来年春に
就職">
就職を
希望する
高校生の
採用試験が、
16日から
全国一斉に
始まりました。
내년 봄에 취업을 희망하는 고등학생들의 채용 시험이 16일부터 전국적으로 일제히 시작되었습니다.
ことしも
人手不足などを
背景に、
生徒が
就職しやすい「
売手市場」となっています。
올해도 인력 부족 등을 배경으로 학생들이 취업하기 쉬운 구직자 우위 시장이 되고 있습니다.
このうち、埼玉県川口市にある従業員およそ70人のリサイクル機械メーカーでも採用試験が行われ、地元の男子高校生が面接に臨みました。
이 중 사이타마현 가와구치시에 있는 직원 약 70명의 재활용 기계 제조업체에서도 채용시험이 실시되어, 지역 남자 고등학생이 면접에 임했습니다.
高校生は緊張した面持ちでしたが、学校で溶接を学んでいることや、部活動">活動にも励んできたことをアピールしていました。
고등학생은 긴장한 표정이었지만, 학교에서 용접을 배우고 있다는 것과 동아리 활동에도 열심히 참여해 왔다는 점을 어필하고 있었습니다.
厚生労働省によりますと、来年春に就職を希望する全国の高校生は、ことし7月末">月末の時点で12万6474人なのに対し、企業からの求人数は46万6921人で、求人倍率は3。후생노동성에 따르면, 내년 봄에 취업을 희망하는 전국의 고등학생은 올해 7월 말 시점에서 12만 6,474명인 반면, 기업의 구인 인원은 46만 6,921명으로, 구인 배율은 3입니다.
69倍となっています。
これは去年とほぼ同じ水準で、引き続き、企業からの求人数が就職を希望する高校生の数を大きく上回る「売手市場」となっています。
이는 작년과 거의 같은 수준으로, 계속해서 기업의 구인 수가 취업을 희망하는 고등학생 수를 크게 웃도는 구직자 우위 시장이 되고 있습니다.
特に製造業の求人数は14万6000人余りと、全体の3割以上を占めていて、ここ数年は、大企業の求人も増え、中小企業の人材確保は厳しさを増しています。
특히 제조업의 구인 수는 14만 6천여 명으로 전체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몇 년간 대기업의 구인도 증가하여 중소기업의 인재 확보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16日採用試験を行った川口市の機械メーカーでは、ことしから高卒採用の担当者を新たに設けるなどして人材の獲得に力を入れていますが、4人の募集に対し、応募者は今のところ、1人となっています。
16일 채용시험을 실시한 가와구치시의 기계 제조업체에서는 올해부터 고졸 채용 담당자를 새로 두는 등 인재 확보에 힘쓰고 있지만, 4명을 모집한 데 비해 현재까지 지원자는 1명에 그치고 있습니다.
「日本シーム」の採用担当、藤田玲未さんは「今後も多くの生徒に社">会社の魅力を知ってもらえるよう、インターネットも活用しながら情報を発信していきたい」と話していました。
일본심의 채용 담당자인 후지타 레이미 씨는 앞으로도 더 많은 학생들에게 회사의 매력을 알릴 수 있도록, 인터넷도 활용하면서 정보를 발신해 나가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QA】高校生の就活「1人1社制」とは
高校生の就活は、「1人1社制」など、大学生とは異なるルールやスケジュールで進められます。
고등학생의 취업활동 1인 1사 제도란 고등학생의 취업활동은 1인 1사 제도 등 대학생과는 다른 규칙과 일정으로 진행됩니다.
できるだけ短期間に就職先を決め、学業への影響を抑えることなどがねらいですが、売り手市場が続く中、見直しを求める声も上がっています。
가능한 한 단기간에 취업처를 정하고 학업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구직자 우위 시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재검토를 요구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国や専門家などへの取材を通じて労働担当の大野敬太記者が伝えします。
국가나 전문가 등에게 취재를 통해 노동 담당 오노 케이타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Q。
どんなスケジュールで
進められるの?
A。
まず
7月1日に
各学校に
企業からの
求人票が
届きます。
우선 7월 1일에 각 학교로 기업에서 온 구인표가 도착합니다.
生徒はこの求人票に目を通した上で、夏休みに職場見学を行うなどして希望の企業を選んでいきます。
학생들은 이 구인표를 확인한 후, 여름방학에 직장 견학을 하는 등 희망하는 기업을 선택해 나갑니다.
そして、沖縄県は8月30日、それ以外の都道府県は9月5日から応募用紙を企業側に提出でき、9月16日から採用試験が始まります。
그리고 오키나와현은 8월 30일, 그 외의 도도부현은 9월 5일부터 지원서를 기업 측에 제출할 수 있으며, 9월 16일부터 채용 시험이 시작됩니다.
Q。
高校生特有の
就活ルールとは?
A。
特に
大きいのは「
1人1社制」と
呼ばれるルールです。
특히 큰 것은 1인 1사제라고 불리는 규칙입니다.
これは都道府県や学校、それに産業界などの申し合わせで、原則一定期間、1人の生徒が応募できる企業は1社だけとするもので、41の都道府県で実施されています(令和7年6月現在)。
이것은 도도부현이나 학교, 그리고 산업계 등의 합의에 따라 원칙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한 명의 학생이 지원할 수 있는 기업을 한 곳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41개 도도부현에서 시행되고 있습니다2025년 6월 현재.
一方、最初から複数の企業に応募可能なのは、秋田県、茨城県、埼玉県、大阪府、和歌山県、それに沖縄県です。
한편, 처음부터 여러 기업에 지원할 수 있는 곳은 아키타현, 이바라키현, 사이타마현, 오사카부, 와카야마현, 그리고 오키나와현입니다.
この1人1社制のねらいは、競合をできるかぎり抑えて短期間で内定を得やすくし、生徒の負担や学業への影響を抑えるためなどとされています。
이 1인 1사 제도의 목적은 경쟁을 최대한 억제하여 단기간에 내정을 받기 쉽게 하고, 학생들의 부담이나 학업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한 것 등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例えば、複数の企業へ応募すると、企業の研究や応募用紙の作成に時間を要す可能性がある上、仮に求人が少ない状況に陥った場合でも、多くの生徒に比較的公平に応募の機会が与えられるとされています。
예를 들어, 여러 기업에 지원할 경우, 기업 조사나 지원서 작성에 시간이 걸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약 구인 공고가 적은 상황에 처하더라도 많은 학생들에게 비교적 공평하게 지원 기회가 주어진다고 합니다.
一方で、現行のルールは
▽高校生の主体性を過度に制限している
あるいは▽新たに高校生の採用に乗り出そうとする企業が参入しにくいなどという指摘もあります。
한편, 현행 규칙은 △고등학생의 주체성을 과도하게 제한하고 있다거나 △새롭게 고등학생 채용에 나서려는 기업이 진입하기 어렵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特に最近は、企業からの求人が増え売手市場となっているため、「1人1社制」を行う地域でも、その期間を短縮する動きが広がってきています。
특히 최근에는 기업의 구인 수요가 증가하여 구직자 우위 시장이 되고 있기 때문에, 1인 1사 제도를 시행하는 지역에서도 그 기간을 단축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現在では、1人1社とする期間を「9月末まで」とするところが多く、長い所でも「10月末まで」となっています。
현재는 1인 1사 원칙을 적용하는 기간이 ‘9월 말까지’인 곳이 많으며, 길어도 ‘10월 말까지’로 정해져 있습니다.
高校生には自分にあった企業を十分に検討して就職先を選んでほしい
そのマッチングでいうと、1つ気がかりなデータがあります。
고등학생들에게는 자신에게 맞는 기업을 충분히 검토하여 취업처를 선택해주었으면 합니다. 이 매칭과 관련해서 한 가지 신경 쓰이는 데이터가 있습니다.
令和5年3月に高校を卒業して就職した人のうち、1年以内に離職した割合は17。2023년 3월에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취업한 사람 중 1년 이내에 퇴직한 비율은 17%입니다.
4%と、大卒の10。9%と比べて6。5ポイント高くなっています。
高校生が企業についての十分な情報をえないまま就職してミスマッチが起きているという指摘も出ています。
고등학생들이 기업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얻지 못한 채 취업하여 미스매치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こうした声を受けて、高校生の就職先の選択の幅を広げようという検討も始まっています。
이러한 목소리를 반영하여, 고등학생들의 취업 선택의 폭을 넓히기 위한 논의도 시작되고 있습니다.
ことし5月の国の規制改革推進会議の答申では、
▽求人票の公開時期を例えば1~2か月前倒しすることや
▽高卒向けの求人情報をWEB上で広く一般に公開することなどを検討するよう求めました。
올해 5월 국가 규제개혁추진회의의 권고에서는, ▲ 구인표 공개 시기를 예를 들어 1~2개월 앞당기는 것과 ▲ 고졸 대상 구인 정보를 웹상에 널리 일반에게 공개하는 것 등을 검토하도록 요청했습니다.
売手市場が続く今こそ、高校生がより多くの企業を知り、自分にあった就職先を十分に検討できる仕組みを、それぞれの地域で考えていく必要があります。
지금과 같이 판매자 시장이 계속되는 상황에서는, 고등학생들이 더 많은 기업을 알고 자신에게 맞는 취업처를 충분히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각 지역에서 마련해 나갈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