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郷を
離れ
戦地に
赴いた
兵士たちは
いつどこで
亡くなったのか。
고향을 떠나 전장에 나간 병사들은 언제 어디서 죽었는가
戦後80年となることし、兵士が亡くなった場所やその日付を、AIなどのデジタル技術で解析しました。
올해는 종전 80주년이 되는 해로, 병사가 사망한 장소와 그 날짜를 AI 등 디지털 기술로 분석했습니다.
そこから見えてきたのは、戦争が終わってからも続く悲惨な実態でした。
전쟁이 끝난 후에도 계속되는 비참한 실상이었습니다.
福岡市中央区に、ある名簿が保管されています。
후쿠오카시 주오구에 어떤 명부가 보관되어 있습니다.
「福岡県戦没者名簿」。
今から30年前、戦後50年の節目に、福岡県遺族連合会が福岡出身やゆかりの戦没者の記録をとりまとめた資料です。
30년 전, 전후 50년의 기념으로, 후쿠오카현 유족연합회가 후쿠오카 출신 및 인연이 있는 전몰자의 기록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6万4000人を超える兵士たちがどこで亡くなったのかや、亡くなった日付、そして遺族の名前などが記録されています。
6만 4천 명이 넘는 병사들이 어디에서 사망했는지, 사망한 날짜, 그리고 유가족의 이름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戦後80年となることし、NHKは福岡市に本社がある西日本新聞社と連携し、貴重な資料のデジタル化に取り組みました。
올해로 전후 80년이 되는 가운데, NHK는 후쿠오카시에 본사가 있는 니시니혼 신문사와 협력하여 소중한 자료의 디지털화에 힘썼습니다.
AIでデジタルデータ化
今回私たちは、遺族連合会から許可を得て、冊子1ページ1ページをスキャンし、その画像データをAIで解析しました。
AI로 디지털 데이터화 이번에 저희는 유족 연합회로부터 허가를 받아, 책자 한 페이지 한 페이지를 스캔하고, 그 이미지 데이터를 AI로 분석했습니다.
個人情報に配慮したうえで、ページに記載されている兵士たち一人一人の戦没地とその日時を、データとして抽出し、集計・分析が可能なデジタルデータベースとして整理しました。
개인 정보를 고려한 후, 페이지에 기재된 병사 한 명 한 명의 전사 장소와 그 날짜를 데이터로 추출하여, 집계 및 분석이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베이스로 정리하였습니다.
抽出できたのはおよそ6万1000人分の記録。
약 6만 1천 명분의 기록을 추출할 수 있었습니다.
彼らがいつ
亡くなったのか、
集計し
分析すると、
兵士たちの
悲惨な
最期の
痕跡が
見えてきました。
그들이 언제 사망했는지 집계하고 분석해보니, 병사들의 비참한 최후의 흔적이 드러났습니다.
終戦前1年に死者が集中
兵士たちがいつ亡くなったのかを月別">月別にまとめたグラフです。
종전 전 1년에 사망자가 집중된 병사들이 언제 사망했는지를 월별로 정리한 그래프입니다.
1944年と1945年に亡くなった兵士たちの数が急増。
1944년과 1945년에 사망한 병사들의 수가 급증했다.
全体の
半数近くにあたる
2万9000人余りが
終戦までの1
年間に
亡くなっていたことが
分かりました。
종전까지 1년 동안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2만 9천여 명이 사망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激戦地で死者が急増
いつ亡くなったか、どこで亡くなったのか、データベースから可視化しました。
격전지에서 사망자가 급증, 언제 사망했는지, 어디에서 사망했는지 데이터베이스에서 시각화했습니다.
記載された「戦没地」の表記をもとに、大きく7つに分類したグラフがこちらです。
기재된 전몰지의 표기를 바탕으로 크게 7가지로 분류한 그래프가 여기 있습니다.
出征した兵士たちは故郷から遠く離れたさまざまな場所で亡くなっていました。
출정한 병사들은 고향에서 멀리 떨어진 여러 곳에서 목숨을 잃고 있었습니다.
亡くなった兵士の数が最も多かった1945年3月は「フィリピン」「ビルマ(現在のミャンマー)」に加えて、日米両軍で激しい戦闘が行われた「硫黄島」が多くなっていました。
1945년 3월, 전사한 병사의 수가 가장 많았던 시기는 필리핀, 버마현재의 미얀마에 더해, 일본과 미국 양군이 치열하게 전투를 벌인 이오지마에서도 많은 전사자가 있었습니다.
次いで多かったのは、1945年6月。
그 다음으로 많았던 것은 1945년 6월이었다.
「
沖縄」で
亡くなった
人たちが
急増していました。
오키나와에서 사망한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었습니다.
また、1944年6月から9月にかけて「ビルマ」で亡くなった人が多くなっていました。
또한, 1944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버마에서 사망한 사람이 많아지고 있었습니다.
これは何を物語っているのか。
専門家とともに
読み
解きました。
補給なく餓死・病死か
なぜ、1944年6月以降にビルマで亡くなった兵士が急増しているのか。
보급 없이 아사・병사인가, 왜 1944년 6월 이후 버마에서 사망한 병사가 급증하고 있는가
軍事史の専門家で、明治大学平和教育登戸研究所資料館の館長もつとめる山田朗教授は、背景には「インパール作戦」があるといいます。
군사사 전문가이자 메이지대학교 평화교육 노보리토 연구소 자료관 관장을 맡고 있는 야마다 아키ラ 교수는, 그 배경에는 임팔 작전이 있다고 말합니다.
インパール作戦は、当時ビルマを占領していた旧日本軍が隣国インド北東部の攻略を目指した作戦です。
임팔 작전은 당시 버마를 점령하고 있던 옛 일본군이 이웃나라 인도 북동부의 공략을 목표로 한 작전입니다.
補給を度外視した作戦は惨敗に終わり、その後の撤退でも大勢の兵士が命を落としました。
보급을 무시한 작전은 참패로 끝났고, 그 후의 철수에서도 많은 병사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山田朗教授
「インパール作戦の失敗で日本側の防衛ラインが総崩れになってしまった。
야마다 아키ラ 교수: 임팔 작전의 실패로 일본 측의 방어선이 완전히 무너져 버렸다.
作戦自体は
7月に
中止になっているが、その
後ビルマに
侵入してきたイギリス
軍との
戦闘が
継続したことに
加えて、
日本軍が
撤退するなかで、
補給もなく、けがや
病気になった
兵士のケアがうまくできずに
どんどん犠牲が
増えていったことが
読み
取れます」
山田教授は1944年9月のデータにも注目しました。
작전 자체는 7월에 중지되었지만, 그 후 버마에 침입해온 영국군과의 전투가 계속된 데다가, 일본군이 철수하는 과정에서 보급도 없고 부상이나 질병에 걸린 병사들을 제대로 돌볼 수 없어 희생자가 점점 늘어났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야마다 교수는 1944년 9월의 데이터에도 주목했습니다.
特定の日付に亡くなった兵士たちが突出して多くなっていて、あまり知られていない過酷な戦いが関係していることが推測されるとしています。
특정 날짜에 사망한 병사들이 유난히 많아, 잘 알려지지 않은 가혹한 전투가 관련되어 있을 것으로 추測된다고 하고 있습니다.
「拉孟・騰越(らもう・とうえつ)の戦い」。
ビルマでの劣勢が続く中、中国の雲南省にある国境付近の2つの町で旧日本軍の守備隊が”玉砕”したとされる戦闘です。
버마에서의 열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중국 윈난성에 있는 국경 부근의 두 마을에서 구 일본군의 수비대가 옥쇄한 것으로 알려진 전투입니다.
この日亡くなった兵士の記録にも戦没地として「拉孟」「騰越」と書かれた人がいました。
이 날 사망한 병사의 기록에도 전사지로서 라멍, 텅위라고 적힌 사람이 있었습니다.
山田教授
「救援がないなかで後退もできず、部隊が全滅してしまったことで、その時点に犠牲者が急激に増えていると考えられます。
야마다 교수: 구원이 없는 상황에서 후퇴도 할 수 없었고, 부대가 전멸해 버렸기 때문에 그 시점에 희생자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생각됩니다.
同
じように
1945年3月の
硫黄島でも、
逃げ
場がない
島という
環境の
中で
旧日本軍が
玉砕していて、グラフでもその
時期に
死者が
急増していると
考えられます」
終戦後も続く犠牲
さらに、終戦を告げる昭和天皇の玉音放送があった1945年8月15日の後にも記録されていて、この日以降、その年の年末までに3000人近くが亡くなっていました。
마찬가지로 1945년 3월의 이오지마에서도, 도망칠 곳이 없는 섬이라는 환경 속에서 옛 일본군이 옥쇄하였고, 그래프에서도 그 시기에 사망자가 급증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종전 후에도 계속된 희생, 게다가 종전을 알리는 쇼와 천황의 옥음 방송이 있었던 1945년 8월 15일 이후에도 기록되어 있으며, 이 날 이후 그 해 연말까지 약 3,000명이 사망하였습니다.
場所をみると「満州」や「中国」「ソ連」などの記録が多くなっていました。
장소를 보면 만주나 중국, 소련 등의 기록이 많아지고 있었습니다.
山田朗教授
「グラフで見てもかなりの兵士たちが”戦後”に亡くなっています。
야마다 아키ラ 교수 그래프로 봐도 상당수의 병사들이 전후에 사망했습니다.
8月15日に
戦争が
終わりましたが、その
後も
犠牲者が
出ていないということではありません。
8월 15일에 전쟁이 끝났지만, 그 후에도 희생자가 나오지 않았다는 것은 아닙니다.
私たちは
どうしても">どうしても
見落として
しまうことがあるので、それを
含めて
きちんと語り
継いでいかないといけない」
遺族の思いは
データから見えてきた悲惨な戦いの痕跡。
우리는 아무리 해도 반드시 놓치게 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그것을 포함해서 제대로 전해나가야 한다는 유족의 마음은 데이터에서 드러난 참혹한 전투의 흔적에서 보였다.
遺族はどのように
受け
止めるのか。
戦没者の遺族の1人、福岡県の荒川恒光さん(86)。
전몰자의 유족 중 한 명인 후쿠오카현의 아라카와 츠네ミ츠 씨86
父親の一登さんは激戦地となった沖縄で通信兵として従軍し、「沖縄県民斯ク戦ヘリ」と沖縄戦の惨状を記した司令官の電文を打電したとされています。
아버지인 이치토 씨는 치열한 전장이 된 오키나와에서 통신병으로 복무하며, 오키나와현민 이렇게 싸웠다라는 오키나와 전투의 참상을 기록한 사령관의 전문을 송신한 것으로 전해집니다.
名簿には一登さんの名前とともに「沖縄海軍司令部」が戦没地として記録されています。
명부에는 이토 씨의 이름과 함께 오키나와 해군 사령부가 전사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荒川恒光さん
「平和を考えるうえで、あの戦争のなかで最初はこれくらいの人が亡くなって、終盤になって負けるときにはこんなに多くの人が亡くなったということがデータで言えることは大事だと思います」
荒川さんは沖縄で戦没者の遺骨収集などに携わっていて、当時を知る人が減ることで戦争の記憶が失われていくことに危機感を抱いているといいます。
아라카와 츠네미츠 씨는 평화를 생각할 때, 그 전쟁 속에서 처음에는 이 정도의 사람이 목숨을 잃었고, 마지막에는 이렇게 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는 것을 데이터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아라카와 씨는 오키나와에서 전몰자의 유골 수습 등에 종사하고 있으며, 당시를 아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전쟁의 기억이 사라져가는 것에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고 합니다.
戦争の記録をデジタル化することは、次世代に記憶をつなげる新たな手段になると感じています。
전쟁 기록을 디지털화하는 것은 다음 세대에 기억을 잇는 새로운 수단이 될 것이라고 느끼고 있습니다.
荒川恒光さん
「データを残すこと自体は大事で、あの当時どうだったのか将来の方々が歴史を振り返ってみる場合に参考になると思う」
各地で取り組み広がる
今回、NHKが共同でデジタルデータ化した戦没者名簿については、今月中旬にも西日本新聞社の紙面やアプリ、ウェブサイトで詳しい分析結果を公開予定です。
아라카와 츠네미츠 씨는 데이터를 남기는 것 자체가 중요하며, 그 당시 어땠는지 미래의 사람들이 역사를 되돌아볼 때 참고가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각지에서 이러한 노력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NHK가 공동으로 디지털 데이터화한 전몰자 명부에 대해서는, 이달 중순에도 니시니혼신문사의 지면과 앱, 웹사이트에서 자세한 분석 결과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また、秋田県の「秋田魁新報社」でも、秋田県出身の兵士たちの亡くなった場所や推移を特設サイトで公開しています。
또한, 아키타현의 아키타 사키가케 신보사에서도 아키타현 출신 병사들의 사망 장소와 경위를 특설 사이트에서 공개하고 있습니다.
戦争資料の保存に取り組んできた山田教授も、戦没者など戦争の記録をデジタル化することは今後も進めていく必要があると指摘しています。
전쟁 자료의 보존에 힘써 온 야마다 교수도, 전몰자 등 전쟁의 기록을 디지털화하는 것은 앞으로도 계속 진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山田教授
「戦後これだけ時間が経ってしまうと、資料自体が失われてしまうということも考えられます。
야마다 교수: 전후 이렇게 오랜 시간이 흐르다 보니, 자료 자체가 사라져버릴 수도 있다는 점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戦争は
個人が
行ったものではなく、
まさに国家の
選択として
行ったものであるわけなので、その
後始末ということも
含めて、きちんと
国が
記録を
保存・
継承していくことが
大事だと
考えます」
(機動展開プロジェクト・斉藤直哉 / 福岡局・小島萌衣)
。
전쟁은 개인이 저지른 것이 아니라, 바로 국가의 선택으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그 뒷정리도 포함하여 국가가 제대로 기록을 보존하고 계승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동 전개 프로젝트·사이토 나오야 / 후쿠오카 지국·코지마 모에