福島第一原発1号機 格納容器内部に塊状の堆積物 燃料デブリか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 격납용기 내부에 괴상한 퇴적물 연료더미인가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 격납용기 내부에 괴상한 퇴적물 연료더미인가
8日から行われている福島第一原子力発電所1号機のロボットを使った調査で、水がたまった格納容器の内部に塊状の堆積物があることが映像などで確認されました

8일부터 로봇을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조사에서 물이 고인 격납용기의 내부에 괴상한 덩어리가 쌓여 있는 것이 영상 등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8일부터 로봇을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1호기의 조사에서 물이 고인 격납용기의 내부에 괴상한 덩어리가 쌓여 있는 것이 영상 등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東京電力は、この堆積物が溶けた核燃料と構造物が混じった「燃料デブリ」の可能性もあるとみて、調査を続けることにしています

도쿄전력은 이 퇴적물이 용해된 핵연료와 구조물이 섞인 ’연료더미’일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보고 조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도쿄전력은 이 퇴적물이 용해된 핵연료와 구조물이 섞인 ’연료더미’일 가능성 또한 있는 것으로 보고 조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東京電力は8日から福島第一原発1号機でロボットを使った調査を始め、10日、格納容器内部で撮影した映像や写真を新たに公開しました

도쿄전력은 8일부터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에서 로봇을 사용한 조사를 시작하여 10일 격납용기 내부에서 촬영한 영상과 사진을 새로 공개했습니다.

도쿄전력은 8일부터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에서 로봇을 사용한 조사를 시작하여 10일 격납용기 내부에서 촬영한 영상과 사진을 새로 공개했습니다.
映像では福島第一原発1号機の原子炉を支える「ペデスタル」という構造物の開口部の内側に、塊状の堆積物が写っているのが確認できます

영상에서는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의 원자로를 지탱하는 ’페데스탈(베어링 스탠드)’이라는 구조물의 개구 부분 안쪽에 괴상한 퇴적물이 찍힌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영상에서는 후쿠시마 제1원전 1호기의 원자로를 지탱하는 ’페데스탈(베어링 스탠드)’이라는 구조물의 개구 부분 안쪽에 괴상한 퇴적물이 찍힌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この堆積物について東京電力は「原子炉の真下で見つかったことから『燃料デブリ』の可能性もある」と説明しました

이 퇴적물에 대하여 도쿄전력은 ”원자로 바로 밑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연료더미’일 가능성도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퇴적물에 대하여 도쿄전력은 ”원자로 바로 밑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연료더미’일 가능성도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また、ロボットに内蔵された放射線を測る機器のデータも公開され、ロボットが1号機の格納容器を通過した際の放射線量は、1時間当たり1シーベルトから2シーベルトだったということです

또한, 로봇에 내장된 방사선 측정 기기의 데이터도 공개되었으며, 로봇이 1호기의 격납용기를 통과했을 때의 방사선량은 1시간당 1시버트에서 2시버트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로봇에 내장된 방사선 측정 기기의 데이터도 공개되었으며, 로봇이 1호기의 격납용기를 통과했을 때의 방사선량은 1시간당 1시버트에서 2시버트로 나타났습니다.
東京電力は今後、別のロボットを投入して堆積物の厚みや分布状況を超音波で測定するほか、サンプルとして少量を採取し詳しく分析する計画です

도쿄전력은 이후 다른 로봇을 투입하여 퇴적물의 두께와 분포 상태를 초음파로 측정하는 한편, 샘플로 소량을 채취하여 상세히 분석할 계획입니다.

도쿄전력은 이후 다른 로봇을 투입하여 퇴적물의 두께와 분포 상태를 초음파로 측정하는 한편, 샘플로 소량을 채취하여 상세히 분석할 계획입니다.
燃料デブリの取り出しは、福島第一原発の廃炉で最大の難関とされ、2号機と3号機では燃料デブリとみられる堆積物が確認された一方、1号機では確認されておらず、今回の調査で手がかりが得られるか、注目されます

연료더미를 들어내는 것은 후쿠시마 제1원전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최대 난관으로 여겨지며, 2호기와 3호기에서는 퇴적물이 연료더미로 확인된 반면, 1호기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이번 조사에서 단서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연료더미를 들어내는 것은 후쿠시마 제1원전을 폐쇄하는 과정에서 최대 난관으로 여겨지며, 2호기와 3호기에서는 퇴적물이 연료더미로 확인된 반면, 1호기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이번 조사에서 단서를 얻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