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 ムン大統領 「徴用」をめぐる問題などの演説内容注目

한국, 문대통령 ‘징용’을 둘러싼 문제 등의 연설내용 주목

한국, 문대통령 ‘징용’을 둘러싼 문제 등의 연설내용 주목
韓国では、日本の植民地支配から解放されて75年となる15日、ムン・ジェイン(文在寅)大統領が演説を行います

한국에서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된지 75년이 되는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연설을 합니다.

한국에서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된지 75년이 되는 15일, 문재인 대통령이 연설을 합니다.
太平洋戦争中の「徴用」をめぐる問題などで日韓関係が悪化する中、どのようなメッセージを打ち出すのかが焦点となっています

태평양전쟁 중의 ‘징용’을 둘러싼 문제 등으로 한일관계가 악화되는 중에, 어떤 메세지를 내세울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태평양전쟁 중의 ‘징용’을 둘러싼 문제 등으로 한일관계가 악화되는 중에, 어떤 메세지를 내세울지가 주목되고 있습니다.
韓国では、朝鮮半島が日本の植民地支配から解放された8月15日は「光復節」と呼ばれる祝日で、ムン・ジェイン大統領は、15日午前10時からソウルで開かれる式典で演説を行う予定です

한국에서는, 조선 반도가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된 8월 15일은 ‘광복절’이라 불리는 경축일로,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오전 10시부터 서울에서 열리는 행사에서 연설을 할 예정입니다.

한국에서는, 조선 반도가 일본의 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된 8월 15일은 ‘광복절’이라 불리는 경축일로, 문재인 대통령은, 15일 오전 10시부터 서울에서 열리는 행사에서 연설을 할 예정입니다.
ムン大統領は1年前の演説で、「日本が対話と協力の道に出てくるならば、われわれは喜んで手を握るだろう」と述べ、話し合いによる懸案の解決を呼びかけました

문대통령은 1년 전의 연설에서,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대화에 의한 현안의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문대통령은 1년 전의 연설에서, “일본이 대화와 협력의 길로 나온다면, 우리는 기꺼이 손을 잡을 것이다”라고 말하며, 대화에 의한 현안의 해결을 촉구했습니다.
しかし、日韓の間では、太平洋戦争中の「徴用」をめぐる問題で、韓国の裁判所が日本企業の資産の差し押さえを命じ、「現金化」に向けた手続きに入る見通しです

하지만, 한일의 사이에서는, 태평양전쟁 중의 ‘징용’을 둘러싼 문제로, 한국의 법원이 일본기업의 자산 압류를 명해, ‘현금화’를 향한 절차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하지만, 한일의 사이에서는, 태평양전쟁 중의 ‘징용’을 둘러싼 문제로, 한국의 법원이 일본기업의 자산 압류를 명해, ‘현금화’를 향한 절차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ムン政権は、司法判断を尊重するとして、日本側が受け入れられる解決策を示す姿勢を見せておらず、日本企業に実害が及ぶことになれば、日韓関係が根底から揺らぎかねないと懸念されています

문 정권은, 사법판단을 존중한다고 하며, 일본 측이 받아들여지는 해결책을 보이는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일본기업에 실질적 피해가 미치게 되면, 한일관계가 뿌리부터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되고 있습니다.

문 정권은, 사법판단을 존중한다고 하며, 일본 측이 받아들여지는 해결책을 보이는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일본기업에 실질적 피해가 미치게 되면, 한일관계가 뿌리부터 흔들릴 수 있다고 우려되고 있습니다.
また、ムン政権は、韓国向けの輸出管理を厳しくした日本政府の措置に対し、WTO=世界貿易機関に提訴したほか、日韓の軍事情報包括保護協定=GSOMIAについても、「いつでも破棄できる」という立場を変えていません

또한, 문 정권은, 한국을 향한 수출관리를 엄격하게 했던 일본정부의 조치에 대해, WTO = 세계무역기관에 제소하는 한편, 한일의 군사정보포괄보호협력 = GSOMIA에 대해서도, “언제든 파기할 수 있다” 라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습니다.

또한, 문 정권은, 한국을 향한 수출관리를 엄격하게 했던 일본정부의 조치에 대해, WTO = 세계무역기관에 제소하는 한편, 한일의 군사정보포괄보호협력 = GSOMIA에 대해서도, “언제든 파기할 수 있다” 라는 입장을 바꾸지 않고 있습니다.
日韓関係は「戦後最悪」とも言われる中、残る任期が1年9か月となったムン大統領が、15日の演説でどのようなメッセージを打ち出すのかが焦点となっています

한일관계는 ‘전쟁 후 최악’이라고 불리는 지금, 남은 임기가 1년 9개월이 된 문대통령이 15일 연설에서 어떤 메세지를 주장할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습니다.

한일관계는 ‘전쟁 후 최악’이라고 불리는 지금, 남은 임기가 1년 9개월이 된 문대통령이 15일 연설에서 어떤 메세지를 주장할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