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位置付けが5月8日から「5類」に移行するのに伴い、厚生労働省は流行状況の把握について、季節性インフルエンザと同じ医療機関を活用する案を専門部会に示しました。
Grasp the corona epidemic situation The method of dealing as with the flu (2023/02/09)
77 lượt xem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位置付けが5月8日から「5類」に移行するのに伴い、厚生労働省は流行状況の把握について、季節性インフルエンザと同じ医療機関を活用する案を専門部会に示しました。
政府は新型コロナの流行の把握について、
5類への引き下げですべての医療機関から患者の情報が報告される現在の方法から一部の医療機関に絞る「定点把握」に変更する方針です。
厚労省は今月9日に開いた専門部会で、この「定点把握」をインフルエンザで指定されているのと同じ医療機関を活用する案を示しました。
部会では、この案について賛成する意見が多数を占めました。
今後、指定された一部の医療機関が感染者数を報告し、国立感染症研究所が週に1回、発表するということです。
新型コロナウイルスの位置付けが5月8日から「5類」に移行するのに伴い、厚生労働省は流行状況の把握について、季節性インフルエンザと同じ医療機関を活用する案を専門部会に示しました。
季節
기절; 기후. 계절; 계절. 철. 〔동의어〕シーズン; 기설. 〔반의어〕 未設; 얽맴. 구속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案
《색깔을 나타내는 말에 붙음》 ‘어두운’ ‘짙은’의 뜻; 『문어』 책상; (어떤 사물에 대한) 안. 생각. 의견. 예상; 계획. 구상; 암자. 작은 초가집. 〔동의어〕いお·いおり; 큰 선사(禪寺)에 딸려 있는 작은 승방(僧房); 문인(文人)·풍류인(風流人)의 이름이나 주거, 또는 요정 등의 이름에 덧붙여 아호(雅號)나 옥호(屋號)로 씀; 얼레짓가루·갈분 등을 물에 풀고, 간장·미림 등으로 맛을 내어 걸쭉하게 끓인 것. ((음식에 쳐서 먹음)) 〔동의어〕くずあん
医療
의료. 옷·속옷 등의 의류. 또는 의복의 재료가 되는 직물; 의량. 의복과 식량; 의료
流行
유행. 유행하는 것. 〔동의어〕りゅうこう. 〔반의어〕 廃り
活用
활용; 이용; 『언어학』 用言·助動詞의 어미 변화
機関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状況
상경; 상황. 정황; 상황. 평상시의 상태
性
『문어』; 천성. 성품; 습관. 관습. 풍습. 〔동의어〕慣し; 『문어』 차아. 산이 높고 험함. {문어·タリ 활용}
月
《「月曜日」의 준말》 월; 《「…か~」의 꼴로》 …(개)월
類
같은 종류의 것. 비슷한 것. 동류. 유례(類例)
移行
이강. 이후. 〔동의어〕以後. 〔참고〕 비교적 긴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씀; 의향. ((옷에 피워 배게 한 향내)); 의항. 옷걸이. 횃대. 〔동의어〕衣紋掛·衣架; 위광. 위세. 위력; ⇒ 異香; 이행. 옮아감; 『수학』 이항; 위공. 뛰어난 공로. 위훈. 〔동의어〕偉勲; 위효. 큰 효험; 의향. 뜻; 유공. 죽은 뒤에까지 남아 있는 공; 유구. 옛 건축의 잔존물; 유고. 죽은 사람이 남긴 원고; 《形容詞 「厳し」의 連用形 「いかく」의 音便》 몹시. 매우. 대단히. 심히. ((다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ひどく·ずいぶん; (편히) 쉬다. 휴식하다. 【가능동사】 いこ·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ウイルス
바이러스. 〔동의어〕ビールス; 컴퓨터를 비정상적으로 작용하게 만드는 프로그램. 〔동의어〕コンピューターウイルス
専門
전문; 오로지 한 가지 일에 종사·연구함. 또는 그 일; 유일한 관심사
示し
교시(敎示); 본보기. 모범
把握
파악
インフルエンザ
『의학』 인플루엔자. 유행성 감기. 독감
厚生
공정. こう-せ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음악』 교성; 향성; 고착(固着) 생활을 하는 생물의 기관이 외부의 자극을 받아 일정 방향으로 굽는 성질. 〔참고〕 식물의 경우는 「屈性」로 쓰는 경우가 많음; 『문어』 날씨가 맑게 갬. 쾌청. 〔동의어〕快晴; 공세. 〔반의어〕 守勢; 경정. 고쳐서 바로잡음; 갱생; 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감. 또는 과거를 청산하고 생활 태도를 고침; 폐품을 다시 쓸 수 있게 함. 재생(再生). 재활용; 후세; 『문어』 후생; 뒤에 태어남. 또는 그 사람. 〔반의어〕 先生; 자기보다 후에 배우는 사람. 후배. 후진. 〔참고〕 「ごしょう」는 딴말임; 『천문』 항성. 붙박이별. 〔반의어〕 惑星; 교정; 고성. 큰 소리. 높은 소리. 〔동의어〕大声; 소생. 갱생. 〔동의어〕更生. 〔참고〕 「そせい」의 관용음(慣用音); 경성. 단단한 성질. 〔반의어〕 軟性; 구성; 강제. 강철제. 강철 제품. 〔동의어〕鋼鉄製; 광세. 세상에 드묾; 후생. 생활을 넉넉하고 윤택하게 함
労働省
노동성. ((2001년, 厚生省과 통합하여 厚生労働省을 신설함))
新型
새로운 형식; 신형. 〔동의어〕ニュータイプ
コロナ
『천문』 코로나.; (햇무리·달무리의) 무리. 광관. 〔동의어〕光冠.
部会
부회. 부의 회.
政府は新型コロナの流行の把握について、
流行
유행. 유행하는 것. 〔동의어〕りゅうこう. 〔반의어〕 廃り
政府
양(陽)과 음(陰). 플러스와 마이너스; 『물리』 (전기·자기의) 양성과 음성. 양극(陽極)과 음극(陰極); 정부
把握
파악
新型
새로운 형식; 신형. 〔동의어〕ニュータイプ
コロナ
『천문』 코로나.; (햇무리·달무리의) 무리. 광관. 〔동의어〕光冠.
5類への引き下げですべての医療機関から患者の情報が報告される現在の方法から一部の医療機関に絞る「定点把握」に変更する方針です。
変更
변경; 『물리』 편광
報告
『문어』 봉고. 신 또는 귀인에게 아룀; 보고; 『문어』 보국
方法
방법; 《고어》; 당황하여 간신히 도망치는 모양. 허둥지둥. 헐레벌떡. 가까스로; 『문어』; 바람이 세게 부는 모양; (초목의 잎 등이) 무성하게 자란 모양; 연기나 수증기가 힘차게 솟아오르는 모양; (머리털 등이) 흐트러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医療
의료. 옷·속옷 등의 의류. 또는 의복의 재료가 되는 직물; 의량. 의복과 식량; 의료
患者
『문어』 간사. 간사한 사람; 『문어』; 옛날에, 관례(冠禮)를 지내고, 관을 쓴 소년; 관직이 없이 위계(位階)만 육품(六品)인 사람; 젊은 하인. 1.~4.〔동의어〕かじゃ·かんざ; 환자. 내시(內侍). 환관. 〔동의어〕宦官; 『문어』 보는 사람. 보고 있는 사람. 〔참고〕 「かんしゃ」라고도 함; 환자; 간자. 간첩. 염탐꾼. 첩자. ((예스러운 말)) 〔동의어〕間諜·スパイ
機関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現在
『기독교』 원죄; 현재; 〈副詞的으로도 씀〉 지금. 〔동의어〕今. 〔반의어〕 過去·未来; 『언어학』 현재형
情報
상방. 위쪽. 상부(上部). 〔참고〕 「上方」는 딴말임; 정법; 정해진 법칙; 정해진 방식. 늘 하는 방식; 『수학』 승법. 곱셈법. 〔반의어〕 除法; 통상의 방법; 정보; 사물의 내용이나 형편에 관한 소식; 판단이나 의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식·자료; 상황에 관한 지식에 변화를 초래하는 것
絞る
(물기가 빠지게) 짜다. 쥐어짜다. 〔참고〕 「搾る」로도 씀; (액즙을) 짜(내)다. 억지로 짜다. 〔참고〕 「搾る」로 씀; (목소리·생각 등을) 쥐어짜다; 〈「袖を~」 「袂を~」 등의 꼴로〉 눈물을 흘리다. 몹시 울다. 울다; (돈 등을) 억지로 우려내다. 착취하다. 〔참고〕 흔히 「搾る」로 씀; (범위를) 좁히다. 한정하다. 조이다. 압축하다; 씨름에서, 상대편의 팔을 옆구리에 끼고 죄다; (한쪽으로) 밀어붙이다; 호되게 야단치다. 혼내다. 〔참고〕 흔히 「搾る」로 씀; 홀치기 염색을 하다. 〔참고〕 しぼ·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方針
방침; 『문어』 ⇒ 芳志; 『문어』; 꽃소식. 화신(花信). 〔동의어〕花だより; 방심; (딴 일에 정신이 팔려) 멍함; 안심. 방념. 〔참고〕 2.는 「放神」으로도 씀; ⇒ 法身; 포신; 『의학』 포진. 〔동의어〕ヘルペス
類
같은 종류의 것. 비슷한 것. 동류. 유례(類例)
一部
〈「分」가 10분의 1의 단위를 나타내는 데서〉 아주 적음; 「一分銀」의 준말. 〔참고〕 「いっぷん」은 딴말임; 일부; 한 부. 한 권; (책·인쇄물 등의) 한 질. 한 벌; (대학에서) 야간부에 대한 주간부. 〔반의어〕 二部
把握
파악
定点
정점; 『기상』 기상 관측을 위하여 해양상에 정하여진 지점; 「帝国美術院展覧会(제국 미술 전람회)」의 준말. 지금의 「日展(일본 미술 전람회)」의 전신
厚労省は今月9日に開いた専門部会で、この「定点把握」をインフルエンザで指定されているのと同じ医療機関を活用する案を示しました。
日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案
《색깔을 나타내는 말에 붙음》 ‘어두운’ ‘짙은’의 뜻; 『문어』 책상; (어떤 사물에 대한) 안. 생각. 의견. 예상; 계획. 구상; 암자. 작은 초가집. 〔동의어〕いお·いおり; 큰 선사(禪寺)에 딸려 있는 작은 승방(僧房); 문인(文人)·풍류인(風流人)의 이름이나 주거, 또는 요정 등의 이름에 덧붙여 아호(雅號)나 옥호(屋號)로 씀; 얼레짓가루·갈분 등을 물에 풀고, 간장·미림 등으로 맛을 내어 걸쭉하게 끓인 것. ((음식에 쳐서 먹음)) 〔동의어〕くずあん
医療
의료. 옷·속옷 등의 의류. 또는 의복의 재료가 되는 직물; 의량. 의복과 식량; 의료
活用
활용; 이용; 『언어학』 用言·助動詞의 어미 변화
機関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指定
자제; 자식이나 동생. 〔반의어〕 父兄; 연소자; 『문어』 자제. 손위 누이와 남동생. 〔반의어〕 兄妹; 사저. 〔반의어〕 官邸·公邸; 『문어』 사정. 심부름꾼. 사환. 〔동의어〕しちょう; 지정; 가리켜 정함; 『언어학』 단정(斷定); 사제. 스승과 제자; 시정.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최대 수평 거리. ((대기의 혼탁도를 나타냄))
同じ
《원래 シク活用의 形容詞였던 것이 形容動詞의 語幹이 된 말. 連体形 「同じな」는 「同じなのに」 「同じなので」와 같은 경우에만 쓰이고, 体言에 이어질 때는 語幹 「同じ」를 씀》 같음. 동일함; 《「~…なら」의 꼴로》 어차피. 이왕에. 〔동의어〕どうせ·せっかく. 〔참고〕 < 1> 과 < 2> 모두 「おなし」라고도 함
今月
금월. 이달
専門
전문; 오로지 한 가지 일에 종사·연구함. 또는 그 일; 유일한 관심사
示し
교시(敎示); 본보기. 모범
把握
파악
省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インフルエンザ
『의학』 인플루엔자. 유행성 감기. 독감
定点
정점; 『기상』 기상 관측을 위하여 해양상에 정하여진 지점; 「帝国美術院展覧会(제국 미술 전람회)」의 준말. 지금의 「日展(일본 미술 전람회)」의 전신
労
《고어》; 병. 〔참고〕 「いたずき」라고도 함; 널빤지가 붙은 것. 또는 널빤지에 붙은 것; 마루방. 마루. 〔동의어〕板の間·板敷き; 「板付きかまぼこ」의 준말
厚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문어』;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部会
부회. 부의 회.
部会では、この案について賛成する意見が多数を占めました。
意見
위권. 위력과 권력; 『문어』 ⇒ 意見2.; 의견. 생각; 『철학』 확신이 없는 판단. 억견(臆見); 『법률』 위헌. 〔반의어〕 合憲; 유현.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초야에 묻혀 있는 유능한 인재
案
《색깔을 나타내는 말에 붙음》 ‘어두운’ ‘짙은’의 뜻; 『문어』 책상; (어떤 사물에 대한) 안. 생각. 의견. 예상; 계획. 구상; 암자. 작은 초가집. 〔동의어〕いお·いおり; 큰 선사(禪寺)에 딸려 있는 작은 승방(僧房); 문인(文人)·풍류인(風流人)의 이름이나 주거, 또는 요정 등의 이름에 덧붙여 아호(雅號)나 옥호(屋號)로 씀; 얼레짓가루·갈분 등을 물에 풀고, 간장·미림 등으로 맛을 내어 걸쭉하게 끓인 것. ((음식에 쳐서 먹음)) 〔동의어〕くずあん
賛成
삼세; 부모·자식·손자의 3대. 〔동의어〕さんぜ2.; 『문어』 삼성. 세 번[여러 번] 반성함; 삼성; 『문어』 산세. 산의 모습·모양; 참정. 정치 참여; 처참함. 〔동의어〕凄惨. {문어·ナリ 활용 }; 《「産児制限」의 준말》 산아 제한; 『화학』 산성. 〔반의어〕 アルカリ性; 찬성. 〔반의어〕 反対
多数
다수. 수가 많음. 〔반의어〕 少数
部会
부회. 부의 회.
今後、指定された一部の医療機関が感染者数を報告し、国立感染症研究所が週に1回、発表するということです。
発表
발표
報告
『문어』 봉고. 신 또는 귀인에게 아룀; 보고; 『문어』 보국
者
멍청이. 〔동의어〕まぬけ
医療
의료. 옷·속옷 등의 의류. 또는 의복의 재료가 되는 직물; 의량. 의복과 식량; 의료
回
《「かき」의 변한말》 특정한 動詞 앞에 붙어 의미를 강조하거나 어조를 고름; 해. 바다의 뜻을 더함; 계. 어떤 한정된 범위의 사회·동아리 등의 뜻을 나타냄; 보람. 효과; 조개; 조가비. 조개 껍데기. 〔동의어〕かいがら; 소라. 〔동의어〕ほらがい; 자개. 나전; 『문어』 골짜기; (물건 등을) 삼; 『경제』 (시세가 오를 것을 예상하고) 사들임. 1.2. 〔반의어〕 売り; 회; 『문어』 만남; 모임. 집회; 〈接尾語로도 씀〉 단체. 조직; 회. 횟수; 번. 회; 쾌; (만족하여) 기분이 좋음. 유쾌. 상쾌; 병이 나음; 《한자어 앞에 붙여》; ‘시원스러움’ ‘훌륭함’의 뜻을 나타냄; 빠름; 훈계. 훈계의 말; 『불교』 계율. 죄악을 방지하기 위해 불교신도가 지켜야 할 규칙; 괴이함. 불가사의; 《한자어 앞에 붙여》 ‘수상함’ ‘이상함’의 뜻을 나타냄. 괴; 계단. 층계. 층층대; (건물의) 층;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건물의) 층; 해서(楷書). 〔반의어〕 行·草; 해답. 풀이; 가의. 노래·시가의 뜻; 《「搔き」의 변한말》 노. 〔동의어〕オール; 곽외(郭隗). 중국 전국 시대(戰國時代)의 현인(賢人). 연(燕)나라 사람; 하위. 〔반의어〕 上位·中位; 하의. 〔반의어〕 上意; 『지리·지학·지명』 옛 지명의 하나. 지금의 山梨현. 〔동의어〕甲州; 친밀감을 가지고 물을 때 씀. …냐. …니; 반어(反語)를 나타냄. …냐; 상대에게 강하게 채근하는 뜻을 나타냄. …겠느냐
数
수; 수가 많음. 여러 가지; 손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것; 아래 그림. 〔반의어〕 上図
機関
계간. 〔동의어〕クォータリー; 궤간. 철도 선로의 두 레일의 간격. 〔동의어〕ゲージ; 귀환; 귀관. 저택 또는 숙소로 돌아옴[돌아감]; 귀함; 기간. 〔반의어〕 未刊; 『문어』 기한. 굶주림과 추위; 기간; 『문어』 귀감. 본보기; 기간; 『문어』 귀간. 귀한. 상대를 높여 그의 편지를 이르는 말. 귀함(貴函). 귀찰(貴札). 〔동의어〕尊簡; 기함. 사령관이 타고 함대를 지휘하는 군함; 『생리학』 기관; 기관; 엔진; 조직. 조직체; 기관; 『문어』 기관. 보일러. 증기관(蒸氣罐); 기관; 기이한 광경[구경 거리]; 훌륭한 경치; 『문어』 귀관
今後
금후. 차후. 이후
週
『문어』 주인. 주군. 〔동의어〕しゅ; 잡힘. 포로; …수; 주; 연방 국가의 행정 구획의 하나; 고대 중국의 행정 구획의 하나; 『지리·지학·지명』 …주. 지구상의 대륙. 〔참고〕 본래는 「洲」라고 썼음; 주; 둘레. 주위; 『수학』 다변형의 각 변의 합. 또는 곡선 도형의 곡선의 길이; 『역사』 고대 중국의 왕조명; …주. 주위를 도는 횟수; 『문어』 종; 종지(宗旨). 종파. 종문(宗門); 불교의 논리학인 因明에서 ‘결론’에 해당하는 말; …종. 불교의 종파; 『문어』 수. 뛰어남. 빼어남. 최상의 평점; 『문어』 냄새. 좋지 않은 냄새; 좋지 않은 냄새; 젠체하는 좋지 않은 느낌. …티; 주. 일주간; …주. 일주간을 단위로 한 그 달의 순서; 『문어』; 많은 사람들; 『문어』 인원수가 많음. 〔반의어〕 寡; 친근감 있게 특정인을 부르는 말;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복수의 사람에게 친근감이나 가벼운 경의를 나타냄. ((옛날에는 단수의 사람에게도 썼음)); 『문어』 집. 시가(詩歌)나 문장을 모은 책; 추. 보기 흉함. 또는 그런것. 〔반의어〕 美; 수치. 〔동의어〕恥
国立
국립
指定
자제; 자식이나 동생. 〔반의어〕 父兄; 연소자; 『문어』 자제. 손위 누이와 남동생. 〔반의어〕 兄妹; 사저. 〔반의어〕 官邸·公邸; 『문어』 사정. 심부름꾼. 사환. 〔동의어〕しちょう; 지정; 가리켜 정함; 『언어학』 단정(斷定); 사제. 스승과 제자; 시정. 육안으로 볼 수 있는 최대 수평 거리. ((대기의 혼탁도를 나타냄))
一部
〈「分」가 10분의 1의 단위를 나타내는 데서〉 아주 적음; 「一分銀」의 준말. 〔참고〕 「いっぷん」은 딴말임; 일부; 한 부. 한 권; (책·인쇄물 등의) 한 질. 한 벌; (대학에서) 야간부에 대한 주간부. 〔반의어〕 二部
感染
『생리학』 한선. 땀샘; 관전. 정부가 주조한 돈. 〔반의어〕私鋳銭; 관찬. 국가 기관에서 편찬함. 또는 그 편찬물. 〔반의어〕 私撰; 관선. 〔동의어〕国選. 〔반의어〕 民選; 『의학』 건선. 마른버짐; 간선. 본선. 〔반의어〕 支線; 감염; 병원체가 체내에 들어옴; 어떤 사물에 감화되거나 영향을 받음; 관전; 함선
症
꼭. 정확히; 정. 같은 품계(品階)에서 상위. 〔반의어〕 従; 꼭 닮음. ((예스러운 말)) 〔동의어〕そっくり; 증. 병의 증상; (경기 등에서) 이긴 횟수. 승. 〔반의어〕 敗; 『문어』 명승지; 증. 증명서; 『문어』 증거; (병원 등에서) 병상(病床)의 수. 병상; 소. 작음. 작은 것[쪽]. 〔반의어〕 大; 달이 작음; (허리에 차는) 작은 칼. 〔동의어〕わきざし; 소. 작은. 약간의. 〔반의어〕 大; 승. 되; 적음. 적은 것. 〔반의어〕 多; 『문어』 젊음. 나이가 어림; 『문어』 생. 삶. 목숨. 생명. 〔동의어〕いのち·せい; 초; 발초(拔抄). 또는 그 초록(抄錄). 〔동의어〕ぬきがき; 고전의 주석서.〔동의어〕抄物; 종이를 뜸. 종이를 만듦. 〔참고〕 1.2.는 接尾語적으로 씀; 『문어』; 첩. 〔동의어〕めかけ·てかけ·そばめ; 『문어』 《自称의 代名詞》 소첩. 〔동의어〕わらわ; 『불교』 성. 만물의 본체; 성. 타고난 성질. 천성. 기질; 체질; 품질. 특성; 음양도(陰陽道)에서,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의 오행(五行)을 사람의 생년월일에 배정한 것; 성. …의 성질. …하는 성질; 한시(漢詩)에서, 승구(承句); 성; 중국의 최상급의 지방 행정 구획; 『역사』 律令制에서의 중앙 관청; 정부의 내각을 조직하는 행정 관청. ((한국의 부(部)에 해당)); 『문어』 〈接頭語적으로 씀〉 생략함. 절약함; 『문어』 상. 재상(宰相). 대신(大臣); 장. 장수. 대장; 칭호. 일컬음; 칭송. 칭찬. 평판; 상; 『문어』 〈接尾語적으로도 씀〉 장사. 상업. 또는 상인; 『수학』 나눗셈에서 얻은 답. 몫. 〔반의어〕 積; 『음악』 동양 음악에서 5음 음계의 제2음; 『역사』 중국 고대의 은(殷)나라의 처음 이름; 장;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장·악곡을 내용에 따라 크게 나눈 한 단락; 『문어』 수미(首尾)를 갖춘 문장. 시가(詩歌); 기장(記章). 〔동의어〕しるし; 『음악』 생황(笙篁). 〔동의어〕笙の笛; 『문어』 손바닥. 〔동의어〕たなごころ; 상; 역(易)의 점괘. 〔동의어〕占形; 『음악』 정. 아악에서, 타악기의 한 가지. 징; 송; 『문어』 남의 미덕이나 성공을 칭송하는 말. 또는 그 시가(詩歌); 요충지; 중요한 역할. 중임; 상. 포상. 또는 포상의 금품. 〔동의어〕ほうび. 〔반의어〕 罰; 『음악』 소. 퉁소의 일종; (등에) 지다. 짊어지다. 〔동의어〕せおう; (귀찮은 일 등을) 떠맡다. 【가능동사】 しょ·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ってる」의 꼴로》 우쭐해하다. 자만하다. 으쓱하게 여기다
ボイスコントロール 機能紹介ムービー
Japanese Words - Drinks
アマゾン“値引き問題” 1400社に20億円返金へ(2020年9月10日)
対中国機が6割超 戦闘機の緊急発進999回
千葉県で31人感染確認 浦安市の病院でクラスターか(20/07/13)
会場は大喝采・・・指揮者コンクール 日本人女性が優勝
ドコモ“カード払い前提”で途中解約の違約金ゼロに
パスポートが新デザイン 北斎「冨嶽三十六景」に(20/02/03)
キャッチボール
チェリー
Để lại thông tin của bạn nhé!
Bạn cần nâng cấp lên tài khoản cao cấp để sử dụng tính năng này
Bạn có chắc chắn muốn kiểm tra lại không?
Bạn hãy nâng cấp tài khoản để đọc báo không giới hạn số lần
Todaii Japanese là website học và đọc báo tiếng Nhật tích hợp các tính năng khác như từ điển, luyện tập, thi thử,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ường Chinh, Khương Mai, Thanh Xuân, Hà Nộ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