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年6月、ハワイの森林において、生分解性容器に約1,000匹ずつ封入された蚊が、ドローンによって上空から投下されるという前例のない取り組みが開始された。
2023년 6월, 하와이의 숲에서 전례 없는 시도가 이루어졌습니다. 약 1000마리의 모기를 생분해성 상자에 가둬 드론을 이용해 공중에서 방출한 것입니다.
これらの蚊は、通常の蚊とは異なり、実験室で飼育された刺咬性のないオスであり、「ボルバキア」と呼ばれる細菌に感染している。
이 모기들은 쏠 수 없는 수컷 모기로, 실험실에서 사육되었으며 월바키아라는 이름의 박테리아에 감염되어 있습니다.
この細菌に感染したオスが野生のメスと交尾した場合、その卵は孵化しないことから、蚊の個体数を大幅に抑制することが期待されている。
이 박테리아에 감염된 수컷 모기가 야생 암컷 모기와 교미하면 알이 부화하지 않아, 그로 인해 모기 수를 크게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この試みの背景には、ハワイ固有の鳥類であるハワイミツスイの絶滅危機がある。
이 노력의 배경에는 하와이 고유의 새인 하와이밀화부리의 멸종 위기가 있습니다.
ハワイミツスイは、花粉や種子の運搬を担い、ハワイの生態系および文化にとって極めて重要な存在である。
이 새는 꽃가루와 씨앗의 운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하와이의 생태계와 문화에 매우 중요합니다.
しかし、かつて50種以上が生息していたものの、現在ではわずか17種しか確認されておらず、その多くが絶滅の危機に瀕している。
하지만, 이전에는 50종 이상이 존재했으나 현재 확인된 것은 겨우 17종에 불과하며, 그 대부분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特に「アキキキ」や「アケケエ」といった種は、生息数が著しく減少し、生態系における役割を果たせなくなっている。
특히, 아키키키나 아케케와 같은 종들은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생태계에서의 역할을 더 이상 수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鳥類の存続に最大の脅威となっているのが、蚊が媒介する鳥マラリアである。
조류의 생존에 대한 가장 큰 위협은 모기에 의해 매개되는 조류 말라리아입니다.
ハワイの蚊は、19世紀初頭に外来種として持ち込まれたと考えられており、在来鳥類には鳥マラリアへの免疫がない。
하와이의 모기는 19세기 초에 유입된 외래종으로 여겨지며, 토착 조류는 조류 말라리아에 대한 면역이 없습니다.
そのため、ファーマー氏によれば、多くのハワイミツスイが高山地帯に避難を余儀なくされたが、近年の気候変動による気温上昇により、蚊の生息域が拡大し、山岳地帯でも蚊が確認されるようになっている。
파머 씨에 따르면, 많은 하와이의 미츠스이 종들은 고지대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지만, 최근의 기후 변화와 기온 상승으로 모기의 서식 범위가 확장되어 산악 지대에서도 모기가 확인되기 시작했다.
これに伴い、鳥類の生息地はさらに狭まり、絶滅の危機が一層深刻化している。
따라서 조류의 서식 환경은 점점 더 좁아지고 있으며, 멸종 위기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こうした状況を打開するため、専門家たちは蚊の個体数制御を目指し、様々な対策を講じてきた。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모기의 수를 조절하기 위해 많은 대책을 시행했습니다.
しかし、殺虫剤の使用は、イトトンボやショウジョウバエなどの在来昆虫にも悪影響を及ぼすため、広範囲での適用は困難であった。
하지만 농약의 사용은 실잠자리나 초파리와 같은 토착 곤충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광범위하게 적용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その中で注目されたのが、「不適合昆虫技術(IIT)」と呼ばれる手法である。
이러한 상황에서 부적합 곤충 기술IIT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これは、ボルバキア感染オスを野生に放つことで、蚊の繁殖を阻害し、個体数を減少させるもので、環境への負荷が少ないとされている。
이 방법은 Wolbachia에 감염된 수컷 모기를 자연에 방사함으로써 모기의 번식을 막고, 환경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모기 수를 줄입니다.
米鳥類保護協会(ABC)は2016年より、多機関パートナーシップ「バーズ・ノット・モスキートーズ」と協力し、IITのハワイへの適用を進めてきた。
미국조류보호협회ABC는 2016년부터 여러 기관이 참여한 연합체인 Birds, Not Mosquitoes와 협력하여 하와이에서 IIT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ボルバキアの株の選定や、地域社会との合意形成、行政手続きなど、多くの課題を克服したのち、2022年には米カリフォルニア州の実験施設で本格的な蚊の飼育が開始された。
많은 과제, 예를 들어 월바키아 균주의 선정, 지역 커뮤니티와의 합의 형성, 행정 절차 등을 극복한 후, 2022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실험 시설에서 대규모 모기 사육이 시작되었습니다.
2023年からは、ヘリコプターやドローンを用いて、マウイ島およびカウアイ島に毎週50万匹ずつの蚊の投下が実施されている。
2023년부터 매주 50만 마리의 모기가 헬리콥터와 드론을 통해 마우이섬과 카우아이섬에 방사되고 있습니다.
この取り組みは、環境保全を目的としたIITの世界初の事例であり、他地域への応用も期待されている。
이것은 환경 보호를 목적으로 IIT를 도입한 세계 최초의 사례이며, 다른 지역에도 적용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しかし、ハワイの蚊が外来種で生態系への影響が限定的である一方、在来種の蚊が存在する地域では、慎重な検討が不可欠である。
단, 하와이의 모기는 외래종이며 생태계에 대한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지만, 토착 모기가 서식하는 지역에서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加えて、山岳地帯特有の地形や変わりやすい天候、ヘリコプターの運用コストなど、運用上の課題も多い。
또한, 산악 지대 특유의 지형과 기상 변화가 심한 점, 그리고 헬리콥터 운용 비용도 큰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そのため、ドローンの導入によって柔軟な対応やコスト削減、安全性の向上が図られている。
따라서 무인항공기의 활용은 유연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안전성을 향상시킵니다.
ファーマー氏によれば、IITの効果が明らかになるまでには約1年を要する見通しだが、蚊の個体数が抑制されれば、ハワイミツスイが生息数を回復し、遺伝的多様性を高める猶予が生まれる可能性がある。
파머 씨에 따르면, IIT의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나기까지는 약 1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지만, 만약 모기의 수를 통제할 수 있다면 하와이꿀먹이새는 개체 수를 회복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높일 시간을 얻을 수 있습니다.
また、鳥マラリアへの耐性を獲得する個体も出現しつつあり、将来的には人工飼育個体の野生復帰も視野に入る。
또한, 조류에서 말라리아에 내성을 가진 개체가 나타나기 시작했으며, 앞으로는 인공 사육된 개체를 자연에 다시 방사하는 것도 검토되고 있습니다.
ファーマー氏は「今後10年がハワイミツスイ保全の分水嶺であり、私たちの取り組みが世界と未来に変化をもたらすことを願っている」と語っている。
파머 씨는 앞으로 10년은 하와이꿀새 보호에 있어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우리의 노력이 세계와 미래에 변화를 가져오길 바랍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