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部科学省が来年の高校入試で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影響を考慮するよう求める通知を全国の教育委員会などに出したことが分かりました。
Notice of the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to the Board of Education Request for consideration about impact on the entrance exam (20/05/14)
436 view文部科学省が来年の高校入試で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影響を考慮するよう求める通知を全国の教育委員会などに出したことが分かりました。
文科省が出した通知では、来年の高校入試では今年度に学ぶ内容からの出題を減らしたり、
学力検査以外にも面接や作文で選考を行うことなど具体的な例を示して工夫を求めています。
地域ごとに休校期間が違うなど学習の進み具合にばらつきが出ると予想されるためです。
文科省は昨日午後6時ごろ、全国の教育委員会などに通知しました。
小学校や中学校の入試でも同様の工夫をするよう求めています。
文部科学省が来年の高校入試で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影響を考慮するよう求める通知を全国の教育委員会などに出したことが分かりました。
科学
『문어』; 정도가 낮은 학문; 『문어』 하악. 아래턱. 〔동의어〕したあご. 〔반의어〕 上顎; 『화학』 화학. 〔참고〕 「科学」와 구별하기 위해 「ばけがく」라고도 함; 가액. 값. 가격; 과학; 가학. 그 집에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학문; 和歌에 관한 학문. ((平安 시대부터 본격화하였음))
教育
교육
高校
『생리학』 구강. 〔참고〕 의학에서는 「こうくう」라고 함; 『문어』 교구. 성교(性交). 교접(交接). 〔동의어〕交合; 갱구; 효행. 효도(孝道). 〔반의어〕 不孝. {문어·ナリ 활용 }; 후고. (미해결의 문제 등을) 후일에 생각함. 또는 후인(後人)의 생각; 후공. (야구 등 공격과 방어를 번갈아 하는 경기에서) 나중에 공격함. 또는 그 팀. 〔동의어〕後攻め. 〔반의어〕 先攻; 후항. 〔반의어〕 前項; 『수학』 둘 이상의 항(項) 중 뒤의 항; 『문어』 황고. 선제(先帝). 선대의 황제; 채소를 소금이나 쌀겨 등에 절인 식품. 〔동의어〕香の物·漬け物·おしんこ·こうこ; 경강; 『의학』 경고. 단단한 고약. 〔반의어〕軟膏; 광갱. 광물을 캐기 위하여 판 굴; 『문어』 고황. 신체의 가장 깊은 부분으로, 병이 그 속에 들어가면 낫기 어렵다는 부분. 〔참고〕 「こうもう」로도 읽으나, 오독(誤讀)임; 《「かくかく」의 변한말》 이러이러. 약차약차. 여차여차. 〔동의어〕かようかよう·しかじか; 『문어』 경경함; 근심으로 마음이 편치 않음. {문어·タリ 활용}; 『문어』 호호; 물이 넓게 가득 들어참; 드넓음. {문어·タリ 활용}; 『문어』 호호함. 교교함; 공허하게 넓음. {문어·タリ 활용}; 『문어』 황황. 휘황(輝煌)함. {문어·タリ 활용}; 항행; 《「高等学校」의 준말》 고등학교. 고교; 황구. 어리고 미숙함. 또는 그런 사람; 항구의 출입구
求める
구하다. 찾다. 청하다. 바라다; 요구하다. 요청하다; 사다. 구입하다. 【문어형】 もと·む {하2단 활용}
委員
진료소; 의원. 의사; 위원
影響
『문어』 영경. 영국의 수도; 영향
会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考慮
고려; 『문어』 행려. 여행. 여행자. 나그네; 『문어』 《「御~」의 꼴로 씀》 상대방의 고려나 배려에 대한 높임말
全国
전국
通知
통지. 통고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来年
내년. 명년. 〔동의어〕明年. 〔반의어〕 去年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ウイルス
바이러스. 〔동의어〕ビールス; 컴퓨터를 비정상적으로 작용하게 만드는 프로그램. 〔동의어〕コンピューターウイルス
省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新型
새로운 형식; 신형. 〔동의어〕ニュータイプ
文部
「文部省」의 준말
入試
《「入学試験」의 준말》 입학 시험. 입시; 『생리학』 유치. 젖니. 〔반의어〕 永久歯
コロナ
『천문』 코로나.; (햇무리·달무리의) 무리. 광관. 〔동의어〕光冠.
文科省が出した通知では、来年の高校入試では今年度に学ぶ内容からの出題を減らしたり、
高校
『생리학』 구강. 〔참고〕 의학에서는 「こうくう」라고 함; 『문어』 교구. 성교(性交). 교접(交接). 〔동의어〕交合; 갱구; 효행. 효도(孝道). 〔반의어〕 不孝. {문어·ナリ 활용 }; 후고. (미해결의 문제 등을) 후일에 생각함. 또는 후인(後人)의 생각; 후공. (야구 등 공격과 방어를 번갈아 하는 경기에서) 나중에 공격함. 또는 그 팀. 〔동의어〕後攻め. 〔반의어〕 先攻; 후항. 〔반의어〕 前項; 『수학』 둘 이상의 항(項) 중 뒤의 항; 『문어』 황고. 선제(先帝). 선대의 황제; 채소를 소금이나 쌀겨 등에 절인 식품. 〔동의어〕香の物·漬け物·おしんこ·こうこ; 경강; 『의학』 경고. 단단한 고약. 〔반의어〕軟膏; 광갱. 광물을 캐기 위하여 판 굴; 『문어』 고황. 신체의 가장 깊은 부분으로, 병이 그 속에 들어가면 낫기 어렵다는 부분. 〔참고〕 「こうもう」로도 읽으나, 오독(誤讀)임; 《「かくかく」의 변한말》 이러이러. 약차약차. 여차여차. 〔동의어〕かようかよう·しかじか; 『문어』 경경함; 근심으로 마음이 편치 않음. {문어·タリ 활용}; 『문어』 호호; 물이 넓게 가득 들어참; 드넓음. {문어·タリ 활용}; 『문어』 호호함. 교교함; 공허하게 넓음. {문어·タリ 활용}; 『문어』 황황. 휘황(輝煌)함. {문어·タリ 활용}; 항행; 《「高等学校」의 준말》 고등학교. 고교; 황구. 어리고 미숙함. 또는 그런 사람; 항구의 출입구
内容
집안일. 내부의[내밀한] 용건·비용; 『의학』 내용. 내복. 〔동의어〕内服. 〔반의어〕 外用; 내양. 내해. 〔동의어〕内海. 〔반의어〕 外洋; 내용; 사물의 안[속]. 또는 그 알맹이. 〔동의어〕中身; 『철학』 사물이나 현상을 성립시키고 있는 실질(實質)·의미. 〔반의어〕 形式
減らす
줄이다. 덜다. 감하다. 〔반의어〕 ふやす. 【가능동사】 へら·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学ぶ
《「まねぶ」의 변한말》 배우다; 본받아 체득하다. 경험하여 알다; 가르침을 받다. 배워 익히다; 공부하다. 학문을 하다; 《고어》 흉내내다. 본뜨다. まな·べ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通知
통지. 통고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来年
내년. 명년. 〔동의어〕明年. 〔반의어〕 去年
省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入試
《「入学試験」의 준말》 입학 시험. 입시; 『생리학』 유치. 젖니. 〔반의어〕 永久歯
今年度
금년도. 올해의 연도
文科
분화. 하나의 것이 진보·발달하여 복잡해짐에 따라 몇 개의 이질적(異質的) 부분으로 갈림.; 횃불로 다른 횃불에 불을 붙임.; 분과.; 문화.; 문과. 〔반의어〕 理科.; 인문 과학·사회 과학의 분야.; 문학부.; 『문어』 문화.; 문명이 화려하고 훌륭함.
出題
출제.; 『문어』 시제(詩題)·가제(歌題)를 냄.; 문제를 냄.
学力検査以外にも面接や作文で選考を行うことなど具体的な例を示して工夫を求めています。
以外
이외. 그 밖. 〔참고〕 「以内」는 반대어가 아님; 『패류』 홍합. 〔동의어〕せとがい; 의외. 뜻밖. 생각 밖. 〔동의어〕思いの外. い-が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유해. 유체. 〔동의어〕なきがら
行う
(행위를) 하다. 행동하다; 실시하다. 실행하다; 거행하다; 처리하다. 취급하다; 《고어》 법으로 처리하다. おこな·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求める
구하다. 찾다. 청하다. 바라다; 요구하다. 요청하다; 사다. 구입하다. 【문어형】 もと·む {하2단 활용}
例
본보기가 되는 일. 고사(故事); 시험. 시도. 〔동의어〕こころみ
具体
구체. 〔동의어〕具象. 〔반의어〕 抽象
検査
검사
示す
(나타내) 보이다; 가리키다. 【가능동사】 しめ·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적시다. 축이다. 〔동의어〕湿らせ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学力
학력
工夫
『불교』 선종(禪宗)에서, 주어진 공안(公案)에 대하여 생각을 거듭함. 〔참고〕 「工夫」는 딴말임; 俳句의 작풍
面接
『문어』 면절. 면전에서 몹시 꾸짖음; 면접; 『문어』 직접 만남. 면회. 〔동의어〕面会; 시험관이 수험자를 직접 만남
的
적; …에 대한. …에 관한; …같은. …의 성질을 띤; …상태에 있는; 《속어》 〈인명이나 직업명에 붙어〉 친근미·경멸을 나타냄. 놈. 녀석. 꾼. 씨. 〔참고〕 1.~3.은 名詞에 붙어 경향·성질·상태 등을 나타내는 形容動詞의 어간을 이룸; 방울; 적. 적합; 적; 싸움·경쟁의 상대. 적수. 〔반의어〕 味方; 해롭게 하는 것; 흔히, 절충·교섭의 상대를 가리킴. 상대. 저쪽
選考
『문어』 숱한 줄기. 눈물이 줄기줄기 흐르는 모양; 『문어』 선고. 선친. 사망한 부친. 망부. 〔동의어〕亡父. 〔반의어〕 先妣; 선행; 앞섬. 앞서감; 앞서 행해짐; 『문어』 전의 행위[행동]. 〔동의어〕前行; 선공. (스포츠에서) 먼저 공격함. 또는 그 팀. 〔반의어〕 後攻; ⇒ せんご; 전행; 전공; 천홍색. 담홍색. 분홍. 핑크. 〔동의어〕うすくれない·ピンク; 천공; 『의학』 내장 벽에 구멍이 뚫림; 섬광. 번쩍하는 빛; 전공. 〔동의어〕軍功; 선고. 전형. 〔참고〕 「選考」는 대용자; 잠행. 숨어 다님; 『문어』 미행(微行); 잠항; 잠수 항행; 선향; 천행. 천황이 도읍이나 거처를 딴 곳으로 옮김; 선광. 채굴한 광석을 가려냄; 『문어』 선홍; 섬교. 섬세하고 교치(巧緻)함. {문어·ナリ 활용 }
作文
작문. 글짓기; (비유적으로) 표현은 번드르르하나 내용이 뒤따르지 않는 문장의 비유
地域ごとに休校期間が違うなど学習の進み具合にばらつきが出ると予想されるためです。
具合
⇒ ぐあい
進む
나아가다. 전진하다. 〔반의어〕 退く; (시계가) 빨라지다. 〔반의어〕 後れる; 진보하다. 발달하다; 진척되다. 진행되다; 승진하다; 진학하다. 진출하다; 왕성해지다; 더해지다. 악화되다; 〈흔히 否定의 말이 따름〉 마음이 내키다; 〈「~·んで…する」의 꼴로〉 자진해서. 적극적으로; 「進める」의 문어
学習
『문어』 학수. 학문을 닦음. 수학(修學); 학습
期間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地域
지역
違う
다르다. 틀리다. ((예스러운 말)); 「たがえる」의 문어
出る
나가다. 나오다; 안에서 밖으로 나가다. 〔반의어〕 はいる; 팔리다; 출석하다. 출근하다. 참가하다. 출장(出場)·출연하다; 떠나다. 출발하다; 졸업하다; 다다르다. 이르다; 나서다; 나아가다; 출판되다. (출판물에) 실리다. 나다; 솟다. 솟아나오다; 일다. 일어나다; 태도를 보이다; 넘쳐 흐르다; 벗어나다. 초과하다. 넘다; 나타나다; 생기다. 비롯되다; 산출되다. 나다; 받다. 얻다; 우러나다. 〔참고〕 고형(古形)은 「いづ」. 【문어형】 づ {하2단 활용}
予想
예상; ⇒ よそおう; 음식물을 그릇에 담다. 〔동의어〕よそる. 【가능동사】 よそ·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休校
『문어』 구황. 기근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사람들을 구함.; 구교. 오랜 사귐. 구정.; 구고.; 휴교.; 휴경. 휴한(休閑).; 휴강.; 휴항.; 급행.; 「急行列車」 「急行電車」의 준말. 〔반의어〕 鈍行·緩行.; 『문어』 궁행. 몸소 실행함. 친행(親行).
ばらつき
(뿔뿔이) 흐트러짐. 제품 등이 고르지 못함.; (통계에서) 조사나 실험에서 얻은 수치가 불규칙하게 분포하는 일.
文科省は昨日午後6時ごろ、全国の教育委員会などに通知しました。
教育
교육
委員
진료소; 의원. 의사; 위원
会
《고어》 대체적인 방향·위치·시간을 나타냄; 겹치거나 거듭된 것을 세는 말. 겹. 〔동의어〕重り; 《고어》 (바다·호수 등의) 후미. 〔동의어〕入り江; 《고어》 가지. 〔동의어〕えだ; 자루. 손잡이; 『문어』 모이. 미끼. 먹이. 〔동의어〕えさ; 많은 사람이 모여서 하는 법회(法會)·제례(祭禮); 《고어》 돌림병. 〔동의어〕えき; 그림; (텔레비전의) 영상. 화면;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잘 …하지 않다. 도저히 …할 수 없다; 회화에서, 긍정·승낙을 나타내는 말. 예. 네; 회화에서, 감동·놀람·의문을 나타냄. 예. 네. 뭐; 〈名詞에 붙어〉 남에게 말을 걸 때 쓰는 예스러운 말; 〈「か」 「だれ」 「何」 등 의문을 나타내는 말이나, 「だ」 「です」 등에 붙어〉 의문의 뜻을 강조함; 〈말 끝에 붙어〉 어조를 부드럽게 하거나 친근감을 나타내거나 함
全国
전국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通知
통지. 통고
昨日
어제. 〔동의어〕さくじつ; (머지않은) 지난날. 과거; 기낭; 기구(氣球)의 가스 주머니; 『논리학』 귀납. 〔반의어〕 演繹; 귀농; 기능
午後
오후. 하오. 〔반의어〕 午前; 말 한 마디 한 마디
省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文科
분화. 하나의 것이 진보·발달하여 복잡해짐에 따라 몇 개의 이질적(異質的) 부분으로 갈림.; 횃불로 다른 횃불에 불을 붙임.; 분과.; 문화.; 문과. 〔반의어〕 理科.; 인문 과학·사회 과학의 분야.; 문학부.; 『문어』 문화.; 문명이 화려하고 훌륭함.
小学校や中学校の入試でも同様の工夫をするよう求めています。
小学校
『교육』 소학교. 초등 보통 교육의 학교. ((한국의 초등학교))
中学校
『교육』 중학교; 구(舊)제도에서, 소학교 졸업 후 5년간의 고등 보통 교육을 시행한, 의무제가 아닌 남자 학교
求める
구하다. 찾다. 청하다. 바라다; 요구하다. 요청하다; 사다. 구입하다. 【문어형】 もと·む {하2단 활용}
同様
동요; 움직이고 흔들림; 마음이 불안해짐. 어수선해짐; 『문어』 어린아이; 동요; 어린이가 지은노래; 같음. 다름없음. 마찬가지임. 〔동의어〕同然. {문어·ナリ 활용 }
工夫
『불교』 선종(禪宗)에서, 주어진 공안(公案)에 대하여 생각을 거듭함. 〔참고〕 「工夫」는 딴말임; 俳句의 작풍
入試
《「入学試験」의 준말》 입학 시험. 입시; 『생리학』 유치. 젖니. 〔반의어〕 永久歯
向井理と綾野剛共演のテレビドラマが劇場版に!映画『S-最後の警官-奪還 RECOVERY OF OUR FUTURE』予告編
全国の自宅療養者43万人超 過去最多更新(2022年2月5日)
いつかの、いくつかのきみとのせかい
JAL 今年度1460億円の赤字見通し コロナで2年連続(2021年11月2日)
Top 10 Expressions for Agreeing and Disagreeing in Japanese
「あつ森」に“さどが島”公開 離島自治体で初(2020年12月14日)
日航 国際線の“顔”にエアバス 羽田・NY間から運行開始(2024年1月24日)
失恋した日
ガソリン補助金の上限「35円」は28日適用へ(2022年4月27日)
一時帰国者のワクチン接種開始 約4万人が希望(2021年8月1日)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Todaii Japanese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