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ぷら油を一瞬で復活!
天ぷら油を一瞬で復活!
ねハニー、 今日の晩ご飯何?
まだ決めてないけど…
だったら天ぷらがいいな! 天ぷら食べたい。
天ぷらって大量の油を使うし、
揚げカスですぐに油が汚れちゃうからもったいないのよね。
でも、 あるものを使えば、 一度使った油も簡単に復活しちゃうの。
まずは火を止めて、 少し冷ましておくの。
大体五分くらい放置しておけばオーケーよ。
五分経ったら油の中に…
これ! 食べ残した冷やご飯を入れるの。
火を止めた状態のままスプーン一杯ぐらい入れたら、
後は箸でゆっくりかき混ぜるだけ。
できるだけ揚げカスとご飯を混ざるようにね。
そしたら、 よく見ててね。
余熱でご飯が揚がるけど、 びっくりしないで。
ほら! 米粒に揚げカスがくっついていくのが分かるでしょう?
しばらくくるくる掻き回して…
三十秒もすれば、 ほらこの通り! 元通りの綺麗な油に復活よ。
ご飯を入れる前の油と比べると…
ご覧の通り!
この技さえ使えば、 もう天ぷらの揚げカスなんて怖くない!
うん、 ナイスハック!
天ぷら油を一瞬で復活!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一瞬
〈副詞적으로도 씀〉 일순. 일순간. 순간; 〈「~にして」의 꼴로〉 눈 깜짝하는 사이에. 순식간에. 금세. 금방. 〔동의어〕たちまち
復活
부활; 죽은 사람이 되살아남. 소생함; 일단 폐지하였던 것을 다시 씀; 쇠퇴하였던 것이 다시 일어나 흥하게 됨
ねハニー、 今日の晩ご飯何?
何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今日
광. 그 일에 열중하는 사람임을 나타냄; 협. 협곡(峽谷)임을 나타냄; 교. 종교임을 나타냄; 교. 다리임을 나타냄; 경. 거울임을 나타냄; 오늘. 금일. 〔동의어〕本日; 흉. 운수가 나쁨. 불길함. 〔동의어〕不吉. 〔반의어〕 吉; 〈「共産党」의 준말〉 공산당; 〈「共産主義」의 준말〉 공산주의; 『문어』 수도. 서울. 〔동의어〕首都; 京都. 〔참고〕 옛날에 일본의 수도였음; 『수학』 경. 조(兆)의 1만 배. 〔동의어〕京; 「いろは歌」의 끝에 붙이는 말; 《「香車」의 준말》 일본 장기짝의 하나; 강함. 강자; (어떤 수량에 붙어) 그보다 조금 더 됨을 나타냄. 〔반의어〕 弱; 『불교』 불경. 경문. 〔동의어〕お経; 성전(聖典). 경서(經書); 『문어』 고향. 〔동의어〕ふるさと; 곳. 장소. 지역; 어떤 장소나 경우; 마음의 상태. 경지; 경; 장소. 범위. 처지; 심경. 경지(境地); 흥; 흥취. 흥미. 재미. 〔동의어〕面白み; 좌흥(座興); 『문학』 한시(漢詩) 육의(六義)의 하나. 어떤 사물에 접하여 자기의 감흥을 표현함
晩
판. 종이·책·필름 등의 크기. 〔참고〕 「はん」이라고도 함; 판; 출판(물); …에 있어서의. …풍으로 개작한; (신문에서) 지방판; 순서. 순번. 차례; 망을 봄. 또는 그 사람; (여러 개를 비치하여 번호를 붙여 두는 데서) 평소에 쓰는 질이 낮은 물건; 번. 순위. 번호; 승부·대진(對陣)·짝짓기 등의 횟수. 판;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단위; 『문어』 접시; (바둑·장기 등의) 판; 레코드판. 음반; 〈흔히, 接尾語적으로 씀〉 물건을 장치하는 판자 모양의 대. 반; 『조류』 쇠물닭; 널. 판자. 금속판; 저녁; 밤; 『불교』 번. 부처·보살의 권위나 힘을 나타내는 장식으로서 절의 경내나 법당 안에 올리는 기; 『문어』; 〈뒤에 否定語가 따름〉 만에 하나라도. 전혀. 결코; 아무리 해도. 어떻게 해도. 도저히
ハニー
허니. 벌꿀.
まだ決めてないけど…
決め
결정. 결정 사항. 규정. 규칙. 약속. 〔참고〕 名詞에 붙어 「…ぎめ」의 꼴로 接尾語적으로도 씀; 나뭇결. 〔동의어〕木目. 〔참고〕 「木理」라고도 씀; (물건 표면의) 결. (사람의) 살결. 또는 그 감촉; (무엇을 할 때의) 마음씀. 〔참고〕 2.3.은 「肌理」라고도 씀
だったら天ぷらがいいな! 天ぷら食べたい。
天ぷらって大量の油を使うし、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使う
쓰다. 사용하다. 부리다. 고용하다. 〔동의어〕召し使う; (어떤 동작을 시키기 위하여) 조종하다. 부리다. 〔동의어〕あやつる; (도구·수단으로서) 이용하다; 술수를 쓰다; 소비하다; 마음[머리]을 쓰다; 어떤 동작을 하다; (그것으로) 특정 동작을 하다. 【가능동사】 つか·え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大量
대렵. 사냥에서 새나 짐승이 많이 잡힘. 〔반의어〕 不猟; 대량. 〔반의어〕小量; 『문어』 도량이 큼. 큰 도량. 〔동의어〕寛大; 대어. 풍어. 물고기가 많이 잡힘. 〔동의어〕たいぎょ. 〔반의어〕不漁; 《歴》 律令 제도에서, 郡司의 장관; 체량. 체중. 〔동의어〕体重; 기숙사 등에서 나옴. 〔반의어〕入寮
揚げカスですぐに油が汚れちゃうからもったいないのよね。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もったいない
황송하다. 과분하다. 고맙다; 아깝다; 죄스럽다. 불경스럽다. もっ-たいな·が·る 【5단 활용 자동사】 もっ-たいな·げ 【형용동사】 もっ-たいな·さ 【명사】 【문어형】 もったいな·し {ク 활용}
汚れ
월경(月經)·해산(解産)·상중(喪中) 등의, 부정(不淨)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揚げ
〈흔히 조어 성분(造語成分)적으로 씀〉 올림. 〔반의어〕 下げ; 일본옷의 소매 길이나 기장을 줄이기 위해 어깨나 허리 부분을 징그는 주름. 〔동의어〕縫いあげ; 시세가 오름. 상승. 〔반의어〕 下げ; 기름에 튀기는 일. 또는 그 튀긴 음식; (손이) 기생·창녀를 부름
でも、 あるものを使えば、 一度使った油も簡単に復活しちゃうの。
一度
일회. 한 번. 한 차례. 〔동의어〕いっぺん·一回
簡単
『문어』 간담. 간과 쓸개. (변하여) 속마음. 진정; 『곤충』 긴꼬리; 한단. 중국, 전국 시대의 조(趙)나라의 서울; 감탄; 간단. 〔반의어〕 複雑. 〔참고〕 「簡短」이라고도 씀. {문어·ナリ 활용 }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ちゃう
《「茶宇縞」의 준말》 はかま 감으로 쓰는 얇은 견직물. 〔참고〕 이 견직물이 인도의 차울(chaul)산(産)인 데서 비롯됨; 《속어》 《「てしまう」의 변한말. 「でしまう」의 경우에는 「じゃう」로 됨》 …해 버리다
復活
부활; 죽은 사람이 되살아남. 소생함; 일단 폐지하였던 것을 다시 씀; 쇠퇴하였던 것이 다시 일어나 흥하게 됨
まずは火を止めて、 少し冷ましておくの。
火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少し
조금. 좀. 약간. 〔동의어〕わずか·少々·やや·ちょっと. 〔참고〕 「ほんの~(아주 조금)」 「~の間(잠깐 동안)」 「~の差(약간의 차)」 등 名詞적으로 쓸 때도 있음
止め
(사람이나 동물을 죽일 때) 마지막으로 목을 찌르거나 하여 완전히 숨통을 끊음
大体五分くらい放置しておけばオーケーよ。
大体
대체; 대강. 대략. 개요 〔동의어〕大凡·あらまし; 대부분. 대다수. 〔동의어〕たいてい; 대개. 대충. 거의; 도대체. 도시. 애당초. 본래. 〔동의어〕そもそも·もともと; 대대; 대퇴. 넓적다리. 〔동의어〕太股·大腿部; 『문어』 대체. 딴 것으로 바꿈. 〔동의어〕だいがえ
分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五
5. 다섯. 〔동의어〕ご·いつつ;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언제. 어느 때; 평소. 여느 때; 『문어』; 부정을 씻었음. 신성함; 일. 하나. 〔동의어〕いち; 둘 중 하나. 한쪽. 〔동의어〕一方; 같음. 동일; 〈「~に」의 꼴로 副詞적으로 씀〉 오로지. 전적으로; (세속을 떠나) 편히 지냄
くらい
《「座居」의 뜻》; 국왕의 지위; 지위. 계급; 예술 작품 등의 품위. 품격. 관록; (사물의) 등급. 우열(優劣); 『수학』 (십진법의) 자릿수; 《名詞 「位」에서 변한말. 「ぐらい」로도 씀》 만큼. 정도. 가량. 쯤; 어떤 사물을 예시하고 대강 그 정도임을 나타냄; 정도가 낮은 한도를 나타냄; 비교의 기준을 나타냄; 〈수량을 나타내는 말에 붙어서〉 대강의 수량을 나타냄; 어둡다. 〔반의어〕 あかるい; 밝지 않다. 캄캄하다. 침침하다; (색깔 등이) 칙칙하다; (사람됨이나 행실 등이) 떳떳하지 못하다; (전망 등이) 암담하다. 희망이 없다; (마음이나 표정 등이) 우울하다. 침울하다. 음침하다; (세상 물정 등에) 밝지 못하다. 캄캄하다. くら·さ 【명사】 【문어형】 くら·し {ク 활용}
オーケー
오케이. 좋아. 알았다. 〔동의어〕オーライ·オッケー; 오케이; 승낙. 동의; 일이 잘 됨
放置
방치; 법치; 『역사』 봉토(封土). 영지(領地); 보지. 알림. 통지
五分経ったら油の中に…
分
《名詞 등에 붙어 形容動詞의 어간을 만듦》 부정의 뜻을 나타냄. …가 없음. …가 좋지 않음. …가 아님; 승부의 형세. 우열의 정도; 이익의 정도. 배당(액)·할당(량); 판(板) 등의 두께. 또는 부피; 1·1할·1치·1문(文)의 각각 10분의 1. 푼. 분; 전체를 10등분한 것. 할; 옛날 화폐의 단위. 1両의 4분의 1; 『음악』 전음(全音)을 등분한 길이; 무; 무예. 무술; 군사력. 무력; 비율. 이율; 형세; 수수료. 구전; 토지 면적의 단위. 보. ((1歩는 여섯 자 평방. 약 3.3평방 미터)) 〔동의어〕坪; 町·反의 뒤에 붙어 그 면적의 끝수가 없음을 나타내는 말. 보; 부; 한 구분; (조직체의) 구성 부분의 하나; 동호인의 클럽; …부; < 1> 의 2.3.의 뜻으로 名詞 뒤에 붙음; 특정 부분을 나타냄; 책·문서를 세는 말. 부; 전체를 나눈 구분을 세는 말. 부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中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五
5. 다섯. 〔동의어〕ご·いつつ; 〈不定称의 指示代名詞〉 언제. 어느 때; 평소. 여느 때; 『문어』; 부정을 씻었음. 신성함; 일. 하나. 〔동의어〕いち; 둘 중 하나. 한쪽. 〔동의어〕一方; 같음. 동일; 〈「~に」의 꼴로 副詞적으로 씀〉 오로지. 전적으로; (세속을 떠나) 편히 지냄
これ! 食べ残した冷やご飯を入れるの。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冷や
〈「冷や水」의 준말〉 찬물; 〈「冷や酒」의 준말〉 찬 술; ‘차가운’ ‘데우지 않은’의 뜻을 나타냄; 구름 사이로 비치는 햇빛을 화살에 비유한 말; 화전. 불화살. 또는 화약을 장치한 구식 화기(火器)
火を止めた状態のままスプーン一杯ぐらい入れたら、
火
《보통 形容詞 앞에 붙어》 어조를 고르고, 또 의미를 강조함; 하. 아래의. 〔반의어〕 上; 하. …의 아래; 과; 지나친. 과도의; 『화학』 (화합물의 이름에 붙어) 그 성분 비율이 많음을 나타냄;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体言을 만듦》 (동작이나 작용이 행해지는) 곳. 데. 처. 〔참고〕 「隠れが」와 같이 탁음이 되기도 함; 가; 사람·집 등의 뜻을 나타냄; 무엇을 전문으로 하거나 직업으로 하는 사람; 화. 화폐; 《고유어의 数詞에 붙어》 날수·날짜를 나타냄. 날. 일; 어깨에 짊어지는 짐을 세는 말. 짐; 개; 과일·보석 등을 세는 말. 과. 알. 개; 『문어』 《흔히, 「…の~」의 꼴로 씀》 향기. 냄새. 〔동의어〕かおり; 『곤충』 모기; 「教化」 「徳化」의 준말; 《주로 한자에 붙어》 ‘어떤 상태로 되다’ ‘어떤 상태로 하다’의 뜻을 나타냄; 화; 「火曜日」의 준말; 「加奈陀」의 준말; 「加賀」의 준말; 가; 좋음. 〔반의어〕 否·不可; 허락함. 〔반의어〕 否; 성적 평가 등에서 양(良)의 아래; 《고어》 훌륭함. 좋음. 아름다움; 과; 결과. 〔반의어〕 因; 『불교』 불과(佛果). 신앙으로 얻은 결과. 깨달음; 과; 전문 분야. 과목; 생물 분류학상의 한 단계.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歴》 하; 중국 최고(最古)의 왕조; 서하(西夏). 중국 송대(宋代)에 북부 지방에 있었던 나라; 「中華民国」의 준말; 화. 불행. 〔동의어〕わざわい. 〔반의어〕 福; 화. 재난; 『문어』 수가 적음. 적은 인원. 〔반의어〕 衆; 과; 사무 조직이나 기구(機構) 등의 한 구분; 교과서 등의 한 단원. 〔참고〕 1.2.모두 接尾語적으로도 씀; 『문어』 〈他称의 人代名詞·遠称의 指示代名詞〉 멀리 있는 사람·사물을 가리키는 말. 저. 저것. 그. 저이. 〔동의어〕かれ·あれ; 불확실한 짐작을 나타냄. …ㄴ지; 〈흔히, 의문의 말에 붙어〉 불확실한 뜻을 나타냄. …ㄴ가; …하자 곧; 〈「のみ~」 「どころ~」 「ばかり~」 등 관용구의 꼴로〉 …은[는]커녕; 양자 택일의 뜻을 나타냄. …ㄴ지; 《体言 및 活用語의 連体形에 붙음. 다만, 形容動詞는 語幹에 붙음》; 질문이나 의문의 뜻을 나타냄. …까. …ㄹ지. …ㄴ지; 반어(反語)의 뜻을 나타냄. …ㄴ가. …가; 〈「う」 「よう」나 부정의 말에 붙어〉 권유나 의뢰의 뜻을 나타냄. …ㄹ까. …ㄴ가; 뜻밖의 사태에 대한 놀라움을 나타냄. …구나. …야[냐]; 힐난의 뜻을 나타냄. …ㄴ가. …냐. …느냐; 다른 사람의 말·속담·시·글귀 등을 되새기면서 그 뜻을 스스로 확인하는 뜻을 나타냄. …라. …지
状態
상체. 상반신; 『생리학』 상퇴. 넓적다리. 〔반의어〕 下腿; 상태; 『언어학』; 보통 상태에 있는 몸; 『문어』 상태. 정상적 상태. 보통 상태
ぐらい
⇒ くらい
杯
술잔; ⇒ さかずきごと1.
一
일; 하나. 〔동의어〕一つ. 〔참고〕 증서 등에서는 갖은자인 「壱」을 씀; (사물의) 시초. 처음. 첫째. 최초. 〔동의어〕一番め; 최상. 최고. 으뜸. 〔동의어〕首位; (상투 등에서) 元結로 묶은 곳에서 뒤로 내민 부분; (三味線·거문고 등에서) 제일 낮은 음의 줄. 〔동의어〕一の糸; (많은 것 중) 한. 하나의. 한 사람의; (이렇다 할 만한 데가 없는) 하찮은. 어떠 한; 어떤. 한; 상당한. 버젓한; 시장. 저자. 장; (변하여) 시가. 거리. 〔동의어〕街; 지위(地位). 〔동의어〕地位; 위치; 지위. 입장
スプーン
스푼. 〔동의어〕さじ
止め
(사람이나 동물을 죽일 때) 마지막으로 목을 찌르거나 하여 완전히 숨통을 끊음
入れ
만들어 넣음. 끼워 넣음; 담는 그릇·상자 등
後は箸でゆっくりかき混ぜるだけ。
後
뒤. 후; (공간적으로) 뒤쪽. 후방. 등쪽; (시간적으로) 뒤. 나중. 다음; 현재로부터 거슬러 오른 때. 이전. 〔반의어〕 先; 뒷일. 후사(後事). 뒤처리. 사후(死後); 나머지; 후임(자). 후처(後妻); 후손. 자손. 1.2. 〔반의어〕 前·先; 자국. 발자국; 자취. 흔적. 종적. 행적; 필적(筆跡); 왕래. 인적(人跡); 가독(家督). 대(代); 터. 유적; 《고어》 선례(先例). 선인(先人)의 본보기
ゆっくり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천천히. 느긋하게; 충분히. 넉넉히. 여유있게. 〔동의어〕たっぷり
箸
『문어』 계단. 〔동의어〕きざはし; 끝. 끄트머리; 가. 가장자리; 일부분. 말단. 꼬리; 잘라낸 조각; 구석; 시초. 처음; 젓가락. 저; 다리. 교량; 『문어』 부리. 〔동의어〕くちばし; 《고어》 귀엽다. 사랑스럽다
できるだけ揚げカスとご飯を混ざるようにね。
混ざる
섞이다. 〔동의어〕まじる. 【문어 4단 활용 동사】
揚げ
〈흔히 조어 성분(造語成分)적으로 씀〉 올림. 〔반의어〕 下げ; 일본옷의 소매 길이나 기장을 줄이기 위해 어깨나 허리 부분을 징그는 주름. 〔동의어〕縫いあげ; 시세가 오름. 상승. 〔반의어〕 下げ; 기름에 튀기는 일. 또는 그 튀긴 음식; (손이) 기생·창녀를 부름
そしたら、 よく見ててね。
見
개; 건물을 세는 말. 채. 집; 아호(雅號)·옥호(屋號) 등에 쓰는 말; 주된 요리나 생선회에 곁들이는 야채·해초 등; 건. 사항. 사건; 같은 사항·사건 등의 수를 세는 말. 건; 『문어』; 보기만 하고 사지 않음. 〔동의어〕素見·ひやかし;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나타내는 쪽지. 표. 〔동의어〕切符; 그것이 가치·자격 등을 나타내는 쪽지임을 나타냄. 권; (여성의 용모·자태 등이) 곱고 아름다움; 『정치』 현. 일본 지방 행정 구역의 하나. ((한국의 도(道)에 해당함)) 〔참고〕 원래, 중국의 지방 행정 구역의 이름; 《接続詞적으로 씀》 겸; 양날의 칼. 검; 검술; 총검; 벌의 꽁무니에 있는 침. 또는 곤충의 암컷 꽁무니에 달린 침 모양의 산란기; 주먹. 〔동의어〕にぎりこぶし; 권법(拳法); 건; 역(易)의 8괘의 하나. 점대에 나오는 「☰」 모양. 〔반의어〕 坤; 하늘; 험준함. 또는 험준한 곳. 〔동의어〕難所; (눈빛·표정·말씨 등에 나타나는) 매서움. 사나움. 표독함; 주위를 에두른 곳. 동그라미. 원; 범위; 권. 한정된 지역. 일정한 범위; 『문어』 단단함. 견고함. 견고한 것; 칸; 사이. 특히, 건물의 기둥과 기둥 사이; (바둑판·장기판의) 눈. 또는 눈을 세는 말; 『생리학』 건. 힘줄; 『문어』 권력. 〔동의어〕権力·権限; 권리; 「聖」가 청주(淸酒)를 뜻하는 데 대하여, 탁주; 건. 건반. 키. 〔동의어〕キー; 『문어』 ⇒ けむ
そしたら
《속어》 ⇒ そうしたら
余熱でご飯が揚がるけど、 びっくりしないで。
びっくり
《「~する」의 꼴로 쓰는 일이 많음》 깜짝 놀람
揚がる
(위로) 오르다. 올라가다. 올라오다. 〔반의어〕 おりる; (욕탕에서) 나오다. 〔반의어〕 入る; (방에) 들어가다. 들어오다; (지위·정도 등이) 오르다; (어떤 상태가) 좋아지다. 〔반의어〕 下がる; 입학하다. 진학[진급]하다; (신불에게) 바쳐지다; (수입·이익·효과 등이) 거두어지다; 흥분하다. 상기하다; 「行く」 「訪ねる」의 겸사말; (가격 등이) 오르다. 비싸지다. 〔반의어〕 下がる; (겉보기가) 좋아지다; 끝나다. 마치다; (돈이) 들다. 먹히다; (물고기·초목이) 죽다. 말라 죽다; (쌍륙 등에서) 말이 날밭에 들어서다; 몰수당하다; (京都 시내에서) 북쪽으로 가다. ((황궁(皇宮)이 시내 북쪽에 있었기 때문임)) 〔반의어〕 下がる; (몸의 일부가) 위로 올라가다. 〔참고〕 「挙がる」로도 씀; 높이 솟아오르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일다. 왕성해지다; (배에서 뭍으로) 오르다. 상륙(上陸)하다. 〔참고〕 「揚がる」로도 씀.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動詞의 連用形에 붙어》; 동작이 끝남을 나타냄. 다 …하다. 끝나다; 동작·상태가 극도에 달함을 나타냄. 아주 …하다. 완전히 …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食べる」 「飲む」 「吸う」의 높임말》 드시다. 잡수시다. 〔동의어〕召しあがる.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범인이) 잡히다. 검거되다; (증거가) 드러나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튀겨지다. 【가능동사】 あが·れる 【하1단 활용 자동사】 【문어 4단 활용 동사】
余熱
예열.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미리 가열함.; 여열.; 잔서(殘暑).
ほら! 米粒に揚げカスがくっついていくのが分かるでしょう?
米
쌀
粒
낱알. 알; (도박에서) 주사위; 주판 알; 낱알을 세는 말. 알. 개
分かる
알다; 이해할 수 있다; 판명되다. 밝혀지다; 「分かれる」의 문어
揚げ
〈흔히 조어 성분(造語成分)적으로 씀〉 올림. 〔반의어〕 下げ; 일본옷의 소매 길이나 기장을 줄이기 위해 어깨나 허리 부분을 징그는 주름. 〔동의어〕縫いあげ; 시세가 오름. 상승. 〔반의어〕 下げ; 기름에 튀기는 일. 또는 그 튀긴 음식; (손이) 기생·창녀를 부름
しばらくくるくる掻き回して…
しばらく
잠깐. 잠시. 〔동의어〕しばし; 얼마 동안. 당분간; 〈「~です」의 꼴로〉 오래간만. 오랜만
くるくる
《副詞는 「~と」의 꼴로도 씀》; 물건이 가볍게 자꾸 도는 모양. 뱅글뱅글. 뱅뱅. 빙글빙글. 빙빙.; 긴 것을 몇 겹이고 감는 모양. 친친. 돌돌. 둘둘.; 쉬지 않고 바지런히 일하는 모양.; 동그랗고 귀여운 모양. 둥글둥글.
三十秒もすれば、 ほらこの通り! 元通りの綺麗な油に復活よ。
秒
병; 초; 각도·경도·위도의 단위; 묘; 사당. 영묘. 〔동의어〕おたまや; 조정. 묘당(廟堂); 압정(押釘). 대갈못. 〔동의어〕押しピン; 리벳. 〔동의어〕リベット; 극히 작음. 사소함. 하찮음. {문어·タリ 활용}; (수면·평원 등이) 끝없이 넓고 아득함. 멀리 퍼진 모양. {문어·タリ 활용}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十
‘그 동안 줄곧’이란 뜻을 나타냄. 내내; 그 범위 전체에 걸친다는 뜻을 나타냄; 십; 열. 〔동의어〕とお; 전부. 전체; 거주함; 거처. 처소; 『문어』 부드러움. 부드러운 것. 얌전함. 〔반의어〕 剛; 『문어』 중요한 것; 〈「お~」의 꼴로〉 찬합. 〔동의어〕重箱; 중; 무거움. 혹심함. 〔반의어〕 軽; 『화학』 산성염(酸性塩)임; 겹친 것을 세는 말. 중. 층; 종. 종자. 하인. 〔동의어〕とも·けらい. 〔반의어〕 主; ⇒ じゅ; 총; 짐승. 〔동의어〕けもの; 수. 짐승
通り
길. 한길. 도로; 통행. 내왕. 왕래; (액체·기체 등의) 흐름. 통함; 소리가 멀리까지 들리는 정도; 평판. 신용; 통함. 통용; 이해; 〈形式名詞적으로, 그와 같은 상태임을 나타냄〉 …대로임. …같음. …처럼. 〔참고〕 8.은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방법·수단·종류 등을 세는 데 씀》 …가지
三
『문어』; 마음 아파함. 몹시 슬퍼함. {문어·タリ 활용}; 『문어』 찬란함. 눈부심. 휘황하게 빛남. {문어·タリ 활용}; 《「さま」의 변한말》; 인명·직명에 붙어 경의를 나타냄. 또는 동물명 등에 붙여 친애의 뜻을 나타내기도 함. 님. 씨. 군. 양. 선생; 인사말 등에 붙어 공손한 기분을 나타냄. 〔참고〕 「様」보다 친근한 말씨; 산; 절 이름 앞에 곁들이는 말. 산호(山號); 산. 가루약; 三味線의 셋째 줄. 〔동의어〕三の糸. 〔참고〕 증서(證書) 등에 쓰는 갖은자는 「参」; 삼(三). 셋; 참가함. 옴; 선종(禪宗)에서 사람을 모아놓고 하는 좌선(坐禪)·설법·염불; 소매 없는 「じゅばん」. 속옷; (판자가 휘지 않도록 대는) 띳장; (문·장지·창 등의) 살; (사다리·망루·토대 등의) 가로장. 디딤판; 문의 비녀장; 출산(出産). 분만(分娩). ((보통 「お産」의 꼴로 씀)); 출생지. 출신지; 그 토지의 산물(産物). 산; 재산; 『문어』 잔. 술잔; 산가지. 〔동의어〕算木; 셈함. 계산함; 점대. (변하여) 점. 점괘; 가망. 공산. 예상. 계략. 수법; 찬; 인물·사물을 기리는 한문의 문장; 그림속에 곁들이는, 그림에 대한 시구(詩句). 화찬(畵讚); 논평. 비평; 초(醋). 신맛. 또는 맛이 심; 『화학』 산(酸). 〔반의어〕 アルカリ
元通り
《副詞적으로도 씀》 전과 같음. 원래대로임
綺麗
고움. 예쁨. 아름다움; 깨끗함. 정갈함. 맑음; 흠이 없음; 완전함. 남김없음; 깔끔함. 시원스러움. {문어·ナリ 활용 }
復活
부활; 죽은 사람이 되살아남. 소생함; 일단 폐지하였던 것을 다시 씀; 쇠퇴하였던 것이 다시 일어나 흥하게 됨
ご飯を入れる前の油と比べると…
比べる
비교하다. 비하다. 견주다. 겨누다; (우열을) 겨루다. 경쟁하다. 【문어형】 くら·ぶ {하2단 활용}
油
기름; (동물성·식물성·광물성의) 기름. 〔참고〕 상온(常溫)에서 액체인 것은 「油」, 고체인 것은 「脂」로 씀; 활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 특히 ‘술’을 이르는 경우가 많음; (동물의) 지방. 기름. 굳기름
前
전. 모든; 《名詞에 붙어 形容動詞를 만듦》 …연하다. …인 체하다; 전. 이전; 「紀元前」의 준말; 전; 바로 앞; ‘…에 앞선’ ‘…이 되기 이전의’의 뜻을 나타냄; 둘 중의 앞쪽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전; 앞. 이전. 〔반의어〕 後; 〈햇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년 앞’ ‘…년 전’의 뜻을 나타냄. 〔반의어〕 後; 선. 좋은[옳은] 일. 선행. 덕행(德行). 〔반의어〕 悪; 『불교』 선; 잡념을 떨치고 정신을 통일하여 무아지경에 이르러 진리를 깨달음; 「禅宗」의 준말; 「座禅」의 준말; 『문어』 서서히 진척되어가는 모양; (요리를 얹는) 상. 밥상. 요리가 차려진 상. 〔동의어〕お膳; (밥·국 등) 공기에 담은 것을 세는 말. 공기; 젓가락 한 쌍을 세는 말. 벌
入れる
넣다. 들어가게 하다. 들이다; 수용하다. 넣다; 입학시키다. 넣다; 입원시키다; 고용하다. 채용하다; 끼워 주다; 듣다; 포함시키다. 넣다; 끼워 넣다. 박다; 개입하다. 참견하다. 방해하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들이다. 쏟아 넣다; 걸다; 품다. 두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구입하다; 납품하다; 손질하다. 수정하다; (도구를 써서) 일하다; 받아들이다. 〔참고〕 「容れる」로도 씀; 입금시키다; 투표하다; 〈「身を~」 「心を~」의 꼴로〉 전념하다. 몰두하다. 힘을 기울이다; (차 등을) 달이다. 내다; (전기 등을) 작동시키다. 켜다. 【문어형】 い·る {하2단 활용}; 볶이다. 볶아지다; 초조해지다. 〔동의어〕じれる
ご覧の通り!
通り
길. 한길. 도로; 통행. 내왕. 왕래; (액체·기체 등의) 흐름. 통함; 소리가 멀리까지 들리는 정도; 평판. 신용; 통함. 통용; 이해; 〈形式名詞적으로, 그와 같은 상태임을 나타냄〉 …대로임. …같음. …처럼. 〔참고〕 8.은 「かな」로 쓰는 일이 많음; 《수를 나타내는 말에 붙어 방법·수단·종류 등을 세는 데 씀》 …가지
この技さえ使えば、 もう天ぷらの揚げカスなんて怖くない!
なんて
의문·영탄의 뜻을 나타냄. 무어라고. 어쩌면 그렇게; 《「なんという」의 준말》 이렇다 할. 무어라고 할; 《副助詞 「など」에 格助詞 「と」가 붙은 「などと」의 변한말. 体言 또는 体言에 준하는 말 또는 活用語의 終止形에 붙음》; …라는 둥. …라느니 하는; 따위. …같은 것. 〔동의어〕なんか; 의외·놀람·비판의 뜻을 나타냄. …이라니. …하다니
技
기. (명사에 붙어) ‘기분’ ‘성미’ ‘기질’의 뜻을 나타냄; 옷; 『문어』 기생. 기녀. 유녀(遊女). 〔동의어〕あそびめ; 『문어』 솜씨. 기예. 〔동의어〕わざ; 거짓. 허위(虛僞). 〔동의어〕いつわり. 〔반의어〕 真; 『논리학』 어떤 명제(命題)가 잘못된 것. 〔참고〕 기호는 「f」로 표시함; 가짜인; 『문어』; 의로움. 옳은 일. 인도(人道); 의미. 의의; 조리. 이유; 혈연 이외의 사람과의 결연 관계; 남남끼리 맺는 혈족 같은 관계; 『문어』 의심. 확실하지 않음. 〔동의어〕うたがい; 의식. 예식; 일. 건(件). 까닭; 〈사람을 나타내는 体言에 붙어〉 …에 관해서는; 모양이 닮은 것. 모형. 기계; 연기(演技); 『문어』 정분. 정의(情誼). 〔동의어〕よしみ; 상의. 의논; 제안. 제의. 안(案)
揚げ
〈흔히 조어 성분(造語成分)적으로 씀〉 올림. 〔반의어〕 下げ; 일본옷의 소매 길이나 기장을 줄이기 위해 어깨나 허리 부분을 징그는 주름. 〔동의어〕縫いあげ; 시세가 오름. 상승. 〔반의어〕 下げ; 기름에 튀기는 일. 또는 그 튀긴 음식; (손이) 기생·창녀를 부름
うん、 ナイスハック!
「辞職勧告」改めて反論 「戦争で」発言の丸山議員
冬のうた
「スレッズ」登録者1億人超 ザッカーバーグCEO「5日で達成 信じられない」(2023年7月11日)
宇都宮ライトレール 来夏の開業目指し試運転(2022年11月17日)
暑すぎる!!!から涼しくなれそうなもの買ってきた!
ネット通販で偽物商品 「代引き」悪用に注意(2023年5月3日)
警報級大雪の恐れ 関東甲信で大雪 23区も積雪予想(2024年2月5日)
長崎でサクラ開花 お待ちかね「桜前線」スタート
日本語で食べ物を言ってみよう Learn Japanese food names
「車が流された」と通報も 千葉県で氾濫危険情報
You need to upgrade to a premium account to using this feature
Are you sure you want to test again?
Please upgrade your account to read unlimited newspapers
Copyright © 2018 Todaii Japanese
Design by EUP | Privacy policy | Terms of use | Refund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