トラベラーズファクトリーで、 お買い物をしてきましたので今からそれを開けてみたいと思います。
トラベラーズファクトリーで、 お買い物をしてきましたので今からそれを開けてみたいと思います。
そもそもトラベラーズノートとは何なのでしょうか?
トラベラーズノートは旅先で物事を記録したり表現するための道具です。
旅の行程表を書いたり、 旅先で思いついたことを書き留めたり、
日記帳やアルバムとして使ったり、 使い方はあなた次第なんですね。
複数のノートを組み合わせたり、 フィルムポケットを付けて写真やカードを収納したり、
ステッカーやプレートを貼ったりと、 すべて自由にあなたの好きなようにカスタマイズすることができます。
今回買ってきたトラベラーズノートにはスペアーのゴムバンドが付いていたので、
そちらに付け替えました。
牛革製のカバーにノートリフィルを挟んで、 コットンケースに入れて収納しておけます。
かわいいね。- オッケー!
これはですね、 自分用に買ったやつですね!
南国カンガルーノート。
はい、 こんな感じになっています。
無地のページをめくると、 こんな風に、 それぞれのページが全部封筒みたいな感じになっていますね!
ここに航空券とか旅先での何かのチケットとかを入れつつ、
こういう白い所には、 自分で何か日記を書いたりとかね、
スタンプを押したりできるという感じです。
これをこれから活用していきたいと思います。
トラベラーズファクトリーで、 お買い物をしてきましたので今からそれを開けてみたいと思います。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買い物
물건사기. 또는 그 물건; 사서 이득이 되는 물건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そもそもトラベラーズノートとは何なのでしょうか?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トラベラーズノートは旅先で物事を記録したり表現するための道具です。
道具
도구; 사람이 사용하는 기구의 총칭; 무가(武家)에서, 창 등의 무구(武具); 몸에 갖추어진 여러 가지 부분을 이르는 말; 불구(佛具); 다른 목적으로 이용되는 것; 연극의 진행에 필요한 여러 가지 물품
表現
빙원. 〔동의어〕氷野; 표현. 〔동의어〕表出; 『문어』 평언. 비평의 말. 〔동의어〕評語
物事
사물. 세상사. 매사(每事)
記録
기록. 〔동의어〕レコード
旅先
여행지
旅の行程表を書いたり、 旅先で思いついたことを書き留めたり、
表
(물건의) 앞면. 겉. 표면; (가옥 등의) 바깥쪽. 집 앞. 문밖; 정면 입구. 정문. 현관; 외관. 겉보기. 외양. 〔동의어〕うわべ·見かけ; 공적·정식적인 것; 표면에 붙이는[대는] 것. 거죽; (야구에서) 매회의 선공(先攻). 초; (볕이 잘 드는) 남쪽. 1.~4.7. 〔반의어〕 裏; (지명이나 방향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그 지역을 나타냄; 名詞 앞에 붙어서 복합어를 만듦; 『문어』; 얼굴. 낯. 안면. 〔동의어〕顔·顔面; 탈. 가면. 〔동의어〕めん·仮面; 겉면. 표면. 〔참고〕 「表」와 어원이 같음
旅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旅先
여행지
行程
공정.; 『물리』 공률(工率). 〔동의어〕工率.; 공정.; 법정. 공판정.; 공저. 관저. 〔반의어〕 私邸.; 넓은 뜰.; 고정. (분명치 않은 사항이나 의문점 등을) 생각하여 밝힘[정함].; 『문어』 고정. 생각하여 바로잡음. 특히, 사료(史料) 등의 변형된 것을 원형으로 복원시킴.; 행정.; 노정(路程). 〔동의어〕みちのり.; (여행 등의) 일정(日程).; 탄갱의 밑바닥.; 『문어』 효제. 부모에게 효성스럽고 형제의 의(誼)가 두터움.; 효정. (부인이) 효성스럽고 정숙함.; 경정. (책의 내용 등을) 고치어 정정함.; 긍정. 그러하다고 인정함. 〔반의어〕 否定.; 후정. 뒤뜰. 〔동의어〕奥庭. 〔반의어〕 前庭.; 황제. 천황의 동생. 황제의 동생.; 황제.; 교정. ((책이나 문장 등의 자구(字句) 등을 비교하여 바른 본문(本文)을 결정함)); 교정. (고서 등의 본문을) 다른 책과 비교하여 문자·문구 등을 바로잡음.; 교정. 학교 마당.; 항정. (선박·비행기의) 항행하는 거리.; 고저. 높낮이. (가치·지위·소리 등의) 높고 낮음.; 고제. 제자 중에서 특히 뛰어난 사람. 〔동의어〕高足.; 황제. 중국의 전설상의 제왕.; 항정. 배나 비행기로 가는 거리.
日記帳やアルバムとして使ったり、 使い方はあなた次第なんですね。
日記
일기; 「日記帳」의 준말
アルバム
앨범; 사진첩; (몇 곡을 담은) 레코드
次第
「市立大学」의 준말; 사대; 『불교』 만물을 생성하는 지(地)·수(水)·화(火)·풍(風)의 네 요소; 노자(老子)의 사상에서, 우주의 네 요소. ((도(道)·천(天)·지(地)·왕(王))); 순서; 사정. 유래(由來). 경과(經過); 〈「~に」, 또는 「~~に」의 꼴로〉 점차. 차츰; 〈名詞 뒤에 붙어〉 ‘…에 따라 결정됨’ ‘…나름임’의 뜻을 나타냄; ‘하는 대로’ ‘되는 대로’의 뜻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즉시. …하자마자; 『문어』 지대. 더없이 큼. {문어·ナリ 활용 }; 《「私立大学」의 준말》 사립 대학. 사대; 신문·잡지 구독료
帳
장. 장부. 공책; 총·가래·괭이·노·톱·대패·식칼·먹·양초·숫돌·三味線·바이올린 등을 세는 말. 정. 자루; 가마·인력거 등 탈것을 세는 말. 채[대]. 〔참고〕 「丁」로도 씀; 거문고·활 등을 세는 말. 개; 장막·모기장 등을 세는 말. 장; 짝수. 특히 주사위의 짝수. 〔반의어〕 半;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재래식 장정으로 된 책의 장수를 세는 말. 장. ((안팎의 양면이 한 장이 됨)); 두부를 세는 말. 모; (음식점 등에서) 한 사람분을 단위로 하여 요리를 세는 말. 접시. 그릇; ⇒ 町< 1> 2.; 관청. 〔동의어〕役所; 平安 시대, 検非違使의 관청. 〔동의어〕検非違使庁·使庁; 『문어』; 징조. 조짐. 〔동의어〕きざし; 조. 억의 1만배; 『법률』 지방 자치 단체의 하나. ((市와 村의 중간으로 읍(邑)에 해당 〔동의어〕町; 거리(距離)의 단위. 정. 〔참고〕 「丁」로도 씀; 시가(市街)를 소구분(小區分)한 지역 명. ((한국의 ‘동’에 해당)) 〔동의어〕町; 『의학』 정. 정저(疔疽). 정종(疔腫). 급성의 악성 부스럼. 〔동의어〕癤; 장. 우두머리. 〔동의어〕かしら; 『문어』 연장(자). 연상(자); 『문어』 장점. 〔동의어〕長所. 〔반의어〕 短; 「長門の国」의 준말; 조정. 〔반의어〕 野; 천자가 다스리는 나라; 아침. 〔동의어〕あさ·あした; 한 군주 또는 같은 계통의 군주의 재위 기간. 조. 왕조. 〔동의어〕御代; 동일 지방에 도읍을 두었던 시대; 『생리학』 장. 창자. 〔동의어〕はらわた; 조짐. 전조. 징후; 징수함. 공출(供出)시킴; 『곤충』 나비. 〔동의어〕ちょうちょう; 『역사』 律令 제도 시대의 조세(租稅)의 하나. 남자에게 부과되는 인두세로, 그 지방의 토산물을 납부하게 한 것. 〔동의어〕みつぎ; 『음악』 하나의 음계 또는 화음을 기조로 한 음조직의 특성; 일반적으로, ‘가락’을 이르는 말. 〔동의어〕調子; 《名詞에 붙음》; 시가(詩歌)의 음절수에 의한 가락. 조; 어떤 상태·특징·형식 등이 그것의 범주에 속함을 나타냄. 풍(風). 식(式); 『문어』 총애. 〔동의어〕寵愛; 『문어』 독수리. 〔동의어〕鷲; 초; 정도가 그 이상임; 그것에서 극단적으로 벗어나 있음; 『경제』 초과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使い方
사용 방법. 사용법. 〔동의어〕使用法
として
〈상태를 나타내는 한자어에 붙어 副詞句를 만듦〉 동작·작용이 일어날 때의 양태(樣態)를 나타냄. …하게. …해져서; 〈動詞의 未然形+「う」 「よう」에 붙어〉 …려고; 〈「それはそれ~」 「それはそう~」의 꼴로 接続詞적으로 씀〉 그것은 그렇다 치고; 《体言에 붙어》 자격이나 입장을 나타냄. …로서; 《「一人」 「一本」 「一時」 등의 말에 붙고, 뒤에 否定의 「ない」가 따름》 전면적인 부정을 나타냄. …도 …않다[없다]
複数のノートを組み合わせたり、 フィルムポケットを付けて写真やカードを収納したり、
カード
카드; (소형의 두꺼운) 쪽지; 트럼프; (야구 등의) 대전(對戰)
複数
복수. 〔반의어〕 単数; 둘 이상의 수; 문법에서 명사나 대명사가 둘 이상의 사람과 사물을 가리킴
組み合わせ
짜맞추기. 짜맞춘 것; 『수학』 조합. 〔동의어〕コンビネーション. 〔참고〕 「組合せ」로도 씀
写真
사진; 「活動写真」의 준말. 〔참고〕 「活動」로 쓰기도 함; 『문어』 사실(寫實); 『불교』 사신; 공양(供養)이나 중생을 구하기 위해 목숨을 버림; (카 레이스 등에서) 자동차 한 대 가량의 거리를 이르는 말
ノート
노트; 필기. 적음; 수기(手記). 각서(覺書). 〔동의어〕おぼえ書き; 주(註). 주석; 기호; 『음악』 악보. 음부(音符); 〈「ノートブック」의 준말〉 공책
フィルム
필름; 사진 감광판. 또는 그것을 현상한 음화(陰畵); 영화용의 음화·양화. (변하여) 영화
ポケット
포켓; 호주머니. 〔동의어〕かくし; 주머니 모양으로 된[우묵한] 곳; 〈다른 말의 앞에 붙어〉 호주머니에 들어갈 만한 크기임. 소형
付け
붙임; 계산서. 청구서. 〔동의어〕勘定書き; 외상 장부에 기입함. 또는 그 청구서; 〈「付拍子」의 준말〉 (歌舞伎에서) 배우가 유다른 제스처를 쓸 때나 난투 장면 등에 효과를 내기 위하여 딱따기로 마루를 치는 일;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늘 그 일을 해 버릇함
収納
수납; (금품 등을) 받아들임; (농작물 등을) 거두어들임; (장이나 상자 등에) 다 쓴 물건을 거두어 넣음
ステッカーやプレートを貼ったりと、 すべて自由にあなたの好きなようにカスタマイズすることができます。
自由
자유. {문어·ナリ 활용 }; 사유; 『법률』 직접 원인·이유가 되는 사실
あなた
『문어』 《遠称의 指示代名詞》; 저기. 저쪽. 저편; 예전. 이전. 옛날. 1.2.〔동의어〕かなた; 《対称의 人代名詞. 대등 또는 아랫사람에게 씀》 당신. 댁. 귀하. 〔참고〕 ㉠「彼方」에서 온 말로, 옛날에는 대등 또는 윗사람에게 썼으나 현재는 아내가 남편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대명사. 현대어에서는 높임의 정도가 낮으며, 학생이 선생에게, 젊은이가 나이든 이에게 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 ㉡상대가 여성일 때에는 흔히 「貴女」로 씀
好き
좋아함. 〔반의어〕 きらい; 색다른 것을 좋아함. 〔동의어〕ものずき; 호색. 〔동의어〕いろごのみ; 마음 내키는 대로임. 제멋대로임; 틈; 빈틈. 틈새기. 빈곳. 〔동의어〕隙間; 겨를. 짬; 허점. 방심. 틈탈 기회; 『농학·농림·농업』 쟁기. 극젱이. 〔동의어〕からすき; 종이를 뜸. 초지(抄紙); 『농학·농림·농업』 가래; 풍류(風流). 풍류의 길. 특히, 다도(茶道)·和歌를 즐김. 〔참고〕 「好き」의 차자. 「数奇」는 딴말임
プレート
플레이트; (야구에서) 본루. 〔동의어〕ホームプレート; 투수판. 마운드. 〔동의어〕ピッチャーズプレート; 판. 특히 금속판; (사진의) 감광판
ステッカー
스티커. 뒷면에 풀칠이 된 레테르. 특히 선전용으로 붙이는 쪽지
今回買ってきたトラベラーズノートにはスペアーのゴムバンドが付いていたので、
今回
금회. 이번 차례. 이번. 금번
バンド
밴드; (양복의) 허리띠. 〔동의어〕ベルト; 『물리』 주파수대(周波數帶); 밴드. (취주악·재즈의) 악단. 악대; ⇒ バウンド; 번드. 상해(上海) 등 항구 도시의 해안 도로
そちらに付け替えました。
そちら
그쪽. 그곳. 거기; 그쪽의 것. 그것; 대화의 상대. 또는 상대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사람을 가리킴. 당신. 그분. 〔참고〕 1.~3.이 모두 「そっち」보다 공손한 표현임
牛革製のカバーにノートリフィルを挟んで、 コットンケースに入れて収納しておけます。
ケース
케이스; 상자. 갑. 용기; (영문법에서) 격(格)
カバー
커버; 씌우개. 덮개. 뚜껑; 책가위; 덧신. 덧양말. 덧버선; 보충; (야구에서) 수비의 빈 자리에 다른 야수가 가서 돕는 일
製
청; 세; 지질 시대의 구분의 단위; 세대·지위·칭호 등의 순서; 《「背」의 변한말》 신장. 키. 높이; 정; 『문어』 올바름. 바른 길. 〔반의어〕 邪; 정통. 본디의 것; 바르게 정리된 모양; 주가 되는 것. 정식. 〔반의어〕 副; 『수학』 양(陽). 플러스. 〔반의어〕 負; 『철학』 (변증법에서) 정립(定立); 「正編」의 준말. 〔반의어〕 続; 정; 정식의 것. 주가 되는 것. 〔반의어〕 副; 틀림없음. 올바름; 장(長). 주임; 생; 삶. 살아감. 인생; 매일의 살림. 생활. 생업; 목숨. 생명;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남자가 자기를 일컫는 겸사말. 소생(小生); 생; 식물의 생장 연수; 학생·생도; 남자가 자기의 성명 밑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말; 서. 서쪽. 〔동의어〕さい; 「西班牙」의 약자; 제도. 규정; 제. 제도; 성. 성씨. 〔동의어〕みょうじ; ⇒ かばね; 성; 『문어』 천성. 본성. 성질; 만물의 본질; 남녀·자웅의 구별; 성욕. 생식. 〔동의어〕セックス; 『언어학』 (인도유럽어에서) 관사·명사·대명사 등에 있는 남성·여성·중성의 구별; 《名詞·形容詞의 語幹에 붙어》 …와 같은 성질. …성; 세. 기세. 힘; 병력. 군세(軍勢); 성. 성인(聖人). 〔동의어〕ひじり; 《흔히, 連体形 「~なる」의 꼴로 씀》 성. 거룩함. 신성함; 성; [saint]『기독교』 시성(諡聖)된 이의 이름 앞에 붙이는 말; 신성한; 『문어』 자상함. 〔반의어〕 粗. {문어·ナリ 활용 }; 정력. 원기. 기력; 순수. 정수(精髓); (어떤 사물의) 혼(魂). 요정(妖精). 정령(精靈); 정자(精子). 정액; (곡물을) 쓿음. 대낌; 『문어』 정. 조용함. 〔반의어〕 動; 탓. 원인. 이유
入れ
만들어 넣음. 끼워 넣음; 담는 그릇·상자 등
収納
수납; (금품 등을) 받아들임; (농작물 등을) 거두어들임; (장이나 상자 등에) 다 쓴 물건을 거두어 넣음
コットン
코튼.; 솜. 〔동의어〕綿.; 무명. 면포(綿布). 〔동의어〕木綿.; 「コットン紙」의 준말.
かわいいね。- オッケー!
かわいい
《「かわゆい」의 변한말》; 귀엽다. 사랑스럽다; 예쁘장스럽다. 작아서 예쁘다. かわ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かわい·げ 【형용동사】 かわい·さ 【명사】
これはですね、 自分用に買ったやつですね!
用
나뭇잎·종이 등 얇은 것을 세는 말. 장; 용무. 볼일. 일. 〔동의어〕用事; 소용. 쓸모. 구실; 『문어』 드는 돈. 비용. 〔동의어〕費用·入り用; 대소변. 용변; 名詞 뒤에 붙어, 무엇에 사용되는 것임을 나타냄. …용; 『문어』; 요염함; 『역사』 용. 토용(土俑). ((옛날 중국에서, 순사자(殉死者) 대신에 죽은 사람과 함께 묻었던 토제(土製) 또는 목제의 인형)); 『문어』 양. 세계를 동서의 둘로 나눈 하나. 동양과 서양. 특히, 서양; 양. 넓은 바다; 요. 요점. 요령; 필요. 필요성; 『문어』 모습. 모양. 자태. 〔동의어〕姿·かたち; 《「益」의 변한말》 보람. 효과; 『역사』 용. 律令制 시대에 부역 대신에 바친 물건; 양. 〔반의어〕 陰; 표면; 역학(易學)에서 적극적인 성질을 가진 것. ((달에 대한 해, 여자에 대한 남자, 마이너스에 대한 플러스 등)); 『의학』 양성; 『문어』 용인. 고용인. 〔동의어〕傭人; 『의학』 양. 종기; 모양. 형태. 생김새. 〔동의어〕形·有様; 방법. 수단; 〈「…~に」의 꼴로〉 목적이나 기대를 나타냄. …도록;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는 모양;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위한) 방법. 방식. 수단. 〔참고〕 흔히 かな로 씀; 〈흔히 名詞에 붙어〉 형(型). 양식(樣式); 〈흔히 名詞에 붙어〉 …의 모양(을 한 것); 빛남; 일월(日月)과 오성(五星); 요. ((요일을 일컬음. 接尾語적으로 씀)); 『의학』 옹. ((목·등·배 등에 생기는 종기)); ⇒ よく . 〔참고〕 「よく」의 音便. 방언적인 말. 〔참고〕 현대어로는 주로 西日本에서 쓰임; 무간하게 남을 부르거나 인사할 때의 말. 야! 여!; 무엇을 조르거나 할 때 하는 말. 아이. 참. 제발; 술에 취하다. 술기가 돌다; 멀미하다; 도취하다. 황홀해지다. 〔동의어〕うっとりする; 《고어》 (어육 등에) 중독되다; 미혹(迷惑)되다. (나쁜 길에) 빠지다. 헤매다. 〔동의어〕迷う. 【가능동사】 よ·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아득히 멂. 깊숙하고 어두움; 묘연함. 사정을 잘 알 수 없음. {문어·タリ 활용}; 《上1段·下1段·カ変·サ変의 動詞의 未然形, 助動詞 「せる」 「させる」 「しめる」 「れる」 「られる」의 未然形에 붙음. 다만, サ変에는 「し」의 꼴에 붙음》; 말하는 이의 의지나 결의를 나타냄. …하자; 상대에 대한 권유를 나타냄. …하자; 완곡한 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자; 추량(推量)이나 상상함의 뜻을 나타냄. …겠지; 완곡한 단정을 나타냄. …할 수 있을 것이다. …하리라;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ㄹ까보냐. …하겠나; 가정(假定)이나 가상(假想)의 상태를 나타냄. …건. …든지; 〈「~とする」의 꼴로〉 동작·작용·상태가 실현의 직전에 있음을 나타냄. …려고; 가능성을 나타냄. …할 수 있다; 『문어』 유. 어림. 어린 사람[아이]. 〔반의어〕 老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南国カンガルーノート。
ノート
노트; 필기. 적음; 수기(手記). 각서(覺書). 〔동의어〕おぼえ書き; 주(註). 주석; 기호; 『음악』 악보. 음부(音符); 〈「ノートブック」의 준말〉 공책
南国
남국. 남쪽 나라[지방]. 〔반의어〕 北国
カンガルー
『동물·동물학』 캥거루
はい、 こんな感じになっています。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無地のページをめくると、 こんな風に、 それぞれのページが全部封筒みたいな感じになっていますね!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それぞれ
저마다. 각기. 각각. 〔동의어〕おのおの·めいめい. 〔참고〕 副詞적으로도 씀
無地
무지. (천·종이 등이) 전체가 한 빛깔이고 무늬가 없음
風
바람; 감기. 〔참고〕 보통 「風邪」로 씀; 형세. 형편; 낌새. 눈치; (비유적으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회의 관습·양식 등; 〈接尾語적으로 씀〉 상태. 태도. 티
こんな
《「このような」보다 구어적인 표현》 이러한. 이런. 〔참고〕 語幹이 그대로 連体形의 작용을 하므로 連体詞로 보는 견해도 있음
全部
《副詞적으로도 씀》 전부. 모두. 전체. 〔동의어〕すべて. 〔반의어〕 一部; 전부. 앞 부분. 〔반의어〕 後部; 조리인. 요리사(料理師). 〔동의어〕料理人
封筒
봉투. 〔동의어〕状袋; 『문어』 풍도. 바람에 넘어짐; 「水痘」의 딴이름; 풍도; 풍랑. 풍파
ページ
책·노트 등의 면수를 세는 말. 면. 쪽. 페이지. ((약호는 p. 또는 pp)) 〔참고〕 흔히, 「頁」라고 차자를 쓰기도 함
ここに航空券とか旅先での何かのチケットとかを入れつつ、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券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航空
⇒ こうこう; 항공; 고공. 〔동의어〕たかぞら. 〔반의어〕 低空
入れ
만들어 넣음. 끼워 넣음; 담는 그릇·상자 등
チケット
티켓. 승차권·입장권·식권·회수권 등의 표. (물품의 할부) 구입권. 보관증. 〔동의어〕ティケット
旅先
여행지
こういう白い所には、 自分で何か日記を書いたりとかね、
日記
일기; 「日記帳」의 준말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自分
무렵. 대체적인 시기·시각; 적당한 때. 기회. 시기; (중국에서 신문의 논설 등에 쓰는) 현대어체(現代語體)의 문장; 그 시대의 글. 당시의 글; 그 사람 자신. 자기 자신;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동의어〕わたくし
白い
희다; 결백하다. 무죄다. しろ·げ 【형용동사】 しろ·さ 【명사】 しろ·み 【명사】 【문어형】 しろ·し {ク 활용}
所
초. 첫. 처음의; 초; 제. 여러. 많은; 소. 어떤 일을 하기 위한 장소·시설·기관. 〔참고〕 「じょ」로 읽는 경우가 있음; 서. 관청임을 나타냄; 《「警察署」의 준말》 서; 서; 쓴 글씨. 필적; 서법(書法). 서도(書道). 서예; 책. 서류; 편지. 서간; 서. 책·문서 등의 뜻을 나타냄; 서. 〔반의어〕 寒; 대서(大暑)와 소서(小暑). 복중(伏中); 보관을 주업무로 하는 관공서를 나타냄; 서. 실마리. 처음. 〔동의어〕ちょ
こういう
이러한. 이런
スタンプを押したりできるという感じです。
感じ
지각함. 감각. 감촉; 인상; 기분. 분위기; 감상; 『문어』 관사. 관청의 사무; 어떤 말 앞에서 그 말을 수식하는 말; 간사; 한자. 〔동의어〕真名·本字; 감사; 단체의 서무를 맡아보는 사람[직무]; 『법률』 법인(法人)의 업무·회계를 감사하는 기관. 감사역; 『문어』 빙그레 웃는 모양. 〔참고〕 여자일 때는 「嫣然」이라고 씀. {문어·タリ 활용}
できる
전부 나가다[나오다]. 다 나가[나와] 남은 것이 없다. 〔동의어〕出つくす. 【문어 4단 활용 동사】; 《カ変動詞 「でくる」의 변한 꼴》; (새로) 생기다. 나다; 생성(生成)되다; 성립되다; 일어나다. 발생하다; 수중에 들어오다. 얻다; 생산되다. 산출되다; 만들어지다; 완성되다. 다 되다; (소질·경향을) 타고나다. 생겨 먹다; 능력·가능성이 있다. 할 수 있다. 가능하다; 〈サ変動詞의 語幹에 붙어 接尾語적으로〉 …할 수 있다. …하는 것이 가능하다; 잘하다. 할 줄 알다; (능력·인품이) 뛰어나다. 출중하다. 되어 있다; 《속어》 (남녀가) 깊은 관계에 있다. 눈이[배가] 맞다; 『경제』 (증권 거래소에서) 매매가 성립되다
押し
미는 일. 밀기. 〔반의어〕 引き; 누름. 또는 눌러 놓는 물건[돌]. 〔동의어〕おさえ·おもし; 억지. 떼; 《動詞에 붙어》; 억지로[무리하게] …하다; 어세(語勢)를 강조하는 말; 말을 못함. 벙어리. 〔동의어〕おうし; 伊勢神宮·春日大社·熊野神社 등에서의 하급 신직; 『문어』 원앙새. 〔동의어〕おしどり
スタンプ
스탬프; 고무 도장; (관광지 등에서 찍는) 기념 스탬프; 우표. 수입 인지. 증지(證紙)
これをこれから活用していきたいと思います。
これから
《代名詞 「これ」+助詞 「から」가 한 낱말로 된 것. 副詞적으로도 씀》; 이제부터. 금후. 장차. 앞으로; 여기로부터
活用
활용; 이용; 『언어학』 用言·助動詞의 어미 변화
思い
생각함. 또는 그 생각. 〔동의어〕考え; 기분. 느낌. 마음. 〔동의어〕気持ち·感じ; 기대. 예상. 〔동의어〕期待·予想; 소원. 뜻. 〔동의어〕願い·望み; 연정. 연모의 정. 사모하는 마음; 집념. 미련. 원한. 〔동의어〕執念·うらみ; 근심. 수심. 〔동의어〕物思い; 무겁다. 〔반의어〕 軽い; 중량이 있다. 가볍지 않다; (사물이) 중대하다. 중요하다; (정도가) 심하다. (병이) 위중하다. 〔동의어〕ひどい; (신분·지위 등이) 높다. 중요하다; 후련하지[개운하지] 않다. 무지근하다; 침착하다. 진중하다. おも·げ 【형용동사】 おも·さ 【명사】 おも·み 【명사】 【문어형】 おも·し {ク 활용}
10 Happy Words in Japanese
10 Happy Words in Japan民主党政権を「悪夢」 安倍総理大臣が改めて強調
風に薫る夏の記憶
NTTドコモ新料金プラン データ利用量少ないユーザー 月額550円から(2023年6月20日)
NYで日本人社会躍進に向け交流会(2024年4月27日)
負けたくないから
カップ麺の残り汁“10秒で固まる” 燃えるごみに(2021年3月29日)
国産初の量子コンピューターがいよいよ稼働へ 高まる期待(2023年3月24日)
Shopping List Literacy
Shopping List Literacyひとりぼっちの涙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Todaii Japanese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