近年、わが国では、物事を解説したり、考え方や視点を明確に伝えたりする際に、難解な言葉や文章を使うことは敬遠され、よりわかりやすい言葉や文章、語りが求められる傾向が頭者である。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사물이나 생각, 의견을 명확하게 전달할 때 어려운 단어나 문장 사용을 피하고, 그 대신 이해하기 쉬운 단어나 문장, 표현 방법이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テレビの番組などでニュース解説を担当するキャスターの中には、そのわかりやすい解説で人気を博す者もある。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뉴스 해설을 담당하는 아나운서 중에는 알기 쉬운 해설로 유명한 사람도 있습니다.
わかりやすさは確かに重要であり、学校の授業でもよい授業、子供たちの効果のよい学習活動が展開される授業における指導者の言葉や解説は、わかりやすく的確である。
명확성은 정말로 중요하며, 학교 수업에서 아이들의 학습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좋은 수업에서는 교사의 이야기나 설명도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さらに各種の映像装置を駆使するなど、わかりやすさを実現するための技術も進歩している。
또한, 다양한 시각 장비를 최대한 활용하는 등 이해하기 쉬운 기술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そこでは、言葉が思考と伝達のための主たる役目を担うことになるが、そのわかりやすさはときとして、受け取る側の思考の多様性や広がり、深まりを妨害することがある。
그곳에서는 언어가 주로 사고와 전달의 역할을 하고 있지만, 그 명확함이 때로는 수용자의 사고의 다양성, 확장성, 그리고 깊이를 방해할 때도 있습니다.
わかりにくいものとわかりやすいものがあれば、人は当然わかりやすい方を選択する。
어려운 일과 쉬운 일이 있을 때, 사람은 당연히 쉬운 일을 선택합니다.
わかりやすく的確な言葉は、そのまま学習者の中に蓄えられる。
명확하고 정확한 말은 배우는 사람의 마음에 그대로 남습니다.
そして、多くの人はその時点で学習が終了したと考えるのである。
그리고 많은 사람들은 그 시점에서 배움이 끝났다고 생각합니다.
わからなかったことがわかった、新しい知識を得た、これが学習の最終段階だと思ってしまうのである。
그들은 미지의 것을 이해하고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학습의 최종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しかしそれは、自身の中にその解説を発した人の言葉や考えを取り入れたにすぎない。
하지만, 그것은 단지 설명자의 말이나 생각을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에 불과합니다.
「学びの真正性」とは、そこから自身の新たな思考を広げ、それらが表現される段階まで進むことである。
학습의 진정성이란, 자신만의 새로운 사고를 확장시키고, 그것이 표현되는 단계로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