호(年號). ((1989년 1월 8일 개원(改元))); 평정. へい-せ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병제; 폐제. 화폐 제도; 『문어』 폐정. 악정(惡政)
令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昨日、皇居の宮殿では、憲政史上、初めての退位の儀式
儀式
의식. 의전(儀典). 식전
宮殿
휴전. 〔동의어〕電休; 급전. 지급(至急) 전보. 〔동의어〕ウナ電; 신전(神殿); 『역사』 중세에 영주가 地頭·荘官 등에게 나누어 준 논밭. 〔동의어〕給地; 급전. 전력을 공급함
皇居
공허. 관허(官許); 『문어』 항거; 황거. 천황이 거처하는 곳. ((「宮城」의 고친 이름)); 일정한 지점에서 위로 잰 높이; 『문어』 구거. 도랑. 개골창; 『문어』 훙거. 서거. ((황족(皇族)이나 삼품(三品) 이상인 사람의 죽음에 대한 높임말)) 〔동의어〕薨逝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初めて
최초로. 처음으로; 비로소
史上
시승; (잡지의) 기사면(記事面). 지면(誌面); 『문어』 치성. (불길처럼) 몹시 성함. 〔동의어〕しせい. {문어·ナリ 활용 }; 사상. 역사상; 『문어』 사승. 사기(史記); 『문어』 시정. 시중. 〔동의어〕市中; 시장. 〔동의어〕マーケット; 『경제』 수요와 공급 사이의 교환 관계. 매매 당사자간의 거래 관계의 총체; 물건을 팔고 사는 곳. 〔동의어〕市場; 지상. 최상; 『문어』; 지정. 지극한 충정; 지극히 자연스러운 인정. 인지상정(人之常情); 사상. 실처럼 가늘고 긴 모양; 사정; 이기적인 생각. 사심(私心); (특히 신문의) 지상. 〔참고〕 잡지의 경우는 「誌上」; 시정
退位
대위. ((장교 계급)) 〔참고〕 구 해군에서는 「だいい」라고 했음; 대의. 대강의 뜻; 체위; 체격·건강·운동 능력의 정도; 몸의 위치·자세; 퇴위. 〔반의어〕 即位
憲政
현(縣)의 행정; 현(縣)의 정치·문화·경제·인구 등의 종합적인 현황; 견제; 권세. 세권(勢權); 『정치』 헌정. 입헌 정치
「退位礼正殿の儀」が行われました。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礼
《고어》 공경함. 존경함. 예의; 『문어』; 점점. 더욱더. 〔동의어〕いよいよ·ますます; 대단히. 한층 더. 가일층; 가장. 제일; 놀람·감동·탄식을 나타내는 말. 야. 〔동의어〕やあ·ああ. 〔참고〕 길게 「いやあ」라고도 함; 아니. 아니오. 〔동의어〕いいえ;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싫음. 바라지 않음. 좋아하지[하고 싶지] 않음; 불쾌함. い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いや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儀
기. (명사에 붙어) ‘기분’ ‘성미’ ‘기질’의 뜻을 나타냄; 옷; 『문어』 기생. 기녀. 유녀(遊女). 〔동의어〕あそびめ; 『문어』 솜씨. 기예. 〔동의어〕わざ; 거짓. 허위(虛僞). 〔동의어〕いつわり. 〔반의어〕 真; 『논리학』 어떤 명제(命題)가 잘못된 것. 〔참고〕 기호는 「f」로 표시함; 가짜인; 『문어』; 의로움. 옳은 일. 인도(人道); 의미. 의의; 조리. 이유; 혈연 이외의 사람과의 결연 관계; 남남끼리 맺는 혈족 같은 관계; 『문어』 의심. 확실하지 않음. 〔동의어〕うたがい; 의식. 예식; 일. 건(件). 까닭; 〈사람을 나타내는 体言에 붙어〉 …에 관해서는; 모양이 닮은 것. 모형. 기계; 연기(演技); 『문어』 정분. 정의(情誼). 〔동의어〕よしみ; 상의. 의논; 제안. 제의. 안(案)
正殿
세전. 대대로 전해 내려옴. 또는 대대로 전해 줌; 사실에 근거한 올바른 전기; 정전. 궁전의 중심을 이루는 건물; 「紫宸殿」의 딴이름; 《「政策転換」의 준말》 정책 전환; 정전기 방지 (처리)
退位
대위. ((장교 계급)) 〔참고〕 구 해군에서는 「だいい」라고 했음; 대의. 대강의 뜻; 체위; 체격·건강·운동 능력의 정도; 몸의 위치·자세; 퇴위. 〔반의어〕 即位
天皇陛下は「新しい令和の時代が平和で実り多くあることを皇后とともに心から願い、
時代
차대. 다음 대(代). 다음 시대; 지대. 〔동의어〕ちだい; 땅값. 지가(地價); 『문어』 자대. 스스로 잘난 체함; 『문어』 사대. 약자가 강자를 섬김; 시대; 시절. 시기; 당시. 당대; 예스러움. 구식. ((좋은 뜻으로도, 야유 섞인 뜻으로도 씀)); 「時代物」의 준말
願う
원하다. 바라다; 기원하다. 빌다; (관청 등에) 청원(請願)하다; (상점 등에서) 손에게 사게 하다. ((손에 대한 공손한 말)); 돌봐 주기를 부탁하다. 【가능동사】 ねが·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平和
평화. {문어·ナリ 활용 }; 『언어학』 (중국어에서) 백화(白話)의 문체(文體)
新しい
새롭다. 〔반의어〕 古い; (됨됨이가) 새롭다. 새것이다; (경향이) 낡지 않다. 혁신적이다. 현대적이다; 생생하다. 싱싱하다. 신선하다; 바뀐 지 얼마 되지 않다. 오래지 않다. あたら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あたらし·げ 【형용동사】 あたらし·さ 【명사】 あたらし·み 【명사】 【문어형】 あたら·し {シク 활용}
多い
덮개. 씌우개. 피복. 커버; 《고어》 《「大飯」의 변한말》 천황의 수라. 또는 그 음식의 조리; 멀리 있는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때 지르는 소리. 어이. 〔참고〕 「おうい」 「おい」로도 씀; (수량·횟수·물건 등이) 많다. 〔반의어〕 少ない. 〔참고〕 「多い人が来る」라고는 하지 않고 「多くの人が来る(많은 사람이 오다)」로 하며, 또한 「多い本がある」도 「多くの本がある(많은 책이 있다)」라고 함. 【문어형】 おほ·し {ク 활용}
心から
마음으로부터. 진심으로. 진정으로
和
『러시아어』 친근감. 또는 멸시의 뜻을 나타냄. 〔참고〕 「和」로도 씀; 새·토끼를 셀 때 쓰는 말. 마리. 〔참고〕 「一·六·八·十·百」에 붙을 때는 「ぱ」로 됨. 또 「三」에 붙을 때는 「ば」로 됨; (활쏘기에서) 화살을 세는 단위. ((1把는 51대임)) 〔참고〕 「一·六·八·十·百」에 붙을 때는 「ぱ」로 됨. 또 「三」에 붙을 때는 「ば」로 됨; 《고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동의어〕われ; 원형. 고리; 수레바퀴. 차륜. 〔동의어〕車輪; 테. 테두리; 화목; 화해; 『수학』 화. 합. 합계. 〔반의어〕 差; 왜. 일본. ((7세기경까지 한국·중국에서 일본을 일컫던 말)); 의외·놀람 따위를 나타내는 말. 아. 아니. 아이. 아이고. 〔동의어〕わっ;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놀람·영탄·감동을 나타냄; 《여성어》 가벼운 주장·결의·영탄을 나타냄. …요; 〈흔히, 「~よ」 「~ね」의 꼴로〉 어감이 여성다운 부드러운 말씨를 나타냄. …요. 〔참고〕 ㉠본디 係助詞 「は」의 문말 용법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중세 말기 이후부터 「わ」로 고정되었음. ㉡현대 かな 쓰기에서 「これは, これは」 「こんにちは」 「こんばんは」 등 후단(後段)이 생략된 형태의 말은 「は」로 씀
実り
결실. 수확. 성과; 『불교』 ‘불법(佛法)’의 높임말
天皇陛下
천황 폐하
令
량. 기차·전차 등 차량의 수효를 세는 말; 『문어』 끝. 필(畢). 완료. 〔동의어〕終わり; 『역사』 奈良·平安 시대에, 律와 함께 나라의 기본이 된 법전. ((현재의 공무원법·행정법·민법·상법 등에 해당)) 〔참조어〕 りつりょう; 양. 양쪽. 한 쌍이 되는 것의 쌍방; 이. 둘. 〔동의어〕二·二つ; 옛날의 중량의 단위. 냥. ((銖의 24배, 斤의 16분의 1)); 옛날의 화폐의 단위. 냥. ((江戸 시대에는 작은 금화인 小判한 닢. 약 17.8g)); 양; 양호. 좋음. 또는 좋은 것; 4단계의 성적 평가에서, 두 번째;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료; 재료; 대금. 요금. 보수; ⇒ りゅう1.; (목조 건물의) 들보. 〔동의어〕はり; 시원함. 서늘함. 또는 시원한 바람; 수렵. 사냥. 또는 사냥한 것. 〔동의어〕狩り·狩猟; 능. 천황·황태후·태황태후의 무덤. 〔동의어〕みささぎ; 양. 부피; 양. 무게; 양. 수량; 분량; 많고 적음의 정도; 마음의 넓이. 도량(度量). 기량(器量); 능; 『수학』 다면체의 두 면이 접하는 선; 고기잡이. 어로. 또는 어획물; 『문어』 영토. 영지. 영역; 〈藩·국명에 붙어〉 그 藩·국가의 영토임을 나타냄. 령; 大宝令 제도에서, 지방 장관의 관명. ((「大領」와 「少領」가 있음)); 의관(衣冠)·갑옷 등을 세는 단위. 벌; (학생·종업원 등을 위한) 기숙사; 다도(茶道)에서, 다실(茶室)로 만든 작은 건물. 〔동의어〕数寄屋; 「大宝令」에서, 「省」에 딸린 관아. ((「大学」 「陰陽」 「図書 등의 각 「寮」)); 《「~とする」의 꼴로》 납득하다. 이해하다. 양해하다; 영혼. 사람에게 지벌을 내리는 생령(生靈)이나 사령(死靈); (여행이나 행군할 때 가지고 가는) 식량. 양식. 병량(兵糧)
皇后
『문어』 교합. 성교(性交). 교접(交接). 〔동의어〕交媾·媾合; 황후. 〔동의어〕后; 향합. 〔동의어〕香箱; ⇒ きょうごう; 『문어』 구합. 성교. 교접(交接). 〔동의어〕交合; 『불교』 광겁. 매우 긴 세월
ここに我が国と世界の人々の安寧と幸せを祈ります」と最後のお言葉を述べられました。
祈る
빌다; 기도하다. 기원하다; 간절히 바라다. 희망하다. 【가능동사】 いの·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最後
최후. 마지막. 맨 끝. 맨 뒤. 〔반의어〕 最初; 〈「…したら~」 「…たが~」의 꼴로〉 …하면 끝장. 일단 …하기만 하면 그만; 임종. (생의) 최후
世界
지구상의 모든 나라. 만국(萬國); (지구를 중심으로 해서 본) 우주. 〔동의어〕天地; 세상. 인간 사회; 『불교』 중생(衆生)이 살고 있는 곳; 어느 특정한 것의 한정되는 범위
述べる
(개켜서 포개 놓은 것을) 펴다. 펴서 깔다. 〔동의어〕広げる; (손·다리 등을) 뻗치다. 〔동의어〕さしのべる; 길게 늘이다; (시간을) 연장하다. 연기하다. 【문어형】 の·ぶ {하2단 활용}; 말하다. 진술하다. 〔동의어〕言う; 기술[서술]하다. 【문어형】 の·ぶ {하2단 활용}
幸せ
행복. 행운. {문어·ナリ 활용 }; 운. 운수. 운명. 〔참고〕 1.은 「倖せ」 「幸福」로도 씀
言葉
말. 언어; 단어. 문장; 말투. 말씨; (소설·희곡 등에서) 회화 부분
安寧
『문어』 안녕. {문어·ナリ 활용 }
我が国
우리 나라
そして、午前0時、日付が変わると同時に皇位を退いて上皇となり、
変わる
대신하다. 대리하다. 〔참고〕 보통은 「代わる」를 씀; 바뀌다. 교체되다. 〔참고〕 보통 「換わる」 「替わる」를 씀.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변하다. 바뀌다; 〈「~·った」 「~·っている」의 꼴로〉 색다르다. 별나다. 별스럽다. 이상하다. 【가능동사】 か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日付
일부(日附). 날짜
そして
⇒ そうして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退く
물러나다[물러서다]; 뒤쪽으로 가다. 물러가다. 〔반의어〕 進む; 사양하다. 양보하다; 어른·상사 등 신분이 높은 사람 앞에서 물러나다. 〔동의어〕引き下がる; 「しりぞける」의 문어
午前
오전. 〔반의어〕 午後; 어전. 임금 등 귀인의 자리의 앞 또는 면전(面前)의 높임말. 〔동의어〕みまえ; 귀인의 높임말; 《고어》 귀인의 아내의 높임말; 지체 높은 사람, 또는 그 부인의 이름에 붙이는 높임말. 님; 〈「食事」 「飯」의 공손한 말〉 진지
上皇
조항; 승강. 타고 내림; 정교; 친밀한 교제; (남녀의) 육체 관계; 상황. 양위(讓位)한 천황의 칭호. 〔동의어〕太上天皇
皇位
호의. 호감. 〔반의어〕 悪意; 행위; (어떤 목적을 지닌) 개인적인 행동; 『법률』 권리의 득실·변경 등의 원인이 되는 의사적(意思的) 행위; 공위. 공격하여 포위함; 《고어》 옛날, 황실 내전(內殿)에서 「女御」 다음가는 여관(女官); 후의. 〔참고〕 「好意」보다 상대를 생각하는 마음이 한층 깊음; 『문어』 때묻은 옷; 황위. 천황의 자리; 천황의 위광(威光); 교의. 학교의. 〔동의어〕学校医; 교위; 律令 제도에서, 군대에 두었던 벼슬 이름; 문장이 같고 다름을 비교하여 교정하는 일; 고위. 높은 지위. 또는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 〔반의어〕 低位; 『천문』 황위. 〔동의어〕おうい. 황도(黃道)에서 천체에 이르는 각거리(角距離). 〔반의어〕 黄経
皇太子さまが新しい天皇に即位されました。
天皇
『문어』 ⇒ すめろぎ
新しい
새롭다. 〔반의어〕 古い; (됨됨이가) 새롭다. 새것이다; (경향이) 낡지 않다. 혁신적이다. 현대적이다; 생생하다. 싱싱하다. 신선하다; 바뀐 지 얼마 되지 않다. 오래지 않다. あたら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あたらし·げ 【형용동사】 あたらし·さ 【명사】 あたらし·み 【명사】 【문어형】 あたら·し {シク 활용}
即位
즉위. 〔반의어〕 退位; 밥알을 뭉개고 짓이겨 만든 차진 풀
皇太子
황태자. 동궁. 〔동의어〕日嗣のみこ
これに伴う美智子さまは上皇后となり、
上
(지위·연령·위치·능력 등의) 위. 높음; 높은 곳. 위; 표면. 겉면; 겉모양. 외관(外觀); 《고어》 귀인. 어르신. 높은 분. ((천황·将軍·大名 등)); 순서의 앞 부분. 1.~6. 〔반의어〕 下; …에 관계 있는 일; 〈「…~(に)」의 꼴로〉 …에 더하여. 게다가; 〈「…~(で)」의 꼴로〉 …하고 나서. …한 후; 〈「…~は」의 꼴로〉 …한 이상. …한 바에는; 손윗사람을 이를 때 곁들이는 말. …님; 굶주림. 기아; 통발. ((민물고기를 잡는 도구의 하나)) 〔동의어〕うけ
伴う
따라가다. 데리고 가다. 동반하다; 걸맞다. 어울리다; 따르다. 수반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皇后
『문어』 교합. 성교(性交). 교접(交接). 〔동의어〕交媾·媾合; 황후. 〔동의어〕后; 향합. 〔동의어〕香箱; ⇒ きょうごう; 『문어』 구합. 성교. 교접(交接). 〔동의어〕交合; 『불교』 광겁. 매우 긴 세월
雅子さまは皇后となりました。
皇后
『문어』 교합. 성교(性交). 교접(交接). 〔동의어〕交媾·媾合; 황후. 〔동의어〕后; 향합. 〔동의어〕香箱; ⇒ きょうごう; 『문어』 구합. 성교. 교접(交接). 〔동의어〕交合; 『불교』 광겁. 매우 긴 세월
また、秋篠宮さまは皇嗣に、
皇嗣
송아지; 「口頭試問」의 준말; 『문어』 공자. 귀족의 아들. 귀공자. 〔동의어〕きんだち; (중국의) 회사. 〔동의어〕コンス·クンス; 공사; 『정치』; 특히 「特命全権公使」의 준말; 『물리』 광자. 광량자(光量子). 빛의 입자; 행사. (권리·권력 등을) 실제로 사용함; 『문어』 효자; 『문어』 경시.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로 시작함. 새로 시작됨; 『문어』 후지. 두터운 정. 친절한 마음; 후지. 짐승의 뒷다리. 〔반의어〕前肢; 『문어』 후사. 〔동의어〕跡継ぎ; 『문어』 황사. 천황이 지휘하는 군대. 〔동의어〕皇軍; 『문어』 황사. 황저(皇儲). 천황의 지위를 이을 사람; 홍자; 붉은빛과 보라빛; (변하여) 여러 가지 아름다운 빛깔; 향전(香奠). 부의(賻儀). 〔동의어〕香典; 격자; 가는 나무나 대로 바둑판의 선 모양으로 짠 문·미닫이·창 등; 「格子戸」의 준말; 「格子縞」의 준말; 『문어』 공사. 조공(朝貢) 사절; 고사; 숨은 군자. 은사(隱士); 《구(舊)제도의 「高等師範学校」의 준말》 고등 사범 학교. 고사; 『문어』 호치. 희고 고운 이; ⇒ こうさい; 『문어』 효시; 우는살. 〔동의어〕かぶら矢; 사물의 시초; 강사; 강연·강의를 하는 사람; (대학·고등 학교 등에서) 정규 교원의 보조로서 촉탁을 받고 수업하는 교사. 〔참고〕 「こうじ」는 딴말임; 《人》 공자. ((bc 552~479))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사성(四聖)의 한 사람; 고시
紀子さまは皇嗣妃となりました。
妃
왕족의 처. 〔참고〕 「后」는 정실, 「妃」는 측실; 의욕. 기세. 〔동의어〕気構え·気勢
皇嗣
송아지; 「口頭試問」의 준말; 『문어』 공자. 귀족의 아들. 귀공자. 〔동의어〕きんだち; (중국의) 회사. 〔동의어〕コンス·クンス; 공사; 『정치』; 특히 「特命全権公使」의 준말; 『물리』 광자. 광량자(光量子). 빛의 입자; 행사. (권리·권력 등을) 실제로 사용함; 『문어』 효자; 『문어』 경시. 낡은 것을 버리고 새로 시작함. 새로 시작됨; 『문어』 후지. 두터운 정. 친절한 마음; 후지. 짐승의 뒷다리. 〔반의어〕前肢; 『문어』 후사. 〔동의어〕跡継ぎ; 『문어』 황사. 천황이 지휘하는 군대. 〔동의어〕皇軍; 『문어』 황사. 황저(皇儲). 천황의 지위를 이을 사람; 홍자; 붉은빛과 보라빛; (변하여) 여러 가지 아름다운 빛깔; 향전(香奠). 부의(賻儀). 〔동의어〕香典; 격자; 가는 나무나 대로 바둑판의 선 모양으로 짠 문·미닫이·창 등; 「格子戸」의 준말; 「格子縞」의 준말; 『문어』 공사. 조공(朝貢) 사절; 고사; 숨은 군자. 은사(隱士); 《구(舊)제도의 「高等師範学校」의 준말》 고등 사범 학교. 고사; 『문어』 호치. 희고 고운 이; ⇒ こうさい; 『문어』 효시; 우는살. 〔동의어〕かぶら矢; 사물의 시초; 강사; 강연·강의를 하는 사람; (대학·고등 학교 등에서) 정규 교원의 보조로서 촉탁을 받고 수업하는 교사. 〔참고〕 「こうじ」는 딴말임; 《人》 공자. ((bc 552~479)) 중국 춘추 시대의 사상가. 사성(四聖)의 한 사람; 고시
あなたへ贈る歌
「対話継続を」ロシア外相 プーチン大統領に提言(2022年2月15日)
石原さとみ、髪をかき乱しガルボをかみしめる CM「ガルボプレミアム 深みカカオ 最高傑作」篇
The Little Prince - Trailer
The Little Prince - Traまた君と
ライラック
“コロナ・ショック”で27万企業が廃業の危機(20/08/03)
Japanese Children's Song - Donguri Korokoro - どんぐりころころ
ふたりごと
【報ステ】名前記入例『青森肝炎』肝炎患者への書類
Để lại thông tin của bạn nhé!
Bạn cần nâng cấp lên tài khoản cao cấp để sử dụng tính năng này
Bạn có chắc chắn muốn kiểm tra lại không?
Bạn hãy nâng cấp tài khoản để đọc báo không giới hạn số lần
Todaii Japanese là website học và đọc báo tiếng Nhật tích hợp các tính năng khác như từ điển, luyện tập, thi thử,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ường Chinh, Khương Mai, Thanh Xuân, Hà Nộ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