誰にも見せない泪があった
誰にも見せない泪があった
人知れず流した泪があった
決して平らな道ではなかった
けれど確かに歩んで来た道だ
あの時想い描いた夢の途中に今も
何度も何度もあきらめかけた夢の途中
いくつもの日々を越えて 辿り着いた今がある
だからもう迷わずに進めばいい
栄光の架橋へと…
悔しくて眠れなかった夜があった
恐くて震えていた夜があった
もう駄目だと全てが嫌になって逃げ出そうとした時も
想い出せばこうしてたくさんの支えの中で歩いて来た
悲しみや苦しみの先にそれぞれの光がある
さあ行こう 振り返らず走り出せばいい
希望に満ちた空へ…
誰にも見せない泪があった
人知れず流した泪があった
いくつもの日々を越えて 辿り着いた今がある
だからもう迷わずに進めばいい
栄光の架橋へと…
終わらないその旅へと
君の心へ続く架橋へと…
誰にも見せない泪があった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見せる
보이다. 보도록 하다. 내보이다; 알게 하다; (겉으로) 나타내다. 드러내다; 그와 같이 보이게 하다; 겪게 하다; 진찰하게 하다.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して~」의 꼴로》; (남에게 보이도록) …해 보이다. 시늉을 하다; 강한 의지를 나타냄. …해 보이겠다. …하고야 말겠다. 〔참고〕 < 2> 는 보통 かな로 씀.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泪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人知れず流した泪があった
流す
(액체·기체·소리·전기 등을) 흘리다. 흐르게 하다; 띄워보내다. 떠내려 보내다; 씻어내다; 없었던 것으로 잊어버리다. 마음에 두지 않다. 흘려 버리다; (소문 등을) 퍼뜨리다. 널리 알리다; 유배시키다. 귀양보내다; 〈自動詞적으로 써서〉 (안마사·악사·택시 등이) 손을 찾아 돌아다니다; 유산(流産)시키다; (계획·회의 등을) 취소하다. 중지하다; 유질(流質)시키다;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건성으로 …하다; (야구에서) 밀어 치다; 몰래 넘겨주다; 수월하게 해치우다. 【가능동사】 な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泪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人知れず
남몰래. 속으로
決して平らな道ではなかった
決して
⇒ けっして
平ら
평평함. 평탄함. 납작함; 〈「お~に」의 꼴로〉 (무릎을 꿇지 않고) 다리를 펴고 편히 앉음; 평온함. 편안함. {문어·ナリ 활용 }; 《지명에 붙어》 산간(山間)의 평지를 나타냄. 〔참고〕 흔히, 「…だいら」로 탁음화됨
道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けれど確かに歩んで来た道だ
確か
확실함. 틀림없음. 믿을 만함; 정확함; 든든함. 단단함; 안전함; 건전함. 멀쩡함. {문어·ナリ 활용 }; (절대적이지는 않으나) 분명히. 확실히. 틀림없이. 아마. 〔동의어〕たぶん
歩む
『문어』; 걷다. 〔동의어〕あるく; (비유적으로) 거쳐 오다. 지나다; (사물이) 나아가다. 【가능동사】 あゆ·め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来る
《動詞 「来る」의 連体形에서》(날짜 등의 앞에 붙어) 오는. 다가오는. 〔반의어〕 去る; 『문어』; 오다. 〔동의어〕来る. 〔반의어〕 去る; 〈接尾語적으로〉 …하여 오다
けれど
⇒ けれども; ⇒ けれども
道
동. 같음; 동. (앞에 말한) 그; 동; 몸통. 동체. 〔동의어〕胴体; 몸의 중앙부. 복부(腹部); 물건의 중앙 부분. 동체; 북·三味線 등에서, 소리가 잘 울리도록 하기 위한, 속이 텅 빈 부분; (재래식 목조선의) 복부. 중배; 갑옷 또는 검도 방호구(防護具)의 가슴·배를 가리는 부분; (검도에서) 허리를 타격하는 수. 허리치기; 배짱; 동. 움직임. 〔반의어〕 静; 옛날, 영빈(迎賓)·예식 등을 위한 건물; 신불을 모신 건물; 집회(集會)를 위한 건물; 당. 옥호(屋號)·아호(雅號)·건물의 이름에 붙이는 말; 「北海道」의 준말; 동; 『화학』 금속 원소의 하나. 구리. 원소 기호 cu. 〔동의어〕あか·あかがね; 「銅メダル」의 준말; 당; 기를 단 창. 당극(幢戟).〔동의어〕はたほこ; 장막. 휘장; 어떻게;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함을 나타냄. 아무리(…해도); 〈「どうですか」의 준말〉 어때. 어때요; 마소를 멈추게 할 때 지르는, 달래는 소리. 우어. 워
あの時想い描いた夢の途中に今も
途中
도중
描く
그리다; 그림으로 그리다; 표현하다. 묘사하다; (마음에) 떠올리다. 【가능동사】 えが·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何度も何度もあきらめかけた夢の途中
かける
『문어』 (하늘 높이) 날다. 비상(飛翔)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일부분이) 깨져 떨어지다. 귀떨어지다. 흠지다; 부족하다. 모자라다. 없다; 이지러지다. 〔반의어〕 満ちる; (있어야 할 것이) 빠지다. 결여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높은 곳에) 걸다. 늘어뜨리다. 치다; (말을) 붙이다. 건네다; 얹다. 올려놓다; 가설하다. 세우다. 치다. 놓다; 걸터앉다. 〔동의어〕すわる; (단추·자물쇠 등을) 채우다. 잠그다; 〈「鼻に~」의 꼴로〉 자랑삼다. 뽐내다. 내세우다; 개의하다. 마음을 쓰다; 끼얹다. 뿌리다. 치다. 〔동의어〕振りかける; 덮다. 몸에 걸치다; 씌우다. 입히다. 〔동의어〕かぶせる; 감다. 두르다. 묶다; (다른 것에) 기대어 놓다. 걸쳐 놓다; 잡다. 사로잡다. 속이다; (희망 등을) 걸다. 빌다; (폐나 영향을) 끼치다; (돈·시간·수고 등을) 들이다. 〔동의어〕費やす; (보험에) 들다. 가입하다; 곱셈하다. 곱하다; 교배(交配)시키다; 높게 (달아) 올리다; (마음이나 정 등을) 주다; (작용 등을) 가(加)하다. 작용시키다. 동작을 취하다; 도구나 기계 등을 움직여 작동시키다; 에누리하다; 〈「輪を~」의 꼴로〉 ㉠정도가 한층 더하다. ㉡과장하다; 부과하다; 올리다. 상정하다; 〈「口に~」의 꼴로〉 말하다. 입에 올리다; 내걸어 보이다; (저울에) 달다; (체로) 치다; 보이다; 손을 쓰다. 처치하다; 잘 돌보다; 〈「目を~」의 꼴로〉 귀여워하다. 돌보다. 눈여겨[주의하여] 보다; 〈「火を~」의 꼴로〉 불지르다; 짓밟다; 〈수사법(修辭法)에서 어떤 말과 음이 같은 다른 말을 암시하여〉 한 말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하다; (기계에) 넣다. 올리다; 과정을 거치다[받다]; 퍼붓다; 섞다; 〈「(…から)…に~·けて」의 꼴로〉 (…에서)…에 걸쳐; 〈「…に~·けては」의 꼴로〉 …으로 말하면. …에 관하여는. …에 있어서는; (상금 등을) 걸다; 뾰족한 것이나 구부러진 것 등으로 걸다; 〈「鎌を~」의 꼴로〉 속을 떠보다. 깐보다;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하기 시작하다. 중도까지 …하다; 〈앞 動詞가 나타내는 동작이나 작용이 ‘거의 실현될 듯하다’의 뜻. 사실은 실현되지 않음〉 …ㄹ 뻔하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말 타고 달리다; 달리다. 뛰어가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걸다. 내기하다. 지르다; (실패하면 잃을 각오로) 걸다. 내걸다. 【문어형】 か·く {하2단 활용}
途中
도중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度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夢
육. 여섯. 〔동의어〕むっつ·ろく; 무. 아무것도 없음. 〔반의어〕 有; 힘을 쓰거나, 감탄하거나, 놀라거나 할 때 입을 다물고 내는 소리. 음; 『문어』 《動詞·動詞型活用의 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어》; 추량·예상의 뜻을 나타냄. …일 것이다. …이겠지; 의지·희망의 뜻을 나타냄. …하겠다. …할 작정이다; 권유·명령의 뜻을 나타냄. …하는 것이 좋겠다. …해 주게; 가정·가상의 뜻을 나타냄. 만약 …이라면 (…일 것이다); 완곡하게 표현하는 뜻을 나타냄. …같은. 〔참고〕 平安 시대 이후에는 「ん」으로도 씀
いくつもの日々を越えて 辿り着いた今がある
いくつ
몇. 몇 개. 얼마(만큼의 수); 몇 살; 〈「~も」 「~にも」의 꼴로 副詞적으로도 씀〉 몇이고. 여럿; 〈否定이나 疑問에도 씀〉 그다지
越える
(사람이나 동물이) 살찌다. 〔동의어〕太る. 〔반의어〕 やせる; (땅이) 비옥해지다. 〔반의어〕 やせる; (비유적으로) 자산 등이 늘어나다; (느낌이나 안목 등이) 풍부해지다. 높아지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넘다. 넘어가다; (강을) 건너다; (어떤 시기가) 지나가다. 넘기다; (어떤 기준을) 넘다. 넘어서다. 초과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나다. 〔동의어〕超える; 초월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넘다. 앞지르다. 건너뛰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辿る
길을 따라가다. 더듬더듬 걸어가다. 모르는 길을 헤매며 찾아가다; (뚜렷하지 않은 발자국·기억 등을) 더듬어 가다. 더듬다; 여기저기 찾아가다; 어떤 과정을 겪다. 어떤 방향으로 가다. 【가능동사】 たど·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着る
베다. 자르다; (관계를) 끊다. 단절하다; 중단하다. 멈추다; 한정하다; 개시하다; 작성하다. 만들다; 무너뜨리다. 파괴하다; 끄다; 긋다; 가로지르다; 세차게 헤치고 나아가다; (핸들이나 키 등을) 틀다. 꺾다; (테니스·탁구 등에서) 깎아치다. 〔동의어〕カットする; (카드 놀이에서) 섞다. 치다; (카드 놀이에서) 으뜸패를 내다; (셔터를) 누르다; (물기 등을) 없애다. 빼다; 수치가 어떤 기준이나 한도보다도 작아지다. 밑돌다. 〔동의어〕割る; 두드러진 행동을 하다. 〔참고〕 피륙·종이 등에는 「截る」, 목재 등에는 「伐る」, 사람을 베는 것은 「斬る」, 식물을 가위 등으로 자르는 것은 「剪る」로도 씀.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 …해내다. 끝까지 …하다; 완전히 …하다. 충분히 …하다; 몹시 …하다; 분명하게 …하다; 도중에 …하기를 그만두다.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부시를 치다. 나무와 나무를 비벼 불을 일으키다; (옷을) 입다. 〔반의어〕 脱ぐ; (죄 등을) 뒤집어쓰다. (은혜 등을) 입다. 지다. {문어·상1단 활용}
だからもう迷わずに進めばいい
進む
나아가다. 전진하다. 〔반의어〕 退く; (시계가) 빨라지다. 〔반의어〕 後れる; 진보하다. 발달하다; 진척되다. 진행되다; 승진하다; 진학하다. 진출하다; 왕성해지다; 더해지다. 악화되다; 〈흔히 否定의 말이 따름〉 마음이 내키다; 〈「~·んで…する」의 꼴로〉 자진해서. 적극적으로; 「進める」의 문어
だから
그러니까. 그래서. 때문에
迷う
길을 잃다. 헤매다; 갈피를 못 잡다. 결단을 내리지 못하다. 망설이다; (나쁜 길로) 빠지다. 미혹(迷惑)되다; 깨닫지 못하고 헤매다; 『불교』 죽은 이의 망령이 성불(成佛)하지 못하고 헤매다; 머리나 직물의 씨실·날실이 헝클어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栄光の架橋へと…
栄光
예행. 끌고 감; 예항. 자력으로 운항하지 못하는 배를 다른 배가 끌고 감; 영광; 광영. 영요(榮耀). 〔동의어〕光栄; 『문어』 서광. 〔동의어〕瑞光
架橋
『불교』 (지옥의) 불타는 구덩이; (비유적으로) 고통을 주는 것; 가경; 흥미진진한 경지; 경치가 좋은 곳; 가교. 다리를 놓음. 또는 그 다리; 『문어』 가향. 향리. 고향. 〔동의어〕ふるさと·郷里·故郷; 화교; 和歌를 읊을 때의 심경
悔しくて眠れなかった夜があった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悔しい
(실패나 치욕을 경험해서) 분하다. 억울하다. 〔동의어〕くちおしい; 자기의 행위를 후회하는 모양. 유감스럽다. 후회스럽다. くやし·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くやし·げ 【형용동사】 くやし·さ 【명사】 【문어형】 くや·し {シク 활용}
恐くて震えていた夜があった
震える
흔들리다; (추위·두려움·병 등으로) 떨리다. 【문어형】 ふる·ふ {하2단 활용}
夜
《인명이나 사람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 친밀감을 나타내는 말; 《흔히, 体言에 붙어》; 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집]임을 나타냄; 그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경멸이나 자조(自嘲)의 뜻이 담기기도 함)) …쟁이. …꾼; 그런 버릇·성질을 가진 사람임을 나타냄. …사람. …꾼. …쟁이; 옥호(屋號)·아호(雅號)에 붙이는 말. 〔참고〕 4.는 「舎」로도 씀; 『문어』; 《고어》 지붕; 팔. 여덟. 〔동의어〕やつ·やっつ·はち; 수효가 많음을 나타냄; 화살; 어떤 일이 빈번하게 행해지거나, 세월의 빠름을 비유하기도 함; 재목이나 돌을 쪼개는 데 쓰는 철제나 목재의 쐐기; (수레의) 바퀴살; 들. 들판. 〔동의어〕野·野原; 야. 민간. 〔반의어〕 朝; 천함. 거침. 세련되지 않음. {문어·ナリ 활용 }; 남을 부를 때 내는 소리. 어이. 야. 이봐요; 정신이나 기력을 집중시키기 위하여 내는 소리. 얏; 스스럼없는 口語적 대화에서 係助詞 「は」가 「イ」列音·「エ」列音 뒤에 왔기 때문에 변한말; 《体言 또는 副詞에 붙음》; 부르는 말임을 나타냄; 강조하는 뜻을 나타냄. …이야말로; (俳句 등에서) 体言을 받아 장면을 제시하거나 영탄을 나타냄. …(이)여; 『문어』 〈体言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감동·영탄을 나타냄. …이여. …로구나; 〈活用語의 命令形에 붙음. 口語에서는 권유를 나타내는 助動詞 「う」의 終止形에도 붙음〉 동료 또는 아랫사람에 대하여 가볍게 재촉하는 뜻을 나타냄. 하세. 하게; 가벼운 영탄을 나타냄. …말야; 『문어』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어〉 의문·반문·반어의 뜻을 나타냄. …인가. …까보냐; 『문어』 《名詞, 活用語의 連用形·連体形·副詞 등에 붙음》 의문·반문·반어를 나타냄. …이라도; 《体言 또는 準体助詞 「の」에 붙어》 사물을 열거하는 뜻을 나타냄. …이나. …이랑. …며; 《動詞·動詞형 활용어의 終止形에 붙어》; 어떤 동작·작용의 발생과 동시에, 다른 동작·작용이 일어나는 뜻을 나타냄. …하자. …자마자; 〈흔히, 「~否~」의 꼴로〉 …하자 곧. …하자마자
恐い
무섭다. 겁나다. 두렵다. 〔동의어〕恐ろしい. こわ·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こわ·げ 【형용동사】 こわ·さ 【명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강하다. 억세다. 세다; (음식물이) 질기다. 되다; 완고하다. 완강하다; 힘들다. 피곤하다. こわ·げ 【형용동사】 【문어형】 こは·し {ク 활용}
もう駄目だと全てが嫌になって逃げ出そうとした時も
全て
모두. 모조리. 통틀어; 대체로. 일반적으로; 전부. 일체. 모든 것
駄目
(바둑에서) 공배; 허사임. 소용없음. 무익(無益). 〔동의어〕むだ. {문어·ナリ 활용 }; 좋지 않음. 못쓰게 됨. 제구실을 못함. {문어·ナリ 활용 }; 불가능함. 가망이 없음. {문어·ナリ 활용 }; 불가함. 해서는 안 됨. {문어·ナリ 활용 }; (연출자가 연기자에게 주는) 연기상의 주의. 지적
時
차; 다음; 『화학』 산화(酸化)의 정도가 낮음; 『화학』 염기성염(鹽基性鹽); 횟수(回數). 빈도(頻度). 차례; 자; 자기; 〈시간·장소를 나타내는 名詞에 붙어〉 …부터. 〔반의어〕 至; 사. 절; 아; 아이. 아동; 남아; 『문어』 《自称의 人代名詞》 나. 저; 사. 일. 사항; 시. 시간의 단위. 60분; 시각; 때. 기회; 〈옛 지명에 붙여〉 그 지방의 길.그 지방 또는 그 지방으로 가는 길임을 나타냄. 도(道). 가도. 지방; 하루의 행정(行程); 『문어』 나이를 나타냄; 〈10을 단위로 한 수에 붙여〉 그 정도의 나이를 나타냄; 토지. 땅. 지면; 그 지방. 그 고장; 본성. 본색. 천성. 본바탕; 기반. 기초; 천; 살결. 피부; 문장에서 작자가 설명한 부분; (바둑에서) 차지한 집; 실제. 실지(實地). 〔참조어〕 地で行く; 풋내기. 숫보기; 「地謡」 「地紙」 「地髪」의 준말; 글자. 문자; 글씨. 필적; (바둑 등에서) 비김. 무승부; 『의학』 치질. 〔동의어〕痔疾; 『문어』 사; 말. 글; 한문 문체의 하나; 『언어학』 일본어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 것의 하나. 단독으로는 문절(文節)을 이루지 못하고, 언제나 詞(자립어)에 딸려서 문절을 구성하는 말. ((助詞·助動詞 등)) 〔동의어〕付属語·関係語. 〔반의어〕 詞; 『문어』; 자석. 지남철; 자기. 사기그릇; 새; 세 가지 신기(神器)의 하나인 八尺瓊曲玉. 〔동의어〕神璽; 《고어》 《動詞·助動詞의 未然形에 붙음》; 부정적인 추측을 나타냄. …않겠지. …않을 것이다. 〔동의어〕…ないだろう·…まい; 부정적인 결의를 나타냄. …하지 않으리라. …않을 작정이다. 〔동의어〕…まい
嫌
《고어》 공경함. 존경함. 예의; 『문어』; 점점. 더욱더. 〔동의어〕いよいよ·ますます; 대단히. 한층 더. 가일층; 가장. 제일; 놀람·감동·탄식을 나타내는 말. 야. 〔동의어〕やあ·ああ. 〔참고〕 길게 「いやあ」라고도 함; 아니. 아니오. 〔동의어〕いいえ; 그러면. 〔동의어〕それでは; 싫음. 바라지 않음. 좋아하지[하고 싶지] 않음; 불쾌함. いやが·る 【5단 활용 타동사】 いやさ 【명사】 {문어·ナリ 활용 }
逃げ出す
도망치다. 달아나다. 〔동의어〕逃走する; 도망치기 시작하다. 【가능동사】 にげ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想い出せばこうしてたくさんの支えの中で歩いて来た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こうして
이렇게 해서
たくさん
많음; (달갑지 않을 만큼) 충분함. 더 필요 없음. 질색임; 〈名詞에 붙어〉 충분하리 만큼 많은 모양을 나타냄. {문어·ナリ 활용 }
来る
《動詞 「来る」의 連体形에서》(날짜 등의 앞에 붙어) 오는. 다가오는. 〔반의어〕 去る; 『문어』; 오다. 〔동의어〕来る. 〔반의어〕 去る; 〈接尾語적으로〉 …하여 오다
歩く
걷다. 걸어가다. 거닐다. 〔동의어〕あゆむ; (비유적으로) 거쳐오다. 지내다. 살아가다; 〈다른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여기저기에서[여러 곳에서] …하다. …하며 다니다; 방문하다. 찾아보다. 【가능동사】 ある·け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出す
(안에서 밖으로) 내다. 꺼내다. 내놓다; (앞으로) 내밀다; (분비물·액체를) 흘리다. 나오게 하다; (딴 곳으로) 보내다. 출발시키다; 나타내다. 드러내다; (소리·빛·열 등을) 내다; (편지·신호 등을) 보내다. 부치다; 내다. 제출하다; 내다. 발표하다. 출품하다; 발행하다. 출판하다; 내놓다. 제공하다; (값을) 치르다. 지급하다; 내보내다. 배출하다; 발생시키다. 내다; 발휘하다; (속력을) 올리다. 내다; 내보이다. 내걸다; (어떤 결과를) 가져오게 하다. 초래하다; (맛을) 우려내다; (가게를) 차리다. 개업하다; (과제·문제를) 과(課)하다. 【가능동사】 だ·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밖으로 내놓다’의 뜻을 나타냄; ‘겉으로 나타나다’ ‘구체화하다’의 뜻을 나타냄; ‘…하기 시작하다’의 뜻을 나타냄. 【문어 4단 활용 동사】
支え
《고어》 술을 넣는 휴대용 죽통(竹筒); 받침. 떠받침. 버팀. 또는 떠받치는 것. 지주(支柱)
悲しみや苦しみの先にそれぞれの光がある
光
호. 좋은; 항; 후. 뒤. 〔반의어〕 前; 항; 사람 수·칼·기구 등을 세는 말. 구. 자루; 『문어』 공사; 《직종 이름에 붙여》 공원·직공의 뜻을 나타냄. 공; 『문어』 공; 공공(公共). 〔동의어〕おおやけ. 〔반의어〕 私; 〈「公爵」의 준말〉 공작; 공; 공작이나 신분이 높은 사람의 이름에 붙이는 말; 사람의 이름 뒤에 붙여 친근감이나 경멸감을 나타내는 말; 『문어』 공. 구멍; 『문어』 공; 공적; 효험. 효과. 보람. 〔동의어〕ききめ; 『문어』 솜씨가 뛰어남. 또는 그 솜씨. 〔반의어〕 拙; 갑; 십간(十干)의 첫째. 〔동의어〕きのえ; 갑옷. 〔동의어〕よろい; 게나 거북 등의 등딱지; 손발의 등; 등급·순위 등의 첫째; 사물의 대명사로 쓰는 말; 「琵琶」 「三味線」 등 현악기의 몸통 부분; 『문어』; 교제. 사귐; (시대·연월·계절 등이) 바뀔 때; 「揚子江」의 준말; 선고(先考). 〔동의어〕亡父. 〔반의어〕 妣; ‘연구’ ‘고찰한 결과’의 뜻을 나타냄. 고. ((흔히, 논문의 제명(題名)이나 서명(書名)에 씀)); 『문어』 감. 떠남. 여행; 행함. 행동; 한시체(漢詩體)의 하나; ‘여행’ ‘산행(山行)’ ‘기행(紀行)’의 뜻을 나타냄. 행; 『불교』 겁. 지극히 긴 시간. 〔반의어〕 刹那; (바둑에서) 패; 갱; 효. 효행; 경. ((옛날, 하룻밤을 5등분 한 시간의 일컬음. 초경에서 오경까지)); 효험. 효력. 효과. 〔동의어〕ききめ; 행. 행복. 〔동의어〕さいわい; 『문어』 나이; 후; 〈「侯爵」의 준말〉 후작; 선명한 적색. 주홍색; 향. 향내; 향료. 향나무; 《여성어》 「味噌」의 딴이름; 「薬味」의 딴이름; 『문어』 철. 계절; 학교; 교정(校正)의 횟수를 세는 말. 교; 고; 『문어』 높은 곳. 〔반의어〕 低; 「高等学校」의 준말; 고. 〔반의어〕 低; 『문어』 딱딱함. 단단함. 〔반의어〕 軟. {문어·ナリ 활용 }; 항; 항목. 조항을 세분한 하나하나; 『수학』 수식(數式)을 이루는 하나하나의 요소; 강. 생물 분류상의 한 단위. ((문(門)과 목(目) 사이)); 『문어』 고기의 기름. 지방; 고약; 『문어』 원고; 형. 저울대; (변하여) 저울. 〔동의어〕はかり; 무게. 〔동의어〕目方; 강. 강철. 〔동의어〕はがね; 『불교』 경전(經典)을 듣거나 신불에 참배하는 모임. 〔동의어〕講会; 돈 마련을 위한 모임. 계; 《「かく」의 변한말》 이렇게. 이처럼; 적당한 말이 얼른 생각나지 않을 때 군소리로 하는 말. 그. 저어. 거시기; 그리다; (이성이나 육친을) 그리워하다; (어떤 곳·사물 등을) 그리워하다; 《고어》 빌다. 기원하다. 〔참고〕 「乞う」라고 쓸 경우에는 「ねだる(조르다)」의 뜻이 강함. 【문어 4단 활용 동사】; 맥이 빠짐. 넋을 잃음. {문어·タリ 활용}; 훤칠함. {문어·タリ 활용}
それぞれ
저마다. 각기. 각각. 〔동의어〕おのおの·めいめい. 〔참고〕 副詞적으로도 씀
先
끝; 앞. 선두; 그곳으로부터 떨어진 곳. 전방; 행선지. 목적지; (장사나 교섭의) 상대편; 앞날. 장래. 전도; 먼저; 이전. 과거. 〔반의어〕 あと·のち; 이어지는 부분. 남은 부분; 『문어』 복. 행복. 〔동의어〕さち; 꽃이 핌. 개화(開花); 산부리. 〔동의어〕ではな; 좌기. (세로쓰기 문장에서) 다음에 적음
苦しみ
괴로움. 고통. 고생. 어려움
悲しみ
슬픔. 비애
さあ行こう 振り返らず走り出せばいい
行く
〈주로 名詞에 붙어〉 수량·정도가 불확실·불명확함을 나타냄. 어느 정도의. 몇; 수량·정도가 많음을 나타냄. 여러. 수; 『문어』 외구. 무서워하고 두려워함. 〔동의어〕恐懼; 썩 큰 몸집; 《「生きる」의 문어형》 살다. 살아가다; ⇒ ゆく; ⇒ ゆく
振り返る
뒤돌아보다. 돌아다보다; 돌이켜 생각하다. 회고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부기에서) 대체 계정을 하다. 【문어형】 ふりか·ふ {하2단 활용}
希望に満ちた空へ…
満ちる
차다. 가득하다; 어떤 감정이나 마음이 가득 차 있다; 기한이 차다. 만료되다; 만조(滿潮)가 되다; 모자란 데가 없이 완전한 모양이 되다. 〔반의어〕 欠ける. 〔참고〕 「満つ」도 같은 뜻. 현대어는 「満つ」보다 「満ちる」가 일반적인데, 否定 표현에는 「意に満たない」 등 주로 「満つ」가 사용됨. 【문어형】 み·つ {상2단 활용}
空
《「あた」의 변한말로 室町 시대까지는 「あた」로 읽었음》; 원수. 적. 〔동의어〕敵·; 원한. 원망. 〔동의어〕恨み; 앙갚음. 보복. 해. 화; 《고어》 외적. 외구(外寇); 헛됨. 헛일. 헛수고. 부질없음. 〔동의어〕むだ; 들떠 있음. 부박(浮薄); 다름. 딴 것임. 〔동의어〕外·別; (여자가) 요염함. {문어·ナリ 활용 }
希望
『문어』 기망. 일을 계획하여 이루어지기를 바람; 희망; 『문어』 귀모. 보통 사람이 생각 못할 뛰어난 계책; 『문어』 기망. 음력 16일 밤. 또는 그 밤의 달. 〔동의어〕十六夜. 〔참고〕 이미 「望(만월)」가 끝났다는 뜻; 『문어』 궤모. 남을 속이는 계책. 궤계(詭計)
誰にも見せない泪があった
誰
수. 오행(五行)의 다섯째. ((계절은 겨울, 방위로는 북, 색은 검정임)); 「水曜日」의 준말; 《속어》 당밀즙(糖蜜汁)만을 탄 얼음물; 물. 액체; 순수함. 또는 그런 것; 뛰어난 것. 정수(精粹); 세상 물정에 밝아 인정의 기미(機微)를 잘 앎. 특히, 남녀간의 애정에 이해가 많음. {문어·ナリ 활용 }; 화류계·예능계의 사정에 밝음. 멋을[풍류를] 앎. (언동이) 세련되어 있음. {문어·ナリ 활용 }; 추; 저울추. 분동; 방추(紡錘)를 세는 말; 시다. 신맛이 있다. 〔동의어〕すっぱい. 【문어형】 す·し {ク 활용}
見せる
보이다. 보도록 하다. 내보이다; 알게 하다; (겉으로) 나타내다. 드러내다; 그와 같이 보이게 하다; 겪게 하다; 진찰하게 하다.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して~」의 꼴로》; (남에게 보이도록) …해 보이다. 시늉을 하다; 강한 의지를 나타냄. …해 보이겠다. …하고야 말겠다. 〔참고〕 < 2> 는 보통 かな로 씀. 【문어형】 み·す {하2단 활용}
泪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人知れず流した泪があった
流す
(액체·기체·소리·전기 등을) 흘리다. 흐르게 하다; 띄워보내다. 떠내려 보내다; 씻어내다; 없었던 것으로 잊어버리다. 마음에 두지 않다. 흘려 버리다; (소문 등을) 퍼뜨리다. 널리 알리다; 유배시키다. 귀양보내다; 〈自動詞적으로 써서〉 (안마사·악사·택시 등이) 손을 찾아 돌아다니다; 유산(流産)시키다; (계획·회의 등을) 취소하다. 중지하다; 유질(流質)시키다; 〈動詞의 連用形을 받아〉 건성으로 …하다; (야구에서) 밀어 치다; 몰래 넘겨주다; 수월하게 해치우다. 【가능동사】 なが·せ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泪
눈물; 누액(淚液); 울음; (비유적으로) 동정. 인정
人知れず
남몰래. 속으로
いくつもの日々を越えて 辿り着いた今がある
いくつ
몇. 몇 개. 얼마(만큼의 수); 몇 살; 〈「~も」 「~にも」의 꼴로 副詞적으로도 씀〉 몇이고. 여럿; 〈否定이나 疑問에도 씀〉 그다지
越える
(사람이나 동물이) 살찌다. 〔동의어〕太る. 〔반의어〕 やせる; (땅이) 비옥해지다. 〔반의어〕 やせる; (비유적으로) 자산 등이 늘어나다; (느낌이나 안목 등이) 풍부해지다. 높아지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넘다. 넘어가다; (강을) 건너다; (어떤 시기가) 지나가다. 넘기다; (어떤 기준을) 넘다. 넘어서다. 초과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나다. 〔동의어〕超える; 초월하다. 〔동의어〕超える; 뛰어넘다. 앞지르다. 건너뛰다. 【문어형】 こ·ゆ {하2단 활용}
辿る
길을 따라가다. 더듬더듬 걸어가다. 모르는 길을 헤매며 찾아가다; (뚜렷하지 않은 발자국·기억 등을) 더듬어 가다. 더듬다; 여기저기 찾아가다; 어떤 과정을 겪다. 어떤 방향으로 가다. 【가능동사】 たど·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今
지금. 이제. 현재; 오늘날. 현대. 〔반의어〕 昔; 〈接続詞적으로 씀〉 이야기를 진전시키기 위하여 전제(前提)를 설정할 때 쓰는 말. 여기서; 가까운 미래를 나타냄. 이제 곧. 바로. 잇따라; 지금 막. 방금; 더. 〔동의어〕さらに; 〈주로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에 붙음〉 현대의. 최근의. 오늘날의; 새로운; 가족이 함께 모여 차를 마시거나 여가를 보내거나 하는 방. 거실(居室). 거처방
着る
베다. 자르다; (관계를) 끊다. 단절하다; 중단하다. 멈추다; 한정하다; 개시하다; 작성하다. 만들다; 무너뜨리다. 파괴하다; 끄다; 긋다; 가로지르다; 세차게 헤치고 나아가다; (핸들이나 키 등을) 틀다. 꺾다; (테니스·탁구 등에서) 깎아치다. 〔동의어〕カットする; (카드 놀이에서) 섞다. 치다; (카드 놀이에서) 으뜸패를 내다; (셔터를) 누르다; (물기 등을) 없애다. 빼다; 수치가 어떤 기준이나 한도보다도 작아지다. 밑돌다. 〔동의어〕割る; 두드러진 행동을 하다. 〔참고〕 피륙·종이 등에는 「截る」, 목재 등에는 「伐る」, 사람을 베는 것은 「斬る」, 식물을 가위 등으로 자르는 것은 「剪る」로도 씀.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다 …해내다. 끝까지 …하다; 완전히 …하다. 충분히 …하다; 몹시 …하다; 분명하게 …하다; 도중에 …하기를 그만두다. 【가능동사】 き·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고어》 부시를 치다. 나무와 나무를 비벼 불을 일으키다; (옷을) 입다. 〔반의어〕 脱ぐ; (죄 등을) 뒤집어쓰다. (은혜 등을) 입다. 지다. {문어·상1단 활용}
だからもう迷わずに進めばいい
進む
나아가다. 전진하다. 〔반의어〕 退く; (시계가) 빨라지다. 〔반의어〕 後れる; 진보하다. 발달하다; 진척되다. 진행되다; 승진하다; 진학하다. 진출하다; 왕성해지다; 더해지다. 악화되다; 〈흔히 否定의 말이 따름〉 마음이 내키다; 〈「~·んで…する」의 꼴로〉 자진해서. 적극적으로; 「進める」의 문어
だから
그러니까. 그래서. 때문에
迷う
길을 잃다. 헤매다; 갈피를 못 잡다. 결단을 내리지 못하다. 망설이다; (나쁜 길로) 빠지다. 미혹(迷惑)되다; 깨닫지 못하고 헤매다; 『불교』 죽은 이의 망령이 성불(成佛)하지 못하고 헤매다; 머리나 직물의 씨실·날실이 헝클어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栄光の架橋へと…
栄光
예행. 끌고 감; 예항. 자력으로 운항하지 못하는 배를 다른 배가 끌고 감; 영광; 광영. 영요(榮耀). 〔동의어〕光栄; 『문어』 서광. 〔동의어〕瑞光
架橋
『불교』 (지옥의) 불타는 구덩이; (비유적으로) 고통을 주는 것; 가경; 흥미진진한 경지; 경치가 좋은 곳; 가교. 다리를 놓음. 또는 그 다리; 『문어』 가향. 향리. 고향. 〔동의어〕ふるさと·郷里·故郷; 화교; 和歌를 읊을 때의 심경
終わらないその旅へと
旅
일본식 버선; 어떤 일이 있는, 또는 있었던 그때. 적. 때. 〔동의어〕折·時; 〈「に」가 붙어, 「…をする~に」 「…の~に」의 꼴로〉 …할 때마다. …할 적마다. 〔참고〕 흔히, 동사의 連体形에 붙어서 쓰임; 횟수;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횟수를 나타냄》 …번; 여행. 〔동의어〕旅行. 〔참고〕 긴 인생에 비유해서도 씀
終わる
끝나다; 종료되다. 〔반의어〕 始まる; 〈名詞+「で」의 꼴에 붙어〉 (더욱 발전하지 못하고) …으로 끝나다; 〈名詞+「に」의 꼴에 붙어〉 …으로 끝나다. …의 결과로 되다; (어떤 상태에 이르기 전에) 끝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끝내다. 마치다. 【가능동사】 おわ·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작용이) 완결되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君の心へ続く架橋へと…
君
『문어』; 임금. 군주; 윗사람에 대한 높임말; 논다니. 유녀; 남자가 동년배 또는 손아래 상대를 친근하게 부르는 말. 자네. 그대. 군. ((「おまえ」보다 공손한 말)) 〔반의어〕 僕; 느낌. 기분. 〔동의어〕きび; 〈「~がいい」 「いい~(だ)」의 꼴로〉 고소한 기분이다. 고소하다; 기미. 기운. 경향; ⇒ きび; 노랑을 띠고 있음. 노란 빛깔. 〔동의어〕黄色み; 노른자위. 난황(卵黃). 〔동의어〕卵黄. 〔반의어〕 白身
心
《‘마음·생각·속마음’의 뜻》 어쩐지. 어딘지; 《고어》; 초목의 잎이나 가지의 끝. 〔동의어〕こずえ·うれ; 『문어』; 포구. 후미. 〔동의어〕入り江·浦曲; 해안. 해변. 〔동의어〕浜辺; 뒤. 뒷면. 뒤쪽(출입구); (옷의) 안. 안찝; 반대; 내면. 내정. 내막; (야구에서) 말(末). 선공(先攻) 팀이 수비하는 차례; 『논리학』 가정과 결론을 모두 부정한 ‘a면 b다’에 대하여 ‘a가 아니면 b가 아니다’라는 형식의 명제(命題); 連歌·俳諧에서 둘로 접은 종이의 이면; 처음 만난 기녀를 두 번째 만나는 일. 1.2.4.5.7. 〔반의어〕 表
続く
이어지다. 계속되다; (같은 일이) 잇따르다. 끊이지 않다; 뒤따르다; 버금가다. 다음가다. 【문어 4단 활용 동사】
架橋
『불교』 (지옥의) 불타는 구덩이; (비유적으로) 고통을 주는 것; 가경; 흥미진진한 경지; 경치가 좋은 곳; 가교. 다리를 놓음. 또는 그 다리; 『문어』 가향. 향리. 고향. 〔동의어〕ふるさと·郷里·故郷; 화교; 和歌를 읊을 때의 심경
ミスター・スノー(雪だるまくん)
【コレ天】誰でもできる簡単な落花生のむき方
人
WORLD ORDER "HAVE A NICE DAY"
花降らし
天皇陛下がドイツ大統領と面会 W杯について「残念なのはドイツと同じグループ」(2022年11月3日)
「育児体験」社内制度を導入 育休取得促進へ(2022年4月2日)
侵攻から3カ月 ハルキウで地下鉄再開(2022年5月25日)
輪島港 仮桟橋設置作業進む 海底隆起で漁船出せず(2024年3月17日)
紀子さま 昭和天皇命日の儀式を一部欠席 数日前から体調不良(2024年1月8日)
Vous devez passer à un compte premium pour utiliser cette fonctionnalité
Êtes-vous sûr de vouloir repasser le test?
Veuillez mettre à niveau votre compte pour lire des journaux en illimité
Todaii Japanese est un site web pour apprendre et lire les actualités japonaises intégrant diverses fonctionnalités telles que dictionnaire, pratique, tests, ...
https://todaiinews.com
todai.easylife@gmail.com
(+84) 865 924 966
315 Truong Chinh, Khuong Mai, Thanh Xuan, Han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